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GAM 일반

속보

더보기

[GAM] 美 제재 타깃 '바이오테크', 위기와 기회 진단

기사입력 : 2021년12월30일 17:04

최종수정 : 2021년12월30일 17:04

'바이오테크' 기업에 대한 美 제재설 부상
높은 해외의존도에 따른 업계 영향 진단
CXO섹터, '최고'의 성장성∙밸류 지속 전망

[편집자] 이 기사는 12월 21일 오후 5시39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핌] 배상희 기자 = 지난주 중국본토와 홍콩증시에서 제약주, 그 중에서도 바이오테크 테마주의 무더기 급락세가 연출됐는데요. 미 바이든 행정부가 신장 위구르자치구 소수민족 인권침해를 도왔다는 이유로 중국 기업과 기관을 연이어 블랙리스트에 추가하며 압박수위를 강화하고 있는 가운데, 중국 바이오테크 기업을 조준한 제재를 검토하고 있다는 소식이 시장에 확산됐기 때문입니다.

바이오테크란 세포 단백질·항체·효소·유전자와 같은 생물학적 물질을 사용해 신약과 치료법을 개발하는 기술로, 최근 가장 주목 받는 제약 섹터의 세부 영역으로 꼽힙니다. 바이오테크는 중국이 제조업 강국으로 거듭나기 위해 추진 중인 10대 핵심 산업 육성 프로젝트인 '중국제조 2025'에 포함됐을 정도로, 중국이 주시하는 고성장 산업으로 평가받고 있죠. 

빅테크(대형 정보통신업체), 반도체 등 그간 미국 제재의 타깃이 돼온 중국 기업들을 살펴보면 제재를 통해 중국 패권전략의 숨통을 확실히 죌 수 있는 분야의 기업들이라는 공통점을 찾을 수 있는데요. 이에 기술과 자금력 측면에서 해외 의존도가 높은 동시에 전세계로 영향력을 빠르게 확대하는 중국 바이오테크 산업은 미국의 제재 대상이 되기에 충분하다는 판단이 나옵니다.

전문가들은 미국의 제재가 현실화될 경우 업계에 미칠 파급력과 이에 따른 주가 변동성은 불가피하다는 평가를 내리고 있는데요. 이와 함께 제약 섹터의 투자방향은 높은 성장성과 장기적인 투자가치를 보유한 바이오테크의 세부 영역인 CXO 섹터에 집중되는 분위기입니다. 

미국의 제재 가능성을 누구도 예측하기 어려운 지금, 정책적 지원과 높은 성장성이라는 '기회'와 미국 제재라는 불확실성의 '위기' 속에서 바이오테크 섹터가 어떠한 흐름을 연출할 지 주목됩니다.

◆ 美 제재설 확산, CXO 대장주 시총 수십조 증발

지난 15일 A주(중국 본토증시에 상장된 주식) 시장과 홍콩증시에서 바이오테크 섹터 종목들의 급락 장세가 연출됐는데요.

특히 바이오테크 산업을 대표하는 CXO(임상시험수탁<CRO>, 위탁생산<CMO>, 위탁개발생산<CDMO>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연구개발·임상시험·생산판매에 이르기까지 의약품 생산의 전반과정을 외주로 처리해주는 산업 분야를 지칭함) 대장주들이 폭락하며 수십 조 원에 달하는 시가총액(시총)이 증발하는 사태가 발생했습니다.

대표적으로 중국 최대 CRO 업체인 약명강덕신약개발(藥明康德∙우시앱테크∙야오밍캉더 603259.SH/2359.HK) 계열사 종목들이 폭락하며, 하루간 이들의 시총은 1000억 위안(약 18조7000억원) 이상 증발했는데요.  

약명강덕신약개발은 A주 시장에서 하한가를 기록하며 시총이 400억 위안 이상 증발했고, 홍콩증시에서도 19.06%의 낙폭을 기록했습니다. 그 자회사인 야오밍바이오(藥明生物·우시바이오 2269.HK)와 JW 캐이맨 테라퓨틱스(藥明巨諾 2126.HK) 또한 각각 19.24%와 11.11% 폭락하며 시총이 800억 홍콩달러(약 652억위안) 과 5억 홍콩달러 이상 증발했죠.

