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장 대가성 혐의 CJ·롯데 등으로 수사 확대 전망
법조계 “朴 뇌물수수 혐의 조사지만, 대기업 수사 확대”
[뉴스핌=김기락 기자] ‘박근혜-최순실 국정농단’ 수사에 나선 검찰 특별수사본부가 SK그룹 수사를 시작하자 현대자동차그룹, CJ그룹, 롯데그룹 등 대기업이 검찰 수사에 이목을 곤두세우고 있다.
이들 기업은 박근혜 전 대통령과 최씨가 실제 장악한 미르·K스포츠재단에 공통적으로 기금을 출연한 만큼, 뇌물죄에 휩싸여있다. 검찰 소환 조사 역시 이와 관련이 깊다는 해석에 검찰 안팎에선 대기업 수사가 급물살을 탈 것이란 관측이 나오고 있다.
검찰 특수본은 16일 대기업 수사가 오는 21일 조사를 받는 박 전 대통령의 뇌물수수죄와 깊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 |
대기업 수사에 나선 검찰 특별수사본부의 이영렬 본부장(서울중앙지검장) <사진=김학선 사진기자> |
검찰이 당초 박 전 대통령 조사와 우병우 전 청와대 민정수석을 먼저 조사한 후, 대기업 조사에 나설 것이란 전망이 많았으나 대기업들이 초긴장하고 있다.
‘비선실세’ 최순실 씨와 박 전 대통령이 실제 장악한 것으로 알려진 미르·K스포츠재단은 국내 대기업의 출연금을 통해 설립됐다.
기업별 재단 출연금은 삼성 204억원으로 가장 많고, 현대차그룹(현대차·기아차·현대모비스 128억원), SK(111억원), LG(78억원), 포스코(49억원), 롯데(45억원), 한화(25억원), CJ(13억원) 등이다.
특히, 삼성전자 이재용 부회장이 최씨와 박 전 대통령에게 뇌물공여한 혐의로 구속된 만큼, 형평성을 위해서라도 강도 높은 검찰 수사가 있어야 한다는 게 법조계 시각이다.
서울 서초동 한 변호사는 “대선을 앞두고 박 전 대통령 수사에 초점을 맞출 것이란 시각이 나온 바 있는데, 이를 깨고 특검에서 수사를 다하지 못한 대기업 수사에 검찰이 바로 나선 것”이라며 “박 전 대통령의 뇌물수수 혐의 등을 들여다보기 위한 참고인 성격 조사로 보이지만, 대기업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매우 커 보인다”고 내다봤다.
[뉴스핌 Newspim] 김기락 기자 (peoplekim@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