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대선은 양당 무너뜨리고, 정치 새롭게 짜는 선거"
[서울=뉴스핌] 신정인 기자 = 이준석 개혁신당 대통령 후보는 공식 선거 운동이 시작된 11일 "당권이 아니라 국민주권을, 권력이 아니라 민주주의를 회복하러 나왔다"고 밝혔다.
이준석 후보는 이날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번 대선은 단순한 정권교체가 아닌 양당 구조의 거대한 두 탑을 무너뜨리고 대한민국 정치를 새롭게 다시 짜는 선거"라며 이같이 말했다.
![]() |
[서울=뉴스핌] 양윤모 기자 =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후보가 28일 오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 서울외신기자클럽에서 개최된 기자간담회에 참석해 발언을 하고 있다. 2025.04.28 yym58@newspim.com |
이 후보는 "원래대로라면 2027년 3월 3일에 치러졌어야 할 대통령 선거가 왜 2년이나 앞당겨졌나"라며 "책임은 분명히 국민의힘에게 있다"고 했다.
이어 "대통령이 평화시에 군경을 동원해 국회와 선관위를 점령하도록 지시를 내렸을 때 이를 막기는커녕 함께 망상에 빠진 세력, 그 망상을 부추긴 세력, 아직도 그것이 계엄령이 아니라 계몽령이라고 우기는 세력, 그 세력에게 책임을 묻는 것이 첫 번째"라고 말했다.
아울러 "이재명 후보와 더불어민주당에게는 책임이 없는가"라며 "거대한 혼란 앞에 무책임하게 불길을 놓았던 세력, 범법 행위를 저지른 당대표 하나 지키겠다고 수십 번의 탄핵과 불체포특권을 악용했고 이제는 사법부까지 겁박하는 세력에게도 응분의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국민은 목소리를 높인다"고 했다.
이 후보는 "저는 이들과 다르다"며 "행정권과 190석의 입법권, 그리고 사법부까지 장악하려는 거대한 독재의 서막을 저지하고, 원내 의석은 가장 적지만 그것이 가장 강점이자 장점인 '압도적 협치'의 이준석 정부를 만들려고 이번 대선에 나섰다"고 강조했다.
이어 "여러분의 현명한 새로운 선택을 기대한다. 당당히, 진심으로 나아가겠다"며 "좌도 아니고 우도 아니고 앞으로 가겠다"고 했다.
다음은 이 후보의 기자회견 전문이다.
존경하는 국민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개혁신당 대통령 후보, 기호 4번 이준석입니다.
오늘부터 제21대 대통령 선거의 공식 선거운동이 시작됐습니다.
저는 이 자리에서 먼저 묻고자 합니다.
원래대로라면 2027년 3월 3일에 치러졌어야 할 대통령 선거가 왜 2년이나 앞당겨졌는가.
대통령 선거를 한 번 치르는 데 들어가는 국가적 비용이 천억 원이 넘습니다. 누가 이러한 소모와 낭비를 초래했는가.
우리는 우선 그 책임부터 따져 물어야 할 것입니다.
책임은 분명히 국민의힘에게 있습니다.
대통령이 평화시에 군경을 동원해 국회와 선관위를 점령하도록 지시를 내렸을 때, 이를 막기는커녕 함께 망상에 빠진 세력, 그 망상을 부추긴 세력, 아직도 그것이 계엄령이 아니라 계몽령이라고 우기는 세력, 그 세력에게 책임을 묻는 것이 첫 번째입니다.
국민은 또한 책임을 묻습니다. 이재명 후보와 더불어민주당에게는 책임이 없는가.
이 거대한 혼란 앞에 무책임하게 불길을 놓았던 세력, 범법 행위를 저지른 당대표 하나 지키겠다고 수십 번의 탄핵과 불체포특권을 악용하였고, 이제는 사법부까지 겁박하는 세력에게도 응분의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국민은 목소리를 높입니다.
이번 대선은 단순한 정권교체가 아닙니다.
양당 구조의 거대한 두 탑을 무너뜨리고, 대한민국 정치를 새롭게 다시 짜는 선거입니다.
양당이 서로 정권을 주고받는 정권 교환이 아니라 정권 교체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 이번 대선의 시대정신이며, 양당이 아니라 새로운 정당에게 새로운 시대의 지휘봉을 넘겨줘야 한다는 시대 교체, 세대 교체의 열망이 이번 대선의 분명한 역사적 목표입니다.
국민 여러분.
