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화재, 올해분 주담대 신규접수 중단
연초부터 총량 조절 나선 보험사들도
[서울=뉴스핌] 이윤애 기자 = 정부의 부동산 대출 규제 강화 기조가 보험권까지 확산되고 있다. 가계대출 증가 억제를 위한 관리 강화 방침에 따라 보험사들의 주택담보대출(주담대) 증가세가 주춤한 양상이다. 금융당국의 기조에 발맞춰 자체적으로 대출 문턱을 높이거나 총량을 조절하는 움직임이 잇따르고 있다.
3일 금융권에 따르면 삼성화재는 지난달 30일부터 비대면 채널의 주담대 신규 접수를 전면 중단했다. 보험업권에서 올해분 신규 접수를 완전히 막은 곳은 삼성화재가 처음이다. 삼성화재 관계자는 "대출한도 전량 소진에 따른 조치"라며 "대면 창구는 상황에 따라 유동적으로 운영할 것"이라고 말했다.
![]() |
| 서울 송파구 잠실동 일대 아파트단지 모습 [사진=뉴스핌DB] |
국내 손해보험업계 1위인 삼성화재의 결정으로 업계 전반의 관심이 커지고 있으나 현재까지 추가로 중단을 공식화한 곳은 없다. 다만 일부 보험사들은 보험계약대출 한도를 축소하거나 금리를 인상하는 등으로 대출 속도 조절에 나서고 있다.
금융감독원도 지난달 중순 보험사들에 주담대 관리 강화를 주문했다. 6·27대책과 9·7대책 발표 이후 보험권 주담대가 다시 증가세를 보이자 이를 차단하기 위한 조치다. 금감원은 주담대를 취급하는 8개 보험사(삼성화재, 현대해상, KB손해보험, NH농협손해보험, 삼성생명, 한화생명, 교보생명, NH농협생명)에 올 4분기 신규 대출이 과도하게 늘지 않도록 '속도 조절'을 당부한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7월부터는 은행권 대출 규제로 인해 2금융권으로 수요가 몰리는 '풍선효과'를 차단하기 위해 보험사별 신규 대출 현황을 하루 단위로 보고받는 등 모니터링을 강화했다.
보험사들의 주담대 조절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지난해에도 정부의 부동산 규제책 발표 직후 삼성생명을 시작으로 현대해상, 한화생명, NH농협생명 등이 유주택자 대상 주담대 중단 방침을 내놓은 바 있다.
한 보험사 관계자는 "연초부터 자체적으로 대출 총량을 관리해왔다"며 "삼성화재와 달리 아직 올해 한도 내에서는 여유가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실제 10월 22일 기준 삼성생명·한화생명·교보생명·신한라이프·NH농협생명 등 5개 생보사와 삼성화재·메리츠화재·현대해상·KB손해보험·DB손해보험 등 5개 손보사의 주담대 잔액은 48조8728억원으로 지난해 말(48조9784억원) 대비 1000억원 이상 줄었다. 이재명 정부의 첫 부동산 정책인 6·27대책 발표 직후인 6월 말(49조3215억원)과 비교하면 넉 달 새 4500억원 가까이 감소했다.
일부 보험사들은 10·15대책 이후 주택 거래 자체가 위축되면서 대출 수요도 줄었다고 보고 있다. 실제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수도권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6월 3만4000호에서 7월 2만6000호, 8월 1만5000호로 급감했다.
업계의 또 다른 관계자는 "10·15대책 이후 주담대 신청이 감소했고, 주택가격에 따라 한도를 차등화하면서 신규 대출액이 줄었다"고 말했다.
정부는 앞서 6·27대책에서 수도권 및 규제지역 주담대 한도를 6억원으로 제한한 데 이어, 10·15대책에서는 주택가격에 따라 15억~25억원 구간은 4억원, 25억원 초과 구간은 2억원으로 제한했다.
yunyun@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