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글로벌

속보

더보기

[억만장자따라잡기] 그들의 주머니엔 IT株가 '한가득'

기사입력 : 2014년06월02일 10:37

최종수정 : 2014년06월13일 11:22

마이크론·프라이스 라인 늘리고 GM 버렸다

최근 1년 수익률, 시장 대비 8% 아웃퍼폼으로 월등 성적 유지

1만달러 투자시 S&P500지수와 억만장자(아이빌리어네어지수)의 수익률 비교 그래프.[출처=iBillionaire Index
[뉴욕=뉴스핌 박민선 특파원] 억만장자들의 투자 패턴을 추종하는 '아이빌리어네어 지수(iBillionaire index)'가 꾸준히 시장 대비 아웃퍼폼의 수익률을 유지함으로써 투자자들의 길라잡이 역할을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뉴욕증권거래소(NYSE)가 인터콘티넨탈익스체인지와 합병해서 S&P500 종목 가운데 세계 10대 억만장자 투자자들이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는 30개 종목의 수익률을 보여주는 이 지수의 5월 말 기준 최근 1년간 수익률은 22.87%로 S&P500지수의 14.88%를 8% 가량 앞서고 있다.

뉴욕 증시가 4월 한때 조정기를 거친 이후 다시 반등에 성공하며 신고점 경신 행진을 하는 선전을 보이고 있으나 '아이빌리어네어 지수'는 최근 한달간 기준으로도 시장 수익률(0.88%)을 넘어선 3.24%를 기록 중이다.

애플, 웰스파고 '불변의 TOP2', 신흥 강자는?

이 같은 수익률을 창출하는 데 있어 워렌 버핏을 포함한 10대 억만장자들의 주머니 속에 담겨 있는 종목들에는 크고 작은 변화가 있던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월 당시 기준 이 지수에 편입된 10대 종목들은 ▲애플(편입비중 9.40%) ▲웰스파고(6.40%) ▲AIG(5.95%) ▲야후(5.67%) ▲코카콜라(5.27%) ▲제너럴모터스(4.90%) ▲아메리칸 익스프레스(4.66%) ▲프라이스라인(4.50%) ▲21세기 폭스(4.49%) ▲IBM(4.39%)이었다.

5월 말 기준 상위 1·2위 종목인 애플과 웰스파고는 기존 순위를 유지했으나 10위권 밖에 있던 마이크론 테크놀로지가 급부상하며 Top3에 진입했는가 하면, 8위에 그쳤던 프라이스라인도 편입비중이 기존 4.50%에서 5.42%로 확대되면서 4위로 올랐다.

특히 마이크론 테크놀로지는 '차세대 워렌 버핏'으로 불리는 세스 클라만이 자신의 포트폴리오 중 30% 가량을 할애할 만큼 확신을 보이고 있는 종목으로 투자자들은 핵심가치 투자자인 그의 선택이라는 점에서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클라만의 마이크론 주식 평균 매입 단가는 12.89달러로 그는 현재 121.73%라는 기록적인 수익률을 달성 중이다.

그 외 코카콜라와 IBM의 편입비중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한 반면, 21세기 폭스는 4.49%에서 4.05%로 비중이 소폭 줄었다.

3개월 전 3위를 기록했던 AIG는 12위까지 밀렸고 올해 들어 리콜 사태가 끊임없이 이어지고 있는 제너럴 모터스는 아예 억만장자들의 포트폴리오에서 자취를 감춰 이들이 현재 GM의 상황에 대해 비관적인 견해를 보이고 있음을 시사했다.

 ◆ 억만장자들에게 최대 수익률 안긴 종목은?

수익률 기준으로는 2월 당시 기준 1년 수익률이 2.77% 수준에 불과하던 애플이 5월 말 기준 45.96%까지 뛰어 억만장자들이 애플에 대해 무한 애정을 이어온 데에는 이유가 있었다는 것을 증명했다.

현재 애플의 주식을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는 억만장자는 데이비드 아인혼으로 그가 애플을 통해 거둔 수익률은 65.02%에 달한다. 뒤를 이어 '기업 사냥꾼'으로 불리는 칼 아이칸과 데이비드 테퍼가 30% 이상의 플러스 과실을 거두고 있었으며 조지 소로스도 애플을 통해 무려 58.17%의 수익률을 달성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번스타인리서치는 애플이 이전 대비 커진 스크린과 개선된 기능을 탑재한 '아이폰6'를 출시하면서 주가 상승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하며 목표주가를 기존 615달러에서 700달러로 상향 조정하기도 했다. 애플 주가의 사상 최고치는 지난 2012년 9월 기록했던 주당 702달러선이다.

또 최근 러브콜을 이어가고 있는 마이크론 테크놀로지의 연간 수익률도 148%를 상회했으며 'Top10'의 뉴 페이스인 액타비스도 연간 기준 68.31%의 성적을 거두고 있어 탄탄한 주가 흐름이 뒷받침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섹터별 편입비중, IT가 단연 월등

업종별로는 여전히 기술주에 대한 사랑이 우세한 것으로 집계됐다.

 

'아이빌리어네어 지수'에 편입된 종목 중 31.83%가 기술주를 차지해 억만장자들이 IT주에 대한 식지 않는 사랑을 이어가고 있음을 증명했고 금융주가 뒤를 이어 22.74%의 비중을 차지함으로써 이들 두 섹터가 절반 이상에 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S&P500지수 내에서 기술주의 비중이 18.47%임을 감안한다면 기술주가 이 지수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0%포인트 이상 높은 것이다.

