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보증 결합 단계적 자금 투입
관세 부담 완화·수주 확대 '기대'
[서울=뉴스핌] 이찬우 기자 = 한·미 조선업 협력 프로젝트 '마스가(MASGA·Make American Shipbuilding Great Again)'가 구체적 윤곽을 드러냈다. 미국 측이 별도 요구했던 1500억달러 규모 조선업 투자를 3500억달러 대미 투자 펀드에 포함시키면서 한국 기업의 부담을 줄이는 동시에 실행력은 높였다는 평가가 뒤따른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29일 브리핑에서 "조선업 협력 1500억달러, 소위 마스가는 우리 기업 주도로 추진하며 투자와 보증을 포함하는 것으로 합의했다"고 밝히고 "신규 선박의 건조·도입 시 장기 선박금융을 포함해 외환시장 부담을 낮추고 우리 기업의 수주 가능성을 높였다"고 설명했다.
![]() |
| 이재명 대통령이 29일 경북 경주 힐튼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열린 이 대통령 주최 정상 특별만찬에서 환영사를 하고 있다. 왼쪽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APEC 2025 KOREA & 연합뉴스] |
실제로 마스가 자금은 선박 건조와 MRO, 조선 기자재 등 생태계 전반에 투입되며 연간 200억달러 상한 내에서 단계적으로 집행해 외환시장 변동성을 완화하는 방안이 동시에 가동된다. 한국산업은행 등 정책금융기관이 참여해 정책금융 라인을 곁들이는 구조로, 민관 금융의 결합을 통해 사업의 지속성과 시장 신뢰를 높이겠다는 계산이다.
이번 협상에서 프로젝트 선정 권한의 무게중심이 한국 기업으로 이동한 것도 눈에 띈다. 지난 7월 1차 협상 당시에는 미국 행정부 주도 전망이 우세했지만, 이번 합의로 한국 기업이 추천권을 확보하며 수주 기회를 선점할 토대가 마련됐다.
양국은 원리금 회수가 가능한 상업적 합리성이 담보된 사업만 추진하기로 했고, 충분한 현금흐름이 보장되는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조선업 협의체를 신설해 정례 협력체계를 가동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경주 예술의전당에서 열린 APEC CEO 서밋 특별 연설에서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미국은 조선업 세계 1위였지만 관심 부족으로 경쟁력을 잃었다"며 "한국은 조선업의 대가로, 협력을 통해 미국 조선업을 다시 위대하게 만들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미국과 한국이 조선업을 함께 이끌어간다면 단기간에 세계 최고 수준으로 복귀할 것"이라며 "여기 있는 일부 회사(한화)가 필리조선소를 인수했는데 아주 성공적"이라고도 평가했다.
현장에서의 연결 고리도 빠르게 구축되고 있다. 한화오션은 미국 필리조선소를 중심으로 상선과 해군 지원함의 정비·개조 수요를 현지에서 직접 흡수하고 있으며, HD현대는 헌팅턴 잉걸스(HII)와의 협력을 통해 설계부터 건조, MRO에 이르는 전주기 협업 체계를 고도화하고 있다.
관세 리스크를 낮추고 미국 조달 체계와의 정합성을 높이는 동시에 현지화 요건을 충족시키는 효과가 기대되며, 장기적으론 수명주기비용 관점에서 경쟁력 제고가 예상된다.
![]() |
| HD현대삼호가 건조해 2024년 인도한 17만4000입방미터(㎥)급 LNG 운반선의 시운전 모습. [사진=HD현대] |
산업 사이클 측면에서도 2026년 전후 대형 LNG 프로젝트의 투자 결정 재개와 미 해군 지원함 현대화가 맞물리며 LNG선과 군함을 중심으로 한 고부가 발주가 반등할 가능성이 커졌다. 이는 국내 대형 조선사의 마진 믹스를 개선하고 수주잔고의 질을 끌어올리는 촉매로 작용할 전망이다.
한국 조선업의 현 위치도 마스가의 추진 동력이다. 2025년 한국 조선업은 세계 선박 수주에서 중국을 앞서며 1위를 기록했다. 클락슨 리서치 기준 점유율 55%로, LNG선과 컨테이너선 등 고부가 선종에서 기술력과 품질 경쟁력이 확인됐다.
다만 중국의 저가 공세, 글로벌 신규 발주 감소, 원자재 가격 상승은 단기 리스크로 지목된다. 마스가 프로젝트 역시 미 의회 반대와 정치·무역 정책의 변동 가능성, 국내 생태계 약화 우려, 인재 유출 및 기술 이전 문제 등 넘어야 할 과제가 존재한다.
그럼에도 투자와 보증이 결합된 단계적 집행 구조, 정책금융과 민간금융의 매칭, 한국 기업 추천권을 축으로 한 프로젝트 선별 메커니즘은 성공 가능성을 높이는 안전장치로 평가된다.
HD현대 관계자는 "협상을 위해 헌신적인 노력을 아끼지 않은 정부에 감사드린다"며 "관세협상 타결로 국내 경제의 불확실성이 해소될 것으로 기대한다. HD현대는 한미 조선협력 프로젝트 마스가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 적극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chanw@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