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중국 정치

속보

더보기

[르포] 연해 성장 바통 잇는 중국 서남부 ① G2 라오바이싱 일상속 마오쩌둥초상

기사입력 : 2024년10월31일 11:44

최종수정 : 2024년12월01일 22:03

[창사(후난성)=뉴스핌] 최헌규 중국전문기자= '엄청난 내수시장을 기반으로 믿기지 않는 일이 현실이 된다. 서부대개발로 순식간에 송배전 첨단 중전기 분야에서 서방국을 제쳤다. 풍력발전과 자동차용 배터리도 세계를 석권했다. 내수시장과 정부 보조금으로 주요 산업에 걸쳐 기술력 세계 순위를 경신하고 있다. 반도체 시장에도 중국 위협 경고음이 요란하다. 2030년 쯤이면 중국 때문에 주요 국가의 메모리 호황이 소멸되지 않을까.'

2024년 10월 23일 새벽 기자의 카톡 단톡방에 올라온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 기사(Memory Chips Face China Threat) 의 줄거리다. 장문의 이 기사를 읽다보면 중국의 산업 기술 굴기에 대해 입을 다물지 못하는 월스트리트저널 중국 담당 기자의 표정이 느껴진다.

WSJ이 그동안 주로 중국의 과다한 지방정부 부채와 부동산 리스크, 차이나 피크론 등 차이나 위기론 등을 중심 테마로 지면을 채워왔던 터라 기존 논조와 달리 중국의 맹렬한 산업 굴기를 짚어낸 이 기사는 특별히 기자의 눈길을 끌었다.

단톡방의 한 회원은 "중국이 앞으로 더 많은 분야에서 세계를 압도할 것"이라며 "어마무시하다"고 의견 댓글을 남겼고 또다른 회원은 "WSJ 기자가 지금 상황에 놀랐는지 모르지만 모든건 벌써부터 예견된 결과였다고 본다"는 반응을 나타냈다.

[서울=뉴스핌] 최헌규 중국전문기자= 인천공항의 대한항공. 2024.10.31 chk@newspim.com

이날 아침 뉴스핌 기자는 중국 기술 굴기를 다룬 카톡의 자료를 여기까지 훑어보고 나서 중국 서남부 내륙 후난(湖南)성 창사로 향하는 오전 8시 50분 대한항공 KE819 항공편에 몸을 실었다. 이번 중국행은 닷새 동안(2024년 10월 23일~10월 27일) 서남부 후난성과 구이저우성 일대를 취재하는 것으로 기업방문 섭외 등에 있어 중국 외교부의 도움을 받았다.

첫번째 방문지인 후난성과 성의 수도 창사(长沙)는 중국의 국부로 여겨지는 '마오쩌둥(毛泽东)의 고장'으로 유명한 곳이다. 마오쩌둥 고향은 사오산(韶山)이지만 대부분 청년시절을 이곳 후난성 수도 창사에서 보냈고 이곳에서 혁명가로서의 잔뼈가 굵었다.

마오쩌둥은 1911년~1925년 창사에서 공부하고 가르치고 혁명 활동에 참여했다. 이런 점에서 창사는 13년간 홍군과 공산당이 머물렀던 대장정 종착지 산시(陕西, 섬서)성의 옌안과 또다른 의미의 붉은 홍색 도시다.

마오쩌둥은 1913년~1918년, 5년 반 동안 후난 제1사범학교(옛 성남서원)에서 공부했고 1919년 후난 일대 5.4운동을 주도했다.

[서울=뉴스핌] 최헌규 중국전문기자= 마오쩌둥이 공부하고 교사로 재직했던 중국 후난성 창사의 제1사범학교 교실에 마오쩌둥 자리가 전시돼 있다.  사진= 뉴스핌 촬영.    2024.10.31 chk@newspim.com

학교와 기념관을 겸한 후난 제1사범은 장사 시내 샹장(湘江)중루에 있고, 그곳 마오쩌둥이 공부했던 8반 교실엔 마오가 앉았다는 걸상이 전시돼 있다. 지금도 이곳 후난 제1사범대학에선 초등학생 1200명, 대학생 2000명 등 마오쩌둥의 후세들이 공부를 하고 있다.

마오는 1920년~1922년 기간중 이곳 창사의 모교 제1사범학교에서 교사로 재직했으며 이 무렵을 전후해 베이징 상하이를 오가며 이대조 등 초기 공산주의자들과 긴밀하게 접촉하고 교류한다.

신사상 잡지 '신청년' 에 '체육강국'이라는 평론을 발표해 당시 이대조 등 선각자들의 주목을 받은 것도 이 시기다. 마오는 당시 마르크스 레닌과 공산당 선언, 러시아 혁명과 사회주의에 심취했고, 후난성 대표 자격으로 13명의 1차 공산당 당대회(1921년, 상하이)에도 참석한다.

