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중국 韓流中心

속보

더보기

【2022中国论坛】韩国纽斯频通讯社——第十届中国论坛20日在首尔举行

기사입력 : 2022년09월20일 16:31

최종수정 : 2022년09월20일 16:31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 번역할 언어 선택

纽斯频通讯社首尔9月20日电 韩国纽斯频(NEWSPIM)通讯社第十届中国论坛20日上午9时在首尔市汝矣岛费尔蒙大使酒店宴会厅隆重举行,主题为"韩中建交30周年,新挑战与新机遇"。

与会嘉宾合影留念。【图片=纽斯频通讯社】

本次活动得到韩国外交部、产业通商资源部、国会外交统一委员会和中国驻韩国大使馆的大力支持。

韩国国会外交统一委员长尹在玉、共同民主党议员李相珉、国民力量党议员金台镐、中国驻韩国特命全权大使邢海明现场出席并致辞,外交部第一次官(副部长)赵贤东和《黑龙江日报》总编辑包民权发来视频贺词。韩中政治、经济、产业等各界人士、企业家和团体负责人代表及两国媒体记者百余人参加活动。

韩国纽斯频通讯社代表理事闵丙福致开幕词。【图片=纽斯频通讯社】

韩国纽斯频通讯社代表理事闵丙福致开幕词。他说,韩中作为战略合作伙伴关系迎来建交三十周年。两国此前虽历经考验,但仍在经济、社会等多领域取得了令人瞩目的成果。但在此时,美中竞争引发全球局势动荡,韩国经济陷入两难。萨德问题、新冠疫情等也阻碍韩中交流与合作。在此背景下,纽斯频通讯社邀请政经领域专家学者共同探索符合韩国国家利益的韩中下一个30年新战略。希望本届论坛成为把脉韩中、美中关系现状、集思广益、探索未来的平台。

韩国国会外交统一委员长尹在玉致辞。【图片=纽斯频通讯社】

韩国国会外交统一委员长尹在玉致辞称,韩中自1992年建交以来,双边升级至战略合作伙伴关系,以相互尊重与合作的精神,走上了共同繁荣之路。安全是国民最关心的问题,在加强韩美同盟、改善韩日关系的同时,韩中关系亦不能忽视。在经济领域,我们要在符合国家利益外交和安全问题上明确彼此立场,减少两国误解。尤其是通过解决历史问题和扩大文化交流,提高两国国民好感是重要课题。国会将倾听专家意见,用实际行动提供支持。

共同民主党议员李相珉致辞。【图片=纽斯频通讯社】

韩国最大在野党共同民主党议员李相珉致辞。他说,韩中建交30年来虽面临诸多困难,但两国政府和国民通过不懈努力和衷共济,逐步深入双边关系。韩国同所有国家保持良好关系、发展共同利益这一立场,往届政府从未改变,现政府和未来的政府也不会改变。

国民力量党议员金台镐致辞。【图片=纽斯频通讯社】

韩国执政党国民力量党议员金台镐在致辞中说,孔子曰"三十而立",韩中两国虽经历诸多曲折,但中国成为全球第二大经济体,韩国也跻身全球十大经济强国之列。我们要凝聚智慧、认真思考两国下一个30年的发展方向。韩中不应只考虑国家利益,而是应为共同繁荣、维护正义寻找解决方案。我相信,韩中若能相互理解、携手合作、共同繁荣,两国关系定能迎来崭新的变化。

中国驻韩国特命全权大使邢海明致辞。【图片=纽斯频通讯社】

中国驻韩国特命全权大使邢海明致辞。邢海明说,8月24日中韩建交三十周年之际,习近平主席和尹锡悦总统互致贺信。前不久,中国全国人大常委会栗战书委员长成功访韩,此前中韩外长在青岛举行长时间会晤,达成一系列新的重要共识,为两国关系发展注入新的强劲动力。

