1년 내 취업·창업 희망 20.4%로 하락
주된 이유 '생활비 마련'…여성 비중 62%
[세종=뉴스핌] 김기랑 기자 = 지난 8월 비경제활동인구가 1622만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소폭 늘었지만, 비중은 35.4%로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화와 건강 문제 등의 구조적 요인으로 인해 '쉬었음' 인구는 264만명 규모로 불어났다.
1년 내 취업·창업 의향은 20.4%로 떨어져 구직 의지는 남았지만 노동시장 연결은 약해진 모습이다. 시간제 선호와 근무여건 중시가 뚜렷해지면서 질 좋은 일자리 수요와 실제 공급의 간극이 확인됐다.
5일 국가데이터처가 발표한 '2025년 8월 비경제활동인구 부가조사 결과'에 따르면, 8월 기준 비경제활동인구는 1622만명으로 전년 같은 달보다 9000명 늘었다.
![]() |
| 비경제활동인구 성별 주요 특징 [자료=국가데이터처] 2025.11.05 rang@newspim.com |
15세 이상 인구에서 비경제활동인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35.4%로 0.2%포인트(p) 낮아졌다. 남성이 38.3%, 여성이 61.7%로 여성 비중이 여전히 높았다. 연령별로는 70세 이상이 28.1%로 가장 많았고, 60대(18.7%)와 15~19세(12.9%)가 뒤를 이었다.
'쉬었음'으로 분류된 인구는 264만1000명으로 1년 전보다 7만3000명 증가했다. 쉬게 된 이유로는 ▲몸이 좋지 않아서(34.9%) ▲원하는 일자리를 찾기 어려워서(19.0%) ▲퇴사·정년퇴직 후 계속 쉼(18.4%) 순이었다. 15~29세에서는 '원하는 일자리 찾기 어려움'(34.1%)이 가장 많았고, 50대에서는 '일자리가 없어서''(16.2%) 비율이 높았다.
향후 1년 내 취업·창업 의사가 있는 사람은 330만1000명으로 전체의 20.4%를 차지했다. 전년보다 0.3%p 하락한 수준이다. 성별로는 남자(25.3%)가 여자(17.3%)보다 높았다. 연령대별로는 30대(46.5%)와 20대(43.4%)에서 의향이 가장 컸다.
취업·창업을 희망하는 이유로는 '생활비·용돈을 벌기 위해서'(75.3%)가 가장 많았고, '자기계발·자아발전'(17.1%)과 '지식·기술 활용'(4.0%)이 뒤를 이었다.
![]() |
| 1년 이내 취업·창업 의사 [자료=국가데이터처] 2025.11.05 rang@newspim.com |
희망 고용형태는 임금근로자(93.9%)가 비임금근로자(6.2%)보다 압도적으로 많았고, 전일제(67.0%)와 시간제(26.9%) 순으로 조사됐다. 시간제 근로를 원하는 이유로는 '건강 문제'(37.3%)와 '다른 일과 병행'(20.5%)이 주요하게 꼽혔다.
취업 희망자는 '근무여건'(31.0%)과 '수입·임금수준'(27.5%), '적성·전공'(23.8%)을 중요 고려사항으로 꼽았다. 희망 임금은 월 200만~300만원 미만이 43.6%로 가장 많았다.
창업 희망자는 전체 비경제활동인구의 0.9% 수준인 약 14만명으로, 창업 시 '수익'(47.2%)과 '적성·전공'(28.2%)을 가장 중시했다. 창업 동기로는 '시간을 자유롭게 활용하고 싶어서'(32.6%), '연령 제약이 없어서'(21.7%), '하고 싶은 업종이 있어서'(19.3%) 순으로 언급했다. 희망 업종은 도소매업(21.4%), 부동산·개인서비스업(17.3%), 숙박·음식점업(16.9%)에 집중됐다.
비경제활동인구 비중은 지난 2018년 36.6%에서 올해 35.4%로 7년째 완만한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다. 다만 고령층 비중이 절반에 근접하며 '노년 비경제활동화' 현상이 뚜렷해졌다는 해석이다.
rang@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