이날 바이오테크 섹터의 급락세를 이끈 배후에는 미국이 있었는데요.

15일(현지시간) 미국 파이낸셜타임즈는 소식통을 인용해 미국 상무부가 바이오테크 기업을 블랙리스트에 올리고, 미국으로의 수출을 제한하는 제재를 검토 중이라고 보도했습니다. 이와 함께 빅테크와 반도체에 이어 바이오테크 기업이 차기 미국 제재의 희생양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감이 확대, 주가 하락으로 이어진 것이죠.

이날 중국 바이오테크 종목의 하락세에 대해 선전(深圳)시 소재 선루이(森瑞) 인베스트먼트의 린춘(Lin Cun) 펀드매니저는 "매우 고통스러운 하락세이며 더 자세한 내용을 알기 전까지는 어떤 조치도 취하기 어렵다"면서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은 손실을 지켜보는 것 뿐"이라고 평하기도 했습니다.

◆ 제재가 불러올 파급력, '수출입∙투자路 차단'

전문가들은 미국의 제재가 현실화될 경우 △임상시험 차질 △기술도입(라이선스 인∙License in)과 기술수출(라이선스 아웃∙License out) 차단 △해외로부터의 투자자금 유치 제한 등으로 업계가 적지 않은 타격을 입을 수 있다고 평가합니다.

가장 우려되는 것은 기술 및 제품의 수출과 수입 통로가 차단되는 것입니다.

기술수출(라이선스 아웃)은 국내 제약사가 빠르게 해외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핵심 루트 중 하나인데요. 2020년 이래 국내 제약사의 해외 라이선스 아웃 건수는 67건이었고, 그 중 11건은 5억 달러 규모에 달했습니다. 아울러 현재 중국 국내 제약 업계의 해외 기술과 장비 수입 의존도가 매우 높은 만큼, 공급망 불안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적지 않습니다. 

그 연장선에서 중국 제약사가 개발한 신약의 해외 시판이 금지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오는데요. 현재 중국 제약사가 개발한 많은 신약들이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승인을 기다리고 있는 상태인데, 미국이 제재를 가할 경우 이 또한 물거품이 될 가능성이 적지 않습니다.

미 FDA의 승인을 받았다는 것은 의약품의 안정성과 효과에 대한 공신력을 인정받았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는 만큼, 중국 기업이 해외시장에서 빠르게 점유율을 확대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로 평가되죠. 

지난 2019년 중국 바이오 제약사 베이진(百濟神州 688235.SH/6160.HK)이 연구개발한 BTK(Bruton's tyrosine kinase) 억제제 '자누브루티닙(zanubrutinib)'이 최초로 미 FDA의 승인을 얻은 이후 많은 중국 제약사들이 해외시장 진출에 나서면서 쥔스바이오, 아케소(康方生物∙Akeso 9926.HK) 레전드바이오(傳奇生物), 허치메드(和黃醫藥∙HUTCHMED 0013.HK), 억범제약(億帆醫藥 002019.SZ) 등 다수의 기업이 신약허가신청서(BLA/NDA)를 제출해 놓은 상태입니다.

FDA가 이들 기업에 대한 승인 결정을 2022년 내놓을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내년은 중국 신약의 해외진출에 있어 중요한 한 해가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미국의 제재로 해외 임상 시험에 차질이 빚어지면서 특히, 중국 임상시험수탁 (CRO) 기업들이 직접적인 타격을 입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는데요.

중국 기업의 해외시장 진출이 시작되던 초창기 중국 바이오∙제약 기업들은 인력과 비용 문제 등을 고려해 해외에서 이뤄지는 임상실험 대부분은 CRO 기업에 위탁해 왔습니다.

최근 몇 년간 일부 대형 제약사들은 해외에 연구센터를 개설해 직접 해외 임상실험을 시행하고 있지만, 여전히 대다수 중국 제약사들은 CRO 기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이에 블랙리스트에 오를 경우 해외에서 이뤄지는 임상실험의 전개가 지장을 받게 되면서 국내 CRO 기업 또한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는 것이죠. 