邢海明强调,经贸合作是中韩关系的压舱石。中国经济的基本盘仍然稳固,中国作为全球最大最有潜力的市场这一基本事实没有改变。中国共产党第二十次全国代表大会即将召开,这次重要会议将科学谋划未来五年乃至更长时期中国国家发展的目标任务和大政方针,为中国未来经济社会发展注入动力,也将为全球、特别是周边国家带来更多发展机遇。希望韩方坚定对华合作信心,看清中国发展将给韩国和中韩关系带来的巨大利益,进一步加强两国各领域交流合作,共同分享发展红利。中韩关系的发展,既得益于两国历代领导人的指导和引领,也离不开两国各界友好人士几十年如一日的不断努力。面向未来,我们要始终秉承当年建交的初心,坚持相互尊重、聚焦合作、致力和平、同谋发展,合力推动中韩关系迎来更加光明、美好的下一个30年!

韩国外交部第一次官赵贤东(左)和《黑龙江日报》总编辑包民权视频致辞。【图片=纽斯频通讯社】

此外,韩国外交部第一次官赵贤东和《黑龙江日报》总编辑包民权以视频方式致贺词,希望两国共同携手,激流勇进,克服多种挑战,积极寻求进一步深入双边关系的新机遇。

随后,中国前驻韩国大使、现任察哈尔学会东北亚事务首席研究员邱国洪,韩国外交部次官补崔泳杉,产业通商资源部通商合作局局长金钟喆和中国驻韩国大使馆首席官员、公使方坤相继作主旨演讲。

左起顺时针依次为中国前驻韩国大使、现任察哈尔学会东北亚事务首席研究员邱国洪,韩国外交部次官补崔泳杉,中国驻韩国大使馆首席官员、公使方坤,产业通商资源部通商合作局局长金钟喆。【图片=纽斯频通讯社】

双方一致认为,韩中两国应继续加强各领域合作,携手战胜各类风险挑战。希望双方齐心协力,共同探索面向未来的合作方案,为地区乃至全球的和平稳定贡献力量。

另外,韩国纽斯频通讯社于2013年起每年9月举办"中国论坛",活动得到韩中两国政府、企业和研究机构的大力支持。论坛每年以不同主题,邀请韩中各领域专家学者出席,为深化两国理解与合作建言献策。

纽斯频是韩国知名综合新闻通讯社,成立于2003年,以韩文、中文报道各领域新闻。纽斯频对中国各领域的深入分析和报道博得广大读者肯定,现有网络新闻平台和月刊《ANDA》。

