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전투표부터 본투표까지 '부실' 지적 이어져
청원인 "선거업무체계 전면 개편해야"
[서울=뉴스핌] 송기욱 기자 = 대통령 선거는 끝났지만 이번 선거 과정에서 불거진 부실 선거관리 논란은 되짚어야 할 문제로 남을 전망이다.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는 10일 현재 선거관리위원회에 대한 비판과 함께 처벌을 요구하는 국민청원이 다수 등장했다.
지난 4일부터 이틀 간 시작된 대선 사전투표 과정에서 논란은 처음 터져나왔다. 유권자가 투표지를 직접 투표함에 넣지 못하는 일이 발생했고 투표 용지가 종이박스나 바구니 등에 담긴 채 허술하게 관리되는 모습도 포착되는 등 지적이 이어졌다.
![]() |
| [서울=뉴스핌] 송기욱 기자 = [사진 =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 캡쳐] 2022.03.10 oneway@newspim.com |
노정희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장은 8일 성명을 통해 "확진자 및 격리자 선거인의 사전투표관리와 관련하여 미흡한 준비로 혼란과 불편을 끼친 점에 대해 위원장으로서 책임을 통감한다"며 대국민 사과를 했지만 논란은 계속됐다.
전날 진행된 20대 대선 본투표에서는 사전투표를 마친 유권자가 또다시 투표용지를 받은 사실이 드러나기도 했다.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도 관련 청원이 게시됐다. 한 청원인은 '선거관리위원회는 반성하십시오' 제목의 글을 통해 "민주주의의 꽃인 선거가 더욱 체계적이고 엄숙하게 치루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청원인은 "선거의 4대 원칙 중 하나인 '직접 선거'가 무시됐다"며 "이번 사전 투표에서 확진자는 직접 투표함에 투표 용지를 집어 넣지도 못했다. 중간에 관리인이 투표 용지를 가져가 대신 투표함에 넣었다는 증언들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만약 공무원의 주머니에 미리 준비된 투표지가 있어 뒷바꿈 당했다면 어떡할 건가. 애초에 이런 가능성은 사전에 차단돼야 한다"고 했다.
또 "밀폐된 공식 투표함이 아닌 쇼핑백, 택배 박스 등에 투표 용지를 보관했다"며 "선관위는 투표함 준비에 소홀했다"고 비판했다. 아울러 확진자 수 급증에도 본투표 당일 투표 가능 시간대가 1시간 30분에 불과하다는 점 역시 꼬집었다.
그러면서 "설령 이러한 일들이 일부 투표소에서만 일어났다 하더라도, 중앙 선거관리위원회는 모든 투표소에 책임을 져야 하는 기관"이라며 "앞으로는 부실 선거 논란 자체가 일축되도록(재발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다른 청원인은 책임자에 대한 중징계를 요구하기도 했다. 그는 "일반인 투표소 운영시간과 확진자 투표소 운영시간을 겹쳐 결정한 담당자 및 책임자, 사무원이 기표용지를 받아 투표함에 전달하게끔 지시한 담당자와 책임자를 대상으로 엄중처벌해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선거 업무에 대한 체계를 전면 개편해야 한다"면서 "력 문제로 인해 공무원 및 기타 공공기관 종사자들을 선거에 동원한다고 하더라도 구체적이고 책임있는 가이드라인이 제시돼야 하고 선관위 직원을 현장 사무에 적극 투입해 현장과 행정이 동떨어지는 일이 없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oneway@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