아울러 해외 고객으로부터 유입되는 투자금은 국내 제약 업계에 있어 막대한 연구 개발비를 회수할 수 있을 정도의 핵심 자금원인데요. 제제로 해외 투자금 유입로가 차단될 경우, 국내 제약사들의 자금력이 크게 줄어들 수 있다는 점에서도 우려됩니다. 

◆ 中 바이오테크 '아킬레스건', 높은 해외의존도

미국의 제재가 바이오테크 기업에 치명적일 수 있는 이유는 중국 바이오테크 기업에게 있어 '해외시장진출(出海)'은 필수 조건이기 때문인데요.

지난 2015년 중국 당국이 '약품 심사평가 및 심사비준 개혁'을 추진한 이래, 중국의 신약 개발 사업은 전대미문의 호황기를 맞이했습니다. 

2020년까지 중국 국내에서 연구 또는 관리 중인 신약 수량이 차지하는 비중은 13.9%로, 전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규모인데요. 이 같은 신약 개발 산업의 발전은 중국 국내 기업들의 해외시장 진출을 확대하는 원동력으로 작용해 왔습니다.

해외시장 진출은 중국 바이오테크 기업의 신약 개발 기술경쟁력을 입증해주는 동시에, 중국 제약 업계가 직면해 있는 정책적 규제의 한계를 넘어 이윤을 극대화할 수 있는 필수적 선택이 됐습니다.

이와 관련해 중국 바이오 제약사 쥔스바이오(君實生物 1877.HK)의 리닝(李寧) CEO는 "국내 의료보험 정책이 조금만 더 엄격해져도 업계 대형 기업들이 직접적인 타격을 입게 될 것"이라면서 "해외 대다수 국가의 경우 정부의 지원책, 상업보험 등으로 지원 정책이 다원화돼 있다는 점 또한 국내 제약사들의 해외진출을 촉진하는 주된 배경이 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중국 바이오테크 기업의 높은 해외 의존도대표 기업들의 영업수익(매출) 구조를 통해서도 여실히 드러납니다.

중국 금융정보 제공업체 윈드(Wind)와 국금증권(國金證券)에 따르면 A주 29개 상장사의 해외 매출 증가율은 지난 2015년부터 2020년까지 6년간 평균 27%의 연평균성장률(CAGR)을 기록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종목별로 살펴보면 약명강덕신약개발의 경우 올해 3개 분기 75.56%의 매출이 해외에서 창출됐고, 그 중 미국에서 창출된 수익은 90억1100만 위안에 달해 전체 매출의 54.54%를 차지했습니다. 강룡화성(300759.SZ/3759.HK) 또한 2020년 기준 전체 매출의 86.36%를 해외에서 거둬들였을 정도로 높은 해외 의존도를 보이고 있습니다.

앞서 언급했듯 국내 제약사들이 유치하는 투자 자금의 큰 부분은 해외 고객으로부터 창출되고 있는데요. 전세계 5대 신약 재료 CDMO 기업 중 하나로 평가 받는 개래영(002821.SZ/6821.HK)은 지난 11월 미국의 대형 제약사로부터 두 건의 대형 수주 계약을 따냈는데, 그 규모에서 시장의 이목을 끌기에 충분했습니다. 두 건의 수주 계약 규모는 57억7800만 위안으로 지난해 전체 매출의 2배에 가까운 규모를 보였습니다.

시장 전문가들은 CXO업계 대표 기업의 경우 신약 지식재산권(IP)과 매출 대부분이 해외에서 창출되고 있는 만큼, 미국 제재에 따른 타격이 절대적으로 불가피할 것이라 진단합니다.

◆ 바이오테크 투자의견, '고성장성 CXO'에 초점

시장 전문가들은 미국의 제재에 따른 여파가 불가피한 만큼, 실제로 제재가 이뤄질 경우 일정 기간 주가 변동성은 커질 것으로 예측하는데요. 하지만, 지금으로서는 미국의 제재 여부를 판단할 수 없는 만큼, 업계 전망이 가장 밝고 높은 성장성을 보유한 CXO 분야로 바이오테크 섹터 투자의견이 집중되는 분위기입니다. 

