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최장 9일 중국 단오절 연휴, 해외 유커 톱10 선호국에 한국 빠져 일본 태국 1,2위

기사입력 : 2019년05월30일 17:30

최종수정 : 2019년05월30일 17:30

[서울=뉴스핌] 김경동 기자 = 오는 6월 7일부터 3일간 중국은 3대 명절 중 하나인 단오절(端午節) 연휴를 맞는다.  6월 3일부터 6일까지 휴가신청을 하면 최장 9일의 휴가를 즐길 수 있다.

2019년 상반기 마지막 연휴라서 여행객들의 단오 나들이가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4월말 기준 우리나라를 찾은 중국 관광객은 186만명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31.3% 증가했다. 

중국 레저여행 예약전문 플랫폼인 투뉴(途牛)가 최근 발표한 ’2019단오연휴여행소비추세보고’에 따르면 단오절 연휴 기간 중 4~5일 여정을 계획한 이들이 40%로 가장 많았고, 3일 이내 31%, 7일 이상 29%로 나타났다.

공식적인 휴일은 3일이지만 휴가를 신청해서라도 연휴를 즐기겠다는 분위기가 대세다. 이런 흐름에 따라 해외여행을 계획한 비율은 43%를 차지하였으며, 국내여행 37%, 주변 관광지 여행 20%로 나타났다.

[사진=바이두]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단오절 기간에는 전국적으로 약 8910만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7.9%가 증가해 362억위안의 총 매출을 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단오절 연휴에는 1억명에 가까운 인원이 여행을 떠날 것으로 보이며, 가족여행을 선호하는 이들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 기간에 관광지 입장권 할인, 고속철도 개통, 항공노선 증가, 무비자나 도착 비자가 가능한 목적지가 많아진 것 등은 관광객 증가의 좋은 호재로 작용할 전망이다.

중국 최대 온라인 여행 티켓 서비스 회사인 셰청(攜程)의 예약 상황에 따르면 패키지 여행의 목적지는 구이린(桂林), 베이징, 우루무치(烏魯木齊), 리장(麗江), 산야(三亞), 쿤밍, 구이양, 장자제(張家界), 란저우(蘭州), 샤먼(廈門) 등이 인기를 모았다.

자유여행은 산야, 상하이, 광저우, 샤먼, 청두, 베이징, 충칭, 주하이(珠海), 시안, 다롄(大連) 등이 선호 지역으로 꼽혔다. 날씨가 점차 더워지고 있는 가운데 유명 피서지인 저우산(舟山), 야안(雅安), 하얼빈(哈爾濱), 선양(沈陽), 창춘(長春) 등도 예약이 늘고 있다.

올해 단오절은 아동절(6.1)과 맞물리면서 부모와 아이가 함께 여행을 떠나는 가족여행도 많다. 셰청의 세계여행 신청 통계를 보면 가족과 함께 즐기는 여행지 검색이 통계 대비 200% 이상 증가했으며, 상하이, 선전, 광저우, 항저우, 난징, 쑤저우(蘇州), 베이징, 샤먼, 주하이, 청두 등이 여행 후보지로 관심을 끌었다.

[사진=바이두]

연령대를 보면 해외여행을 계획하고 있는 여행객은 80후가 39%로 가장 많았으며, 그 뒤를 이어 90후 23%, 70후 18%, 60후 10%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단오 연휴기간 이국적인 풍광을 즐기려는 관광객 선호도는 여전했다.

이번 단오 연휴기간 중 해외여행을 계획하고 있는 이들에게 어느 지역을 여행하겠냐는 질문에 일본을 가장 많이 꼽았으며 이어 태국, 싱가포르, 이탈리아, 인도네시아, 베트남, 프랑스, 스위스, 독일, 러시아 등을 가고 싶은 해외 여행지 TOP10으로 골랐다. 10대 여행 선호국에 한국은 빠졌다. 

이들은 출국 비행 시간이 비교적 짧고 비자가 편리하다는 이유로 일본 및 태국,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등을 선호했다. 또한 풍경이 아름답고 기온이 온화하다는 이유로 푸껫, 발리, 사바, 나짱, 코사무이 등 휴양지로 유명한 동남아 지역의 바닷가나 섬을 선택했다.

선호 도시는 홍콩, 방콕, 도쿄, 오사카, 마카오, 싱가포르, 푸껫, 타이페이, 치앙마이 순으로 나타났다. 장거리 해외여행으로는 프랑스, 이탈리아, 스위스 등 유럽여행의 클래식 이외에 일대일로를 잇는 러시아, 체코, 슬로바키아, 크로아티아, 세르비아 등도 눈길을 받았다.


