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광위, 복합환승센터 혁신모델 컨설팅 공모
지자체·공공·민간 참여
사업구조 다각화와 국비지원, 장관표창까지
[서울=뉴스핌] 정영희 기자 = 정부가 철도역·버스터미널을 넘어 휴게소·철도 여유부지까지 활용하는 복합환승센터 혁신모델 공모에 나선다. 공공·민간 협업과 리츠 활용을 통해 사업성을 개선하고 실버·청년주택·의료시설 등 다양한 기능을 결합한 지역 거점형 환승센터를 확산한다는 계획이다.
![]() |
복합환승센터 혁신모델 개요 [자료=국토교통부] |
16일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이하 '대광위')는 환승편의 증진과 지역발전을 위해 지자체·공공기관·민간을 대상으로 오는 17일부터 복합환승센터 혁신모델 컨설팅 지원사업 공모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복합환승센터는 공공성과 사업성이 큰 시설이지만 최근 유통업 변화와 PF(프로젝트 파이낸싱) 부진으로 사업이 적기에 추진되지 못하면서 사회·경제적 여건변화를 반영하는 새로운 사업모델 발굴 필요성이 제기됐다. 대광위는 저이용 공공부지 활용, 입주시설 다양화, 참여주체 확대, 리츠 및 공간혁신구역 연계 등으로 수익성을 높이고 주체 간 협력을 강화해 복합환승센터 사업구조 다각화를 지원한다.
혁신모델은 기존 철도역·버스터미널 외에도 고속도로 휴게소나 철도역 여유부지 등 저이용 공공부지를 활용해 다양한 대중교통수단 간 환승과 복합개발을 연계한다. 백화점 외에도 실버·청년 주택, 의료시설, 복합엔터·관광지원, 생활SOC(사회기반시설) 등 다양한 입주시설을 포함한다.
기존 대형유통업체 외에 사업 초기부터 전문운영사를 참여시켜 공공·민간이 협업해 다양한 사업모델을 발굴하고, 공기업이 토지를 출자해 신용 보강을 통해 사업성을 개선한다. 리츠를 활용해 개발·임대·운영하는 한편, 지역주민과도 이익을 공유하며 공간혁신구역과 연계하는 등 사업구조를 다각화한다.
공모 접수는 이달 17일부터 11월 7일까지 진행되며 선정결과는 12월 중순에 발표될 예정이다. 공모 대상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민간에서 기본구상과 기본계획 단계의 복합환승센터 사업 중 새로운 사업모델 발굴을 위한 계획 변경 소요가 있는 사업이다.
공공기관·민간의 경우 관할 지자체와 협의해 공동으로 신청해야 한다. 공모 내용은 사업 필요성, 환승시설 및 지원시설 계획, 사업주체 간 협업구조, 토지출자 등 부지확보·활용계획, 리츠 및 공간혁신구역 연계 등 새로운 사업모델 마련을 위한 종합 추진계획을 포함한다.
공모 선정사업에는 대광위와 국토연구원이 실질적 사업을 추진할 수 있도록 사업구조 다각화 방안 컨설팅 및 협의·조정을 지원한다. 원활한 국비지원을 위해 '제4차 환승센터 및 복합환승센터 기본계획'(2026~2030년)과 '제5차 대도시권 광역교통 시행계획'(2026~2030년)에 반영을 검토하며 우수 평가사업에는 장관표창을 수여할 계획이다.
자세한 공모 내용은 이달 17일부터 대광위 누리집에 공고한다. 9월 25일과 30일에는 지자체·공공기관·민간 기업을 대상으로 컨설팅 지원사업 설명회도 개최한다. 김용석 대광위원장은 "복합환승센터는 지역 성장거점이자 도시 이동성을 강화하는 핵심 교통거점인 만큼 이번 공모에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리며 대광위도 다양한 지원방안을 모색하겠다"고 말했다.
chulsoofrien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