진녠인베스트(金輦投資)와 농업은행(ABC) CA펀드 등 중국 투자기관들은 제약주의 성장성은 '혁신'에서 결정지어질 것으로 판단, 제약 섹터의 세부 영역 중에서도 CXO 산업의 미래 성장성을 가장 높게 평가하고 있는데요.

CXO 섹터는 안정적인 수익 성장세를 이어가며 펀더멘털(기초체력)에서도 강점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중국 A주 시장에서 CXO 섹터 상장사의 2021년 3개 분기 총 영업수익(매출)은 1만6444억 위안으로 전년동기대비 21.64%, 같은 기간 순이익은 1873억 위안으로 32.37% 늘었고, 이와 함께 지난 2016년 28% 정도였던 매출 성장률은 2020년 31%로 안정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같은 업계 성장성을 반영하듯 올해 들어 제약 섹터 전반이 하락세를 이어가며 밸류에이션(실적대비 주가수준)이 크게 낮아진 반면, CXO 섹터는 '나홀로 상승세'를 이어가며 현재 최고 수준의 밸류에이션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중국 금융정보 제공업체 윈드(Wind)에 따르면 제약∙바이오 섹터의 현재 밸류에이션은 '선완(申萬)증권이 1급으로 분류한 28개 섹터 중 중상위권 수준이지만, 최근 5년간의 평균치를 기준으로 하면 중하위권 수준으로 떨어진 상태입니다.

그 결과 제약 섹터 전반과 CXO 섹터의 밸류에이션 차이는 더욱 뚜렷해졌는데요.

올해 들어 12월 15일까지 제약 섹터의 주가는 5.42% 하락해 같은 기간 상하이-선전300지수(CSI300, 상하이와 선전증권거래소에 상장된 300개 우량주의 주가 추이를 반영한 지수)가 기록한 낙폭보다 2.42%포인트 높은 반면, CXO 섹터는 CSI300지수보다 43.39%포인트 높은 40.39%의 상승폭을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전문가들은 제약 섹터의 경우 세부 영역별로 성장 주기와 업계 전망이 모두 차별화된 만큼 투자가치가 높은 세부 섹터를 잘 선별하는 것이 성공투자의 관건이 될 것으로 예상했는데요.

이와 함께 △'CXO, 의료기기, 백신' 등 영역에서의 대장주 △바이오제약 업스트림 지원 산업체인과 과학연구 서비스 산업체인 등 신흥 성장 섹터 종목 △특수 원료 의약품과 의료기기 등 전통 제약 섹터 중에서 펀더멘털이 우수하고 밸류에이션이 낮은 분야의 종목 등에 주목할 것을 권고했습니다.