hanguogege@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국힘 대선후보 김문수 56.53% 득표 [서울=뉴스핌] 국회사진취재단 = 국민의힘 대선후보로 선출된 김문수 후보가 3일 오후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국민의힘 제5차 전당대회에서 당직자들과 손을 들며 인사하고 있다. 2025.05.03 photo@newspim.com   2025-05-03 17:28
사진
李 파기환송심 서울고법 재판장은? [서울=뉴스핌] 이성화 기자 = 대법원 전원합의체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을 유죄 취지로 서울고법에 돌려보낸 지 하루 만에 이 후보의 파기환송심을 맡을 재판부와 첫 공판기일이 정해졌다. 서울고법은 2일 오후 이 후보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파기환송심을 형사7부(재판장 이재권)에 배당했다. 또 이날 이 후보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과 관련해 소환장 및 기일통지 발송에 이어, 집행관 송달을 촉탁했다. 집행관 송달은 우편송달이 되지 않을 때 진행하는 특별송달이다.  서울고법의 선거사건 전담 재판부는 형사2부, 6부, 7부 3곳인데 이 후보의 기존 항소심 재판부인 형사6부는 배당 대상에서 제외됐고 6부의 대리 재판부인 형사7부에 배당됐다. [서울=뉴스핌] 김학선 기자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지난 1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한국노총과의 정책협약식에 참석하고 있다. 이날 대법원은 이재명 대선 후보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에 대해 무죄를 선고한 2심 판결을 파기 환송했다. 2025.05.01 yooksa@newspim.com ◆ 이재권 재판장, '민주당 돈봉투' 등 사건 맡아 해당 재판부는 '민주당 돈봉투' 사건으로 기소된 이성만 전 의원과 송영길 소나무당 대표의 전 보좌관 박용수 씨 사건을 심리하고 있다. 이밖에 폐수 불법 배출 혐의를 받는 HD현대오일뱅크 사건, 김학의 전 법무부 차관 사건 관련 허위 면담보고서 작성 혐의를 받는 이규원 조국혁신당 전략위원장(전 부부장 검사) 사건도 맡고 있다. 해당 재판부는 이재권(사법연수원 23기) 부장판사와 박주영(33기)·송미경(35기) 고법판사로 구성됐다. 재판장은 이 부장판사가, 주심은 송 고법판사가 맡는다. 이 부장판사는 제주 서귀포 출신으로 제주제일고등학교와 서울대학교 법대를 졸업했다. 1997년 서울중앙지법 판사로 임관한 뒤 서울행정법원 판사, 제주지법 부장판사, 수원고법 부장판사 등을 거쳐 지난해 2월부터 서울고법 부장판사로 근무하고 있다. 특히 이 부장판사는 2005년 법원행정처 사법정책연구심의관, 2006년 법원행정처 사법정책실 판사, 2021~2024년 사법정책연구원 수석연구위원 등을 역임했다. 이용훈·양승태 전 대법원장 재임 당시인 2010년~2012년에는 대법원장 비서실 판사로도 근무했다. 박 고법판사는 서울과학고등학교와 서울대 산업공학과를 졸업했다. 2004년 서울중앙지법 판사를 시작으로 서울서부지법 판사, 수원지법 판사, 부산지법 부장판사, 의정부지법 부장판사를 역임했고 올해 2월 서울고법에 부임했다. 송 고법판사는 부산서여자고등학교와 이화여대 법학과를 졸업한 뒤 같은 대학원 법학과 석사과정을 거쳐 2006년 서울중앙지법에서 판사 생활을 시작했다. 서울남부지법 판사, 부산지법 판사, 인천지법 판사 등을 거쳐 2022년 2월부터 서울고법에서 근무하고 있다. 김명수 대법원장 시절인 2019년~2022년에는 대법원 재판연구관을 지냈다. [서울=뉴스핌] 김학선 기자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1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한국노총과의 정책협약식에 참석하고 있다. 이날 대법원은 이재명 대선 후보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에 대해 무죄를 선고한 2심 판결을 파기 환송했다. 2025.05.01 yooksa@newspim.com ◆ 첫 파기환송심 15일...李 불복 뒤 재상고 가능성 커 파기환송심 첫 공판기일은 오는 15일 오후 2시로 지정됐다. 이날 사건이 배당된 지 약 한 시간 만에 재판부가 기일을 지정하면서 이 후보 사건은 신속하게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파기환송심 선고 결과가 나오더라도 이 후보가 이에 불복해 대법원에 재상고할 것으로 보여 오는 6월 3일 대선 전 최종 판결이 나오기는 어렵다는 관측이 우세하다.   대법 전합은 전날 이 후보의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 사건 상고심 선고기일을 열고 이 후보에게 무죄를 선고한 원심 판결을 파기환송했다. 재판부는 이 후보가 대장동 개발사업의 핵심 실무자였던 고(故) 김문기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개발1처장과 골프를 쳤다는 의혹과 관련해 '사진이 조작됐다'는 취지로 한 발언, 백현동 개발사업 특혜 의혹과 관련해 국토부의 압박 내지는 협박이 있었다고 한 발언이 선거인의 정확한 판단을 그르칠 정도에 해당해 허위사실공표라고 판단했다. 재판부는 "김씨를 하위직이라서 몰랐다는 발언과 함께 골프 발언을 듣는 일반 선거인으로서는 출장은 같이 갔지만 함께 간 해외줄장 기간에 골프를 치지는 않았다는 의미로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게 된다"며 "그런데 피고인은 김씨 등과 함께 간 출장 기간에 골프를 친 것이 사실이므로 이 발언은교유행위에 관한 허위사실 공표에 해당한다"고 판시했다. 또 "백현동 개발 특혜 의혹과 관련해 '국토부가 이 사건 의무조항을 들어 용도지역 변경을 압박했다'는 취지의 발언과 '국토부가 이 사건 의무조항에 따르지 않으면 직무유기를 문제 삼겠다고 협박했다'는 취지의 발언은 사실의 공표이지 단순히 과장된 표현이거나 추상적인 의견 표명에 그치는 것이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대법원 판결은 기속력이 있기 때문에 파기환송심은 이를 뒤집을 만한 중대한 증거가 새롭게 제시되지 않는 이상 대법원 판결 취지에 따라 이 후보에 대한 추가 양형 심리를 거쳐 유죄를 선고하게 된다. 이 후보의 공소사실을 유죄로 판단한 1심은 의원직 상실형인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한 바 있다.  shl22@newspim.com 2025-05-02 18:55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