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박다영 수습기자 = 폐암, 폐결핵, 폐렴, 기흉 등 흉부 4대 질환을 전문의보다 더 정확하게 판독하는 인공지능(AI) 시스템이 개발됐다.
박창민 서울대병원 영상의학과 교수와 소프트웨어 기업 연구팀은 흉부 4대 질환을 찾을 수 있는 인공지능 보조진단 시스템이 완성됐다고 1일 발표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인공지능 보조진단 시스템의 정확도는 97%에 달했다.
![]() |
일반 엑스레이(왼쪽)와 인공지능 시스템(오른쪽)이 우측 하부 폐의 폐암을 확인한 사진. [사진=서울대병원] |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자마 네트워크 오픈(JAMA Network Open)' 최근호에 게재됐다.
박 교수팀은 인공지능이 총 9만8621건의 흉부 엑스레이를 학습하도록 했다.
이후 서울대병원, 보라매병원, 강동경희대병원, 을지대병원, 프랑스 그르노블 대학병원 등 총 5개 병원에서 인공지능의 성능을 검증한 결과 정확도가 평균 97% 이상이었다.
영상의학과 전문의를 포함한 15명의 의사와의 비교평가에서도 인공지능은 대부분 판독의사보다 진단 정확도가 높았다. 의료진이 인공지능의 보조를 받는 경우에는 최대 9%p까지 판독능력이 향상됐다.
이번에 개발된 인공지능 시스템은 환자의 흉부 엑스레이 영상을 분석해 이상 소견이 있는 부위를 표시하고 그 가능성을 확률 값으로 제시한다. 의료진은 인공지능 소프트웨어의 도움을 받아 손쉽게 영상진단을 내릴 수 있게 된다.
박창민 교수는 “폐 결절만 확인 할 수 있는 기존 시스템으로는 모든 질환을 한 번에 판단해야 하는 실제 진료현장에 활용하기에 부족한 점이 있었다”며 “보완된 흉부질환을 한 번에 확인 할 수 있어 임상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allzero@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