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경쟁력 강화와 산업·물류 중심지 전략
동북아 물류 허브로서의 부산, 밑그림 그려
[부산=뉴스핌] 남동현 기자 = 부산시와 부산·경남 행정통합 공론화위원회는 전날 부산도서관 모들락극장에서 '부산·경남 행정통합 시도민 토론회(서부권)'를 개최하고, 부산지역 내 공론화 토론회 일정을 마무리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토론회는 부산 서부권 4개 구(북구·사하구·강서구·사상구) 주민과 학계, 전문가 등 2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으며, 박대근 부산시의회 부산·경남행정통합특별위원장과 허용복 경남도의회 경남·부산행정통합특별위원장도 참관했다.
![]() |
22일 부산도서관 모들락극장에서 열린 '부산·경남 행정통합 시도민 토론회(서부권)'를 계기로 부산·경남 행정통합 공론화위원회의 부산지역 시도민 토론회가 모두 성황리에 종료됐다. [사진=부산시] 2025.07.23 |
토론회는 박재율 부산·경남 행정통합 공론화위 대변인의 설명을 통해 행정통합의 추진 배경, 필요성 그리고 향후 비전이 공유되면서 시작됐다.
지정토론에는 위원회 공동위원장이자 좌장을 맡은 전호환 부산대학교 전 총장을 비롯해 강혜란 사상구 지방시대위원장, 김효정 부산시의원, 박재욱 신라대 교수, 정홍상 경북대 교수가 참석해 다양한 관점에서 통합 필요성과 실행 전략을 논의했다.
토론자들은 ▲균형발전과 지방 경쟁력 확보 방안(강혜란) ▲부산·경남 통합의 정책적 기초(김효정) ▲동북아 산업·물류 중심지로서 부산의 전략 과제(박재욱) ▲행정통합의 이론 기반과 지역 특성 고려 필요성(정홍상)을 중심으로 의견을 나눴다.
이번 행사는 시민에게 객관적 정보 제공과 더불어 실질적 의견 형성을 유도하는 기회로 평가됐다. 행정통합에 대한 공감대를 확산하고, 지역 간 협력의 필요성을 재조명하는 자리가 됐다.
부산·경남 공론화위원회는 오는 25일 경남 창원컨벤션센터에서 열리는 중부권 토론회를 끝으로 권역별 토론회 일정을 마무리한다. 이후 시도민 인식 조사와 의견 수렴을 반영해 하반기 중 공론화 의견서를 작성, 부산시장과 경남도지사에게 전달할 계획이다.
전호환 위원장은 "지방이 수도권 집중 현상과 인구감소 위기를 넘어서기 위해서는 더 이상 분산된 행정 체계로는 어려움이 있다"며, "부산과 경남의 통합은 대한민국 지역 균형발전의 새로운 성장 축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공론화 과정은 지방자치 분권 강화는 물론, 산업·경제 공동체로서의 실질적 협력 체제를 구축하기 위한 시험대로 주목받고 있다.
ndh4000@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