저는 오늘 이 자리에서, 지난 며칠간 개혁신당에 새로 입당해 주신 수많은 당원 동지 여러분께 특별한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대선 전 7만 명이었던 저희 개혁신당 당원은, 불과 한 달 사이 9만 명을 넘어섰습니다. 특히 지난 며칠 동안 수천 명이 한꺼번에 입당하는 놀라운 일이 벌어졌습니다.
왜 그런 일이 일어났는지 온 국민이 지켜보셨을 것입니다.
이제 시대정신은 더 분명해졌습니다.
국민의힘은 이제 더불어민주당이 아니라 자유통일당과 경쟁하는 정당이 되었고, 자유통일당에나 어울리는 사람을 대통령 후보로 선출해 놓고도, 스스로 선출한 후보를 끌어내리겠다고 새벽 3시에 계엄령을 선포하듯 후보를 교체하는 쿠데타 전문 정당이 되었습니다.
새삼스러운 풍경이 아니라 국민의힘은 원래 그랬던 정당이고, 그에 실망한 목소리가 모여 개혁신당을 만드는 첫 발걸음이 되었습니다. 그리고 지난 며칠간, 수많은 공화주의자, 진실한 민주주의자들이 개혁신당에 새로운 희망을 걸고 입당해 주셨습니다.
그 열망을 결코 외면하지 않겠습니다.
22일 앞으로 다가온 이 선거에, 막중한 책임감을 안고 출사표를 던집니다.
국민 여러분.
이제 도덕과 정책으로 민주당과 당당히 경쟁할 수 있는 정당은 개혁신당 하나밖에 없습니다.
80년을 이어온 이 거대하고 부패한 양당 정치 체제에 균열을 내고, 대한민국 정치에 새 출발을 가능하게 할 정당은 개혁신당뿐입니다.
이번 조기 대선에 국민의힘은 후보를 내세울 명분이 하나도 없습니다.
이 대선은 개혁신당과 민주당의 한판 승부처가 될 것이고, 이준석과 이재명의 일대일 대결장이 될 것입니다. 미래와 과거의 대결, 새로움과 낡음의 대결, 청렴과 부패의 대결, 유능과 무능의 대결이 될 것입니다.
국민의힘은 이번에 수백억 원의 선거보조금을 받습니다.
그들은 질 것이 뻔한 선거에도 오로지 국민 세금을 태워 먹으려고, 당선보다 당권에 눈이 멀어, 한밤중 진흙탕 싸움을 벌이면서까지 대통령 후보를 내세웠습니다.
저는 그들과 다릅니다.
당권이 아니라 국민주권을, 권력이 아니라 민주주의를 회복하러 나왔습니다. 행정권과 190석의 입법권, 그리고 사법부까지 장악하려는 거대한 독재의 서막을 저지하고, 원내 의석은 가장 적지만 그것이 가장 강점이자 장점인 '압도적 협치'의 이준석 정부를 만들려고 이번 대선에 나섰습니다.
대국민 사기극에 가까운 단일화 쇼가 아니라, 정면돌파의 승부수를 던지기 위해 이 자리에 섰습니다.
존경하는 국민 여러분.
개혁신당이 있어 정말 다행이라는 말씀, 지난 며칠간 많이 들었습니다.
그 말씀에 가슴이 뜨겁습니다. 그리고 무거운 책임을 느낍니다.
마흔의 도전입니다.
1971년, 박정희 정권에 맞서 40대 기수론을 들고 일어났을 때, 김영삼 전 대통령의 나이는 43세, 김대중 전 대통령의 나이는 47세였습니다.
그로부터 20년 뒤인 1991년, 5공 청문회 스타였던 노무현이라는 정치인이 안락한 길을 마다하고 3당 합당을 거절하면서 꼬마민주당을 선택했을 때, 그의 나이는 마흔다섯이었습니다.
마흔의 도전입니다. 대한민국이 다시 마흔의 정신으로 도전할 때입니다.
김영삼, 김대중, 그리고 노무현의 길.
그들의 용기를 오늘 다시 계승하는 이준석의 도전이 시작됩니다.
산을 움직이는 사람은 작은 돌을 들어내는 것부터 시작한다는 옛 성현의 말씀을 잊지 않겠습니다.
저는 오늘, 그 첫 돌을 들어내며 선거운동을 시작합니다.
6월 3일,
여러분의 현명한 새로운 선택을 기대합니다.
당당히, 진심으로 나아가겠습니다.
좌도 아니고 우도 아니고 앞으로 가겠습니다.
감사합니다.
allpass@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