韩国纽斯频(NEWSPIM·뉴스핌)通讯社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추경호 체포동의안 본회의 통과 [서울=뉴스핌] 이바름 기자 = 12.3 비상계엄 당시 국민의힘 의원들의 계엄해제 표결을 방해한 의혹을 받는 추경호 국민의힘 의원에 대한 체포동의안이 27일 여당 주도로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국회는 이날 본회의를 열고 '국회의원(추경호) 체포동의안'을 상정해 표결을 진행했다. 투표 결과 재석 180인 가운데 찬성 172표, 반대 4표, 기권 2표, 무 2표로 가결됐다. 불체포특권이 있는 현역 국회의원에 대한 체포동의안은 재적 의원 과반 출석에 출석 의원 과반 찬성이 가결 조건이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추경호 국민의힘 의원이 27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본회의에서 본인의 체포동의안에 대한 신상발언을 마치고 나서며 동료 의원들의 격려를 받고 있다. 2025.11.27 pangbin@newspim.com 국민의힘 의원들은 표결에 반발하며 표결에 참여하지 않고 본회의장에서 퇴장했다. 이들은 로텐더홀에서 정부여당 및 특검 규탄대회를 벌였다. 신동욱 국민의힘 최고위원은 규탄대회에서 "우리가 추경호"라며 "반드시 싸워서 심판해야 한다"고 말했다. 추 의원은 지난해 12월3일 윤석열 전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했을 당시 국민의힘 원내대표로서 의원총회 장소를 국회와 당사 등으로 여러 차례 바꿔 국민의힘 의원들의 계엄해제 표결 참여를 방해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내란 특별검사(조은석 특검팀)은 지난 3일 추 의원에 대해 내란중요임무종사 혐의로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법무부는 이틀 뒤인 5일 국회에 체포동의요청서를 제출했으며, 13일 국회 본회의에 보고됐다. 국회가 동의함에 따라 법원은 조만간 추 의원에 대한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을 실시한다. 결과에 따라 추 의원의 구속 여부가 결정된다. 추 의원은 투표 전 신상발언 기회를 얻어 특검 수사는 정치탄압이라고 주장했다. 추 의원은 "특검은 제가 언제 누구와 계엄에 공모, 가담했는지 어떠한 증거도 제시하지 못하면서 영장을 창작했다"며 "특검은 계엄 공모를 입증하지도, 표결을 방해받았다는 의원을 특정하지도 못했다"고 강조했다. right@newspim.com 2025-11-27 15:41
사진
영국계 단타, 11월에만 5조 팔았다 [서울=뉴스핌] 이나영 기자= 연중 고점을 기록한 코스피가 11월 들어 조정을 받는 가운데, 외국인 매도세를 주도한 주체는 영국계 자금으로 나타났다. 9~10월 단기 매수세로 코스피를 4000선 위로 끌어올렸던 영국계 투자자들은 이달 들어 약 5조원 규모의 주식을 순매도하며 수급 전환의 중심에 섰다. 금융감독원과 한국거래소 자료를 종합하면, 영국계 자금은 상반기까지는 관망세를 보이다가 9월부터 순매수로 전환해 지수 급등을 견인했다. 그러나 11월 들어 매도세로 돌아서며 단기간에 코스피를 다시 4000선 아래로 밀어냈다. 전문가들은 이를 투자 이탈보다는 업종 재배치·수익 실현·헤지 전략 등 다층적 조정 흐름으로 해석하고 있다. ◆ 영국계, 활발한 거래에도 낮은 보유 비중…'단타 성향' 뚜렷 2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영국계 투자자는 이달 1일부터 24일까지 코스피와 코스닥 시장에서 총 4조9900억원을 순매도했다. 같은 기간 외국인 전체 순매도 금액은 13조5328억원으로, 영국계 자금이 차지하는 비중은 36.9%에 달한다. 이는 지난 10월 영국계가 2조4000억원을 순매수하며 전체 외국인 순매수(4조2050억원)의 절반 이상을 견인했던 흐름과는 대조적이다. 영국계 자금은 올해 외국인 매매에서 가장 활발한 움직임을 보였다. 지난 1~8월 유가증권시장에서 영국계 투자자는 총 557조원 규모(매수 273조9270억원, 매도 283조730억원)를 거래하며 외국인 전체 거래액의 44.7%를 차지했다. 국적별 기준으로는 거래 비중 1위였지만, 보유 비중은 10%대 초반에 머무는 등 높은 회전율이 특징적이다. 이는 중·단기 차익 실현에 집중하는 유동적 자금 특성을 드러낸다는 분석이다. 실제 영국계 자금은 9월 2조2000억원, 10월 2조4000억원 등 두 달간 총 4조6000억원어치를 순매수하며 국내 증시 랠리를 이끌었다. 