[서울=뉴스핌] 최헌규 중국전문기자= 마오쩌둥이 공부하고 교사로 재직했던 후난성 창사의 제1사범학교. 사진= 뉴스핌 촬영. 2024.10.31 chk@newspim.com

오늘날 세계가 주목하는 중국 굴기와 마오쩌둥과는 무슨 관계가 있을까. 중국인이라면 누구나 '오늘 처럼 강대해진 중국은 마오쩌둥이 아니면 불가능했다.'고 단호하게 말한다.

후난성 창사 탐방 둘쨋날인 10월 24일 찾은 샹장(湘江, 상강)의 쥐즈저우(橘子洲, 귤섬)에는 8700여개의 대리석으로 만들어진 초대형 마오쩌둥 조각상이 안치돼 있다. 창사 일대 여행에서 첫번째 방문지로 꼽는 관광 명소다.   

귤섬의 마오 조각상을 보기위해 창사를 찾는 유커들만해도 1년에 1천만명이 넘는다고 현지 해설사는 설명했다.

10월 24일은 그냥 평일이었는데도 주차장에는 관광 버스들이 빈공간없이 가득 들어차 있었고 마오쩌둥 조각상 관광지는 유커들로 인산인해의 상황을 연출했다. 중국인 단체 여행단중에 누군가 모젠제쭝(摩肩接踵, 어깨가 부벼지고 발목이 부딪치다)의 상황이라고 말했다.

[서울=뉴스핌] 최헌규 중국전문기자= 중국 후난성 창사 여행의 최대 명소로 꼽히는 귤섬내 마오쩌둥 대리석 조각상 앞에 유커들이 붐비고 있다. 사진=뉴스핌.   2024.10.31 chk@newspim.com

귤섬에서 만난 중국인 유커(관광객)는 "지금 중국이 이처럼 잘 살게 된 것은 모두 마오쩌둥의 덕분"이라며 "마오쩌둥이 없었다면 신중국도 없었다"고 잘라 말했다. 기자와 동행한 중국 외교부 직원 천 선생도 "이 말에 전적으로 동의한다"며 "마오는 중국 사회주의 혁명을 성공으로 이끈 위대한 인물"이라고 견해를 밝혔다.

"마오쩌둥은 러시아 사회주의를 중국 특색 사회주의로 토착화해서 혁명을 성공시켰습니다. 또 마오가 아니었다면 누구도 약 5억명의 당시 인민을 단결시키지 못했을 겁니다. 군사 전략면에서도 농민에 의존하고 농촌에서 도시를 포위하는 독자적 방식으로 장제스의 국민당을 능가할 수 있었다고 봅니다."

귤섬 관광지의 마오쩌둥 대리석 조각상은 용모가 수려한 청년의 모습을 하고 있다. 천 선생은 함께 조각상을 바라보다가 '중국인들이 마오쩌둥을 높이 평가하는 이유'를 묻자 이렇게 대답했다. 천 선생은 소련의 사회주의가 연방 실패로 귀결된 것과 비교해도 중국특색 사회주의의 탁월함과 마오의 비범함을 짐작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곳 귤섬에서 멀지않은 주자학의 메카 웨루(岳麓,악록)서원 앞 동방훙(东邦红) 광장에서도 마오는 신격화한 절대자의 모습으로 도시를 굽어보고 있다. 마오쩌둥은 위대한 정치 지도자를 넘어 사후에 신이 된 사람이다. 장구한 세월속에 관우가 재물신이 됐듯 마오쩌둥은 오늘날 중국굴기의 씨앗을 뿌리고 14억 중국인들에게 복음을 전해주는 만인의 신으로 추앙받고 있다. <계속>

 

[서울=뉴스핌] 최헌규 중국전문기자= 중국 4대 서원중 가장 유명한 웨루(岳麓, 악록)서원 앞 동방홍 광장에 대형 마오쩌둥 석상이 세워져 있다.  사진= 뉴스핌 촬영. 2024.10.31 chk@newspim.com