pxx17@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서부지법 난동' 첫 선고 2명 모두 실형 [서울=뉴스핌] 조승진 기자 = 윤석열 전 대통령의 구속영장 발부 전후인 지난 1월 18∼19일, 서부지법에서 발생한 난동 사건으로 구속기소된 95명 중 2명이 1심에서 실형을 선고받았다. 서울서부지법 형사6단독(재판장 김진성)은 14일 오전 특수건조물침입 등의 혐의로 기소된 김 모 씨와 소모 씨에 대한 선고 공판에서 김 모 씨에게 징역 1년 6개월, 소모 씨에게 징역 1년을 선고했다. 이날 선고는 서부지법 난동 사태 발생 4개월여 만에 나온 첫 선고다.  앞서 검찰은 김씨에게 징역 3년, 소씨에게 징역 2년을 구형했다. 지난 1월19일 오전 서울 마포구 서울서부지방법원 청사 유리창과 벽면이 파손되어 있다. 이날 윤석열 대통령 구속영장이 발부되자 윤 대통령 지지자들이 서울서부지법에 난입해 유리창을 깨고 집기를 훼손하는 등 난동을 부려 경찰이 강제진압에 나섰다. [사진=뉴스핌 DB] 선고는 김 씨부터 진행됐다. 재판부는 "이 사건은 특수건조물 침입, 공용 물건 손상, 특수 공무집행 방해"라며 "피고인이 증거에 관해서 자백하고 있고 보관 증거가 있어서 유죄로 인정된다"고 했다. 이어 "이 사건은 다중위력을 보인 범행이고, 범행 대상은 법원"이라며 "피고인을 포함해서 많은 사람들이 하나의 사건에 연관되었고, 당시 발생한 전체 범행의 결과는 참혹하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대한민국 사법부의 영장 발부 여부를 정치적 음모로 해석 규정하고, 그에 대한 즉각적인 응징, 보복을 이뤄야 한다는 집념과 집착이 이뤄낸 범행"이라고 했다. 재판부는 "다만 이 사건은 공동 범행이 아니라 단독 범행이기 때문에 피고인의 행위에 대해서만 평가한다"면서도 "다중의 위력을 보였다는 부분은 범죄사실에 포함되므로 고려한다"고 말했다. 이어 "피고인은 벽돌 등을 던져, 법원 건물 외벽 타일을 깨뜨렸고, 법원 경내로 들어가 침입했다"며 "법원 내부 진입을 막고 있던 경찰관들을 몸으로 밀어 폭행했다"고 했다. 다만 "피고인이 진지한 반성 태도를 보이고, 우발적으로 범행에 이르게 된 점, 초범인 점, 그밖에 양형 제반 사항을 고려해 징역 1년 6개월에 처한다"고 밝혔다. 이어진 소 씨의 선고에서 재판부는 "피고인이 자백하고 있고 보관 증거 있어 유죄"라고 했다. 그러면서 "피고인은 법원 경내로 들어간 다음 당직실 유리창을 통해 건물 1층 로비까지 들어가 침입했다"며 "화분 물받이로 창고 플라스틱 문을 긁히게 하고, 부서진 타일 조각을 던져 법원 건물 외벽 타일을 손괴했다"고 말했다. 다만 "피고인이 진지한 반성으로 보이고, 우발적 범행에 이르게 된 점, 초범인 점, 그밖에 양형 제반 사항을 고려해 징역 1년에 처한다"고 밝혔다. 이번 선고에 앞서 재판부는 "어제 딸에게 산책하며 '아빠가 어려운 사건을 선고한다'고 했더니 '이재명 사건이냐, 윤석열 사건이냐?'고 묻더라"며 "더 어려운 사건이 있겠구나 싶었지만, 결단과 선고 순간에는 어렵고 쉬운 사건이 없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 판결문을 머릿속으로 썼다가 지웠다 수없이 반복했다. 오늘 선고를 할지 말지도 많이 고민했다"고 했다. 그러면서 "오늘 선고가 정답이라고 생각지 않는다. 다만 결정과 결단의 문제라고 생각한다"며 "이 선고가 피고인의 남은 인생을 좌우하지 않는다고 생각하고, 남은 생은 피고인 본인답게 살아달라"고 당부했다. 또 "이 사건과 같은 날 있던 전체 사건을 포함해 법원, 경찰 모두 피해자라고 생각한다"며 "그날 직접 피해를 본 법원, 경찰 구성원분들과 지금도 피해를 수습할 관계자분들 노고에 감사하다. 기자들을 포함해 지금도 피해를 수습하는 과정인 거 같다"고 덧붙였다. 이어 "마지막으로 대한민국 어려운 시기에 시민들께서 사법부뿐 아니라 경찰, 검찰, 법원 전체에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져주시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chogiza@newspim.com 2025-05-14 11:05