이 기간 외국인 전체 순매수의 상당 부분을 담당했고, 코스피는 9월 말 3424포인트에서 10월 말 4107포인트까지 약 20% 급등했다. 이후 이달 3일에는 장중 사상 최고치인 4221.87포인트를 기록했다. 당시 외국인의 현·선물 동반 매수가 지수 상승을 뒷받침했고, 거래 비중에서도 영국계 영향력은 두드러졌다. 하지만 11월 들어 매도세로 돌아서면서 코스피는 한 달 새 300포인트 넘게 밀리며, 전날(26일) 기준 3960.87로 마감했다. ◆ 수익 실현 흐름 속 업종·자산군 재배치 뚜렷…"ETF 투자도 변화 감지" 코스피 4000선을 끌어올렸던 외국인 수급이 11월 들어 주춤하면서, 이번 수급 전환의 배경에는 반도체 중심의 차익 실현과 업종 간 포트폴리오 조정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외국인 자금은 특정 업종에서 수익을 실현한 뒤, 해외 자산이나 새로운 산업군으로 비중을 재조정하는 흐름을 보였다. 이 같은 변화는 상장지수펀드(ETF) 매매에서도 뚜렷하게 나타났다. 코스콤 ETF체크에 따르면 최근 일주일간 외국인이 가장 많이 순매수한 상품은 'KODEX 레버리지'(93억8000만원)였고, 이어 'TIGER 미국필라델피아반도체나스닥'(64억2000만원), 'TIGER 차이나항셍테크'(64억원), 'TIGER 차이나전기차SOLACTIVE'(55억200만원) 등이 뒤를 이었다. 순매수 상위 10개 ETF 중 절반이 중국 테크 및 미국 증시 관련 상품으로 구성돼 외국인 자금의 관심이 해외 주요 지수로 이동한 모습이다. 반면 외국인은 국내 주식형 ETF를 중심으로 대규모 매도에 나섰다. 같은 기간, 'TIGER 2차전지TOP10'(-79억원), 'TIGER200선물레버리지'(-68억원), 'KODEX AI반도체'(-56억9000만원) 등이 외국인 순매도 상위에 올랐으며, 상위 10개 가운데 9개가 국내 ETF였다. 개별 종목에서도 자금 재배치 흐름 뚜렷하게 나타났다. 이달 1~25일 외국인 순매도 상위 종목에는 SK하이닉스, 삼성전자, 두산에너빌리티, KB금융, NAVER, 한화오션 등이 포함됐다. 반면 셀트리온, 이수페타시스, LG 씨엔에스, SK바이오팜 등이 외국인 순매수 상위권을 차지했다. 전통 반도체주에서 인프라, 바이오, AI 관련 종목으로 수급이 분산되는 모습이다. 시장에서는 이 같은 움직임을 외국인 자금의 '이탈'이라기보다는 전략적 '재편'으로 해석하고 있다. 현물 매도를 통해 일부 비중을 축소하는 동시에, 선물·옵션을 활용한 헤지 전략이나 국채 등 대체 자산으로의 분산 투자가 병행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흐름이 외국인 자금의 유출보다는 포트폴리오 조정 과정의 일환으로 볼 수 있다고 보고 있다. 김석환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반도체 업종의 내년 이익 전망치가 빠르게 상향되고 있어 외국인 수급이 재개될 여지가 충분하다"며 "외국인 유입에 기반한 증시 상승 기대는 여전히 유효하다"고 분석했다. 이상현 메리츠증권 센터장은 "코스피 4000 돌파는 단기 유동성이 아니라 기업 실적이 만들어낸 구조적 상승이었다"며 "현재 조정은 큰 흐름이 끝났다는 신호가 아니라 다음 단계 상승을 위한 숨 고르기 성격이 강하다"고 강조했다.    nylee54@newspim.com 2025-11-27 08:20
기사 번역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종목 추적기

S&P 500 기업 중 기사 내용이 영향을 줄 종목 추적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긍정 영향 종목

  • Lockheed Martin Corp.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안보 지원 강화 기대감으로 방산 수요 증가 직접적. 미·러 긴장 완화 불확실성 속에서도 방위산업 매출 안정성 강화 예상됨.

부정 영향 종목

  • Caterpillar Inc.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시 건설 및 중장비 수요 불확실성 직접적. 글로벌 인프라 투자 지연으로 매출 성장 둔화 가능성 있음.
이 내용에 포함된 데이터와 의견은 뉴스핌 AI가 분석한 결과입니다.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작성되었으며, 특정 종목 매매를 권유하지 않습니다. 투자 판단 및 결과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주식 투자는 원금 손실 가능성이 있으므로, 투자 전 충분한 조사와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