서울= 최헌규 중국전문기자(전 베이징 특파원) chk@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의성 산불 진화헬기 조종사 사망 [세종=뉴스핌] 최영수 선임기자 = 경북 의성군 산불 진화 헬기 1대가 추락해 조종사가 사망했다. 산림청은 사고 직후 전국의 진화 헬기 운항을 중지하고, 사고 원인을 조사하고 있다. 26일 산림청에 따르면, 이날 오후 12시 51분경 경북 의성군 신평면 교안리 493번지 인근에서 산불을 진화하던 헬기 1대가 추락했다.  경북 의성군 산불 진화 헬기 1대가 추락해 조종사가 사망했다. [사진=독자 제공] 해당 헬기는 경북 의성지역에 지원 나온 강원 인제군 임차 헬기(기종: S76, 중형)로 확인됐다. 헬기 탑승자는 기장 1명이며,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산림청은 현재 자세한 사고원인을 조사 중이다. 산림청 중앙사고수습본부는 "사고 즉시 전국에서 투입된 산불진화 헬기에 대해서 안전을 위해 운항 중지토록 조치했다"고 밝혔다. dream@newspim.com 2025-03-26 13:50
사진
이해진 네이버 창업주, 이사회 의장 복귀 [서울=뉴스핌] 양태훈 기자 = 이해진 네이버 창업자가 26일 열린 정기 주주총회를 통해 7년 만에 이사회에 복귀하며 의장직에 공식 선임됐다. 같은 날 최수연 대표의 사내이사 연임 안건도 원안대로 통과되면서, 네이버는 AI 전환기 대응을 위한 새 리더십 체제를 갖추게 됐다. 이해진 의장은 이날 정기 주총 이후 기자들과 만나 "이사회 복귀를 승인해주신 주주 여러분께 감사드린다"며 "이제는 기존 GIO 직을 내려놓고, 이사회 구성원으로서 젊은 경영진과 기술자들이 더 활발하게 일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데 집중할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그는 AI 시대를 맞아 '검색의 시대는 저물었다'는 일각의 시각에 대해 "인터넷의 다양성이 유지되기 위해선 다양한 검색 서비스가 존재해야 한다"며 "네이버만의 검색 엔진이 여전히 중요한 시대적 역할을 할 것"이라고 전했다. 또한 "세계가 한두 개의 AI만 사용하는 일은 슬픈 일"이라며, 네이버가 독자적인 기술을 바탕으로 글로벌 거대 기업들과 경쟁을 이어갈 것임을 강조했다. 26일 오전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네이버 그린팩토리에서 열린 네이버 정기 주주총회 현장. [사진=양태훈 기자] 이번 주총에서는 최수연 대표이사의 연임도 결정됐다. 최 대표는 "임기 첫 3년은 네이버를 향후 10년, 20년을 버틸 수 있는 체질로 바꾸는 데 집중했다면, 앞으로는 온서비스 AI 전략을 바탕으로 보다 공격적인 사업 전개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또한 "AI 기반 검색 서비스 'AI 브리핑'을 내일(27일) 출시하고, 연내 AI 에이전트를 본격 선보이겠다"며 "커머스 분야에서 세계 최고의 AI 에이전트를 만드는 데 도전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지난해 네이버는 연결 기준 실적으로 매출 10조 7,377억 원, 영업이익 1조 9,793억 원, 당기순이익 1조 9,320억 원을 달성했다. 이는 전년 대비 매출은 11%, 영업이익은 32.9%, 순이익은 96.1% 증가한 수치다. 최수연 대표는 이 같은 성과에 대해 "AI 기술을 전 사업에 접목하는 전략의 초석이 된 결과"라며 "앞으로 광고 플랫폼 'AD Voost' 고도화와 커머스 AI 추천 기술 강화 등도 순차적으로 적용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해진 네이버 이사회 의장이 26일 오전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네이버 그린팩토리에서 열린 정기 주주총회 이후 기자들과 만나 향후 계획을 밝히고 있다. [사진=양태훈 기자] 네이버는 이사회 재편을 통해 AI·글로벌 전략을 위한 조직 개편도 병행하기로 했다. 기존 최고재무책임자(CFO)였던 김남선 리더는 미국 포시마크 이사회 의장 겸 전략투자 책임자로 이동하고, 후임에는 재무 전문가 김희철 센터장이 임명됐다. 네이버는 앞으로 온서비스 AI 전략을 기반으로 검색, 광고, 콘텐츠, 커머스 전 영역에 걸친 AI 전환을 본격화할 예정이다. 특히 AI 에이전트는 커머스를 중심으로 먼저 도입돼 개인 맞춤형 쇼핑 경험을 구현하고, 이후 글로벌 서비스로 확대될 전망이다. 최수연 네이버 대표. [사진=양태훈 기자] 이해진 의장은 "네이버가 모바일 환경에서도 자본력과 기술력을 갖춘 글로벌 기업들과 맞서 이겨낼 수 있었던 것은 우리만의 방식이 있었기 때문"이라며, "AI 시대에도 같은 정신으로 네이버의 길을 개척할 것"이라고 다짐했다. 그는 "젊은 리더들이 과감히 시도하고, 자신 있게 도전할 수 있도록 독려하겠다"며 창업자로서의 철학을 강조했다.한편, 이날 주총에서는 ▲재무제표 승인 ▲이사 및 감사위원 선임 ▲이사 보수한도 승인 등 모든 안건이 원안대로 의결됐다.dconnect@newspim.com 2025-03-26 13:05
안다쇼핑
`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