사진
최정, 500홈런…한화 12연승 끝 [서울=뉴스핌] 장환수 스포츠전문기자= SSG가 7연승 중이던 NC에 짜릿한 역전승을 거두며 간판타자 최정의 KBO리그 첫 통산 500홈런을 자축했다. SSG는 13일 NC와 인천 홈경기에서 6-3으로 승리했다. 11일 KIA와 더블헤더부터 3연승을 달린 SSG는 NC를 제치고 4위 삼성과 승차 없는 5위에 올라섰다. [서울=뉴스핌] 장환수 스포츠전문기자= SSG 최정이 13일 NC와 인천 홈경기에서 6회말 500호 홈런을 날린 뒤 포즈를 취했다. [사진=SSG] 2025.05.13 zangpabo@newspim.com 최정은 0-2로 뒤진 6회말 2사 1루에서 NC 선발 라일리 톰슨의 6구째 시속 135㎞ 슬라이더를 잡아당겨 왼쪽 펜스를 넘기는 시즌 5호 110m 동점 투런포를 쐈다. 500홈런이기에 앞서 삼진 10개를 잡으며 무실점으로 호투하던 톰슨에게 일격을 가한 귀중한 한 방이었다. SSG는 곧 이은 7회초 서재철에게 적시타를 허용해 2-3으로 뒤졌으나 8회말 대거 4점을 뽑으며 역전에 성공했다. 선두 박성한의 볼넷과 최정의 내야 안타로 만든 무사 1, 2루에서 한유섬의 2루타로 3-3 동점을 만들었다. 이어 라이언 맥브룸이 고의볼넷을 얻어 만든 무사 만루에서 최준우의 역전 2타점, 1사 후 정준재의 쐐기 1타점 적시타로 점수 차를 벌렸다. 류현진. [사진=한화] 한화는 두산과 대전 홈경기에서 연장 11회 접전 끝에 3-4로 졌다. 12연승이 중단된 한화는 이날 4연승한 LG에 공동 선두를 허용했다. 두산은 3-3으로 맞선 연장 11회초 강승호의 볼넷 후 대주자로 나간 전다민을 1루에 두고, '1할 타자' 임종성이 좌익선상에 떨어지는 2루타를 날려 귀중한 결승점을 뽑았다. 반면 한화 선발 류현진은 6이닝을 6탈삼진 6안타 1실점으로 막았지만 팀에 승리를 안기지 못했다. 한화는 1-1로 맞선 6회말 무사 만루에서 노시환이 투수 앞 병살타로 물러난 게 뼈아팠다. 연장 11회말에는 노시환의 안타 후 대주자로 나간 이상혁이 채은성의 삼진 때 2루 도루에 실패했다. 이날 두 팀은 한화가 8명, 두산이 6명의 필승조 투수를 모두 투입하는 총력전을 펼쳤다. [서울=뉴스핌] 장환수 스포츠전문기자= 삼성 르윈 디아즈가 13일 kt와 대구 홈경기에서 5회시즌 16호 투런홈런을 날린 뒤 다이아몬드를 돌고 있다. [사진=삼성] 2025.05.13 zangpabo@newspim.com 수석·투수·타격 코치를 교체한 삼성은 kt와 포항 홈경기에서 접전 끝에 5-3으로 승리, 최근 8연패에서 탈출했다. 삼성은 2회말 1사 만루에서 구자욱이 2타점 중전안타로 2-0을 만들었고, 5회말에는 홈런 선두 르윈 디아즈가 시즌 16호 우월 투런홈런을 날려 4-0으로 달아났다. 삼성 선발 이승현은 5이닝을 5안타 무실점으로 막아 시즌 5연패 뒤 첫 승을 신고했다. 반면 kt는 6연패에 빠졌다. 오스틴 딘. [사진 = LG] 잠실에선 LG가 키움을 9-6으로 따돌리고 4연승을 달렸다. 초반 6점 차 리드를 지키지 못하고 6-6으로 동점을 내준 LG는 7회말 오스틴 딘의 솔로 홈런으로 다시 리드를 잡았다. 오스틴은 1회에도 선제 솔로홈런을 날려 한 경기 2홈런을 기록했다. LG는 8회말에는 홍창기와 문성주의 연속 안타로 2점을 보태 승부를 갈랐다. 그러나 LG는 이날 시즌 첫 홈런을 신고하기도 한 붙박이 톱타자 홍창기가 9회초 수비 중 다리를 크게 다쳐 웃을 수 없는 하루가 됐다. 김도영. [사진 = KIA] 광주에선 KIA가 김도영의 결승 2루타를 앞세워 롯데를 4-1로 꺾었다. KIA는 5회말 한승택과 박찬호의 안타로 만든 2사 1,2루에서 김도영이 좌중간 2루타를 터뜨렸고, 최형우가 중전 적시타를 날려 3-0을 만들었다. 8회말에는 김도영의 좌전안타와 볼넷 2개로 만든 무사 만루에서 변우혁의 유격수 병살타 때 1점을 보태 승부를 갈랐다. KIA 선발 김도현은 5.1이닝을 4안타 1실점(비자책)으로 막아 2승(2패)를 올렸다. zangpabo@newspim.com 2025-05-13 22:59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