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객 공공정보 21종 분석 토대로 다양한 지원 정책 제공
[서울=뉴스핌] 채송무 기자 = 금융위원회와 행정안전부가 오는 11일부터 '공공마이데이터 활용 맞춤형 복합지원'을 본격 실시한다. 고객의 공공정보 21종을 분석해 고용과 복지 등 다양한 분야의 지원 정책을 개별 상황에 맞게 연계함으로써 서민 지원 절차가 더 간소해질 전망이다.
![]() |
[서울=뉴스핌] 채송무 기자 = [표 제공=금융위원회]2025.08.06 dedanhi@newspim.com |
금융위원회와 행정안전부는 11일부터 '공공마이데이터'를 활용한 맞춤형 금융·고용·복지 복합지원(이하 공공마이데이터 활용 맞춤형 복합지원)' 서비스를 시행한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서민금융진흥원과 신용회복위원회는 정책서민금융과 채무 조정 상담시 행정안전부가 제공한 공공마이데이터를 통해 확보된 고객의 공공정보 21종을 우선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다양한 지원 정책을 제공할 수 있게 됐다.
공공마이데이터 활용 맞춤형 복합지원으로 금융·고용·복지 복합지원은 크게 네 가지 사항에서 개선이 기대된다.
우선 주관적 진술이 아닌 객관적인 행정정보를 통한 분석 결과에 기반해 상담이 진행되기에, 고객이 고용·복지 등 분야로 연계해 이후 지원 대상자로 선정될 가능성이 커진다. 이와 함께 서민금융·채무조정 상담직원이 21종의 정보를 한 번에 조회할 수 있어, 복합지원 상담 시간이 기존 30분에서 5~10분으로 단축될 것으로 예상된다.
기존에는 고객 본인이 지원받을 수 있다는 점을 모르거나 상담직원이 고객의 정보가 부족해서 인지하지 못했었던 지원 정책도 이제는 21종 정보 분석을 통해 자동으로 추천되기에, 지원을 몰라서 받지 못하는 사각지대가 해소될 것으로 전망된다.
또, 복합지원 대상자 선별 기준이 표준화돼, 고객이 언제·어디서·누구에게 상담을 받든 양질의 맞춤형 복합지원 서비스를 똑같이 누릴 수 있게 된다.
금융위원회·행정안전부 및 관계기관은 향후에도 타부처 협업을 통한 신규 복합지원 연계 분야를 지속 발굴·확대해 신규 서비스의 활용을 극대화 및 고도화할 예정이다.
dedanhi@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