이어 필수소비재(Consumer Staples)와 통신주, 헬스케어주가 각각 15.01%, 9.47%, 8.82% 를 차지했으며 에너지주와 재량소비재(Consumer Discretionary), 원자재주가 나머지 10% 가량을 채우고 있다.


[뉴스핌 Newspim] 박민선 기자 (pms0712@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젊은 윤석열" 싸늘하게 식은 현장민심 [서울=뉴스핌] 신정인 기자 =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가 대선 마지막 TV토론에서 '여성 신체 부위' 발언을 한 이후 유세 현장에선 싸늘하게 식은 민심이 엿보였다. 이준석 후보가 해당 발언에 대해 기자들에게 해명하는 도중 지나가던 시민들은 "젊은 윤석열", "여성 유권자들에게 사과하라"고 소리치는 모습도 포착됐다. [서울=뉴스핌] 신정인 기자 = 이준석 개혁신당 대통령 후보가 28일 서울 강남구 강남역 인근에서 유세 트럭에 올라 유세 연설을 하고 있다. 2025.05.28 allpass@newspim.com 28일 오후 서울 강남구 이준석 후보 캠프 빌딩 인근에서 만난 직장인 김모(37) 씨는 "대통령 후보를 뽑는 토론인데 (발언이) 과하다는 생각이 들었다"며 "자신이 싫어하는 정치인 가족에 대해 의혹을 제기하면서 사적인 감정이 섞인 것 같다"고 했다. 이준석 후보의 지지자들 사이에서도 실망스러운 반응이 이어졌다. 대학생 임모(27) 씨는 "젊고 성실한, 신선한 모습이 좋아서 팬이었는데 어제 발언은 실망이 크다"며 "본인이 여혐 프레임을 벗고 싶었다면 어제처럼 발언했으면 안 된다고 생각한다. 앞으로 여성 지지층을 얻기 더욱 힘들어질 것 같다"고 했다. 이날 이준석 후보의 마지막 유세 현장인 강남 코엑스를 찾은 직장인 서모(39) 씨도 "그간 토론을 보면서 주목해왔던 후보인데, 어젠 사석 술자리에서도 안 할 법한 이야기를 했다고 느꼈다"며 "꼭 본인 입으로 그 얘기를 해야 했는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서울=뉴스핌] 신정인 기자 = 시민들이 28일 오후 서울 강남구 코엑스 앞 잔디마당에서 이준석 개혁신당 대통령 후보의 유세 연설을 듣고 있다. 2025.05.28 allpass@newspim.com 이준석 후보는 코엑스 유세 현장에서 직접 논란의 발언에 대해 언급하기도 했다. 코엑스 앞 유세차량에 오른 그는 연설 도중 "이준석을 제명시키자고 국회 윤리특위에서 뭘 낸다더라. 참 같잖아서 말이 안 나온다"고 했다. 그는 "이재명 후보에게 인터넷상에 이재명 후보 아들로 추정되는 사람이 했던 말에 대해 검증을 하겠다고 사전질문으로 '이런 것에 대한 당신들의 기준이 어떠냐'고 물은 것이 징계사유라고 하는 건 예전에 70년대, 80년대에 야당을 탄압하던 독재정권에서 갖다붙이던 얘기 아니냐"고 지적했다. 유세현장에 있던 박모(34) 씨는 "토론 표현이 너무 노골적이었다. 아이들이 듣고 인터넷으로 자세히 찾아볼까 걱정됐다"며 "전 연령층이 다 보는 토론 자리에서 할 말은 아닌 것 같다"고 지적했다. 취지는 좋으나 방식이 안타까웠단 목소리도 나왔다. 최모(29) 씨는 "상대 후보의 가족리스크, 성인식 관념에 대해 검증하려는 시도는 알겠으나 그걸 확인하는 방식이 너무 거칠었던 것 같다"고 아쉬움을 드러냈다. 앞서 이준석 후보는 전날(27일) 서울 마포구 MBC에서 열린 3차 TV토론에서 권영국 민주노동당 대통령 후보에게 여성 신체 부위를 언급하며 "어떤 사람이 이런 이야기를 했다고 하면 여성 혐오냐"고 물었다. 이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통령 후보 아들로 추정되는 인물이 과거 온라인 게시물에 올렸던 여성에 대한 부적절한 표현을 언급한 것이다. 이에 권영국 후보는 "답변하지 않겠다. 묻는 취지를 잘 모르겠다"고 답했다. 이후 더불어민주당과 민주노동당, 여성단체 등은 이준석 후보의 발언을 성폭력·언어폭력이라고 비판했다. 또 이병철 변호사와 사회단체 '정치하는 엄마들'은 잇따라 이준석 후보에 대한 수사기관 고발 방침을 밝혔다. 이준석 후보는 28일 오전 유세를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실제 발언 원본을 보신 분은 아시겠지만 순화해서 표현한 것이고, 그에 대해 어떻게 더 순화할지 잘 모르겠다"고 설명했다. 그는▷ "어제 토론을 보면서 불편하셨을 국민께 심심한 사과를 전한다"면서도 "그런 언행이 사실이라고 한다면 충분히 검증이 필요한 사안"이라고 강조했다. allpass@newspim.com 2025-05-28 19:51
사진
정치색 논란 부른 카리나 빨간 점퍼 [서울=뉴스핌] 최문선 인턴기자 = 걸그룹 에스파 멤버 카리나가 올린 한 장의 사진이 예상치 못한 정치색 논란으로 번졌다. 카리나는 27일 자신의 인스타그램에 장미 이모티와 함께 일본 거리에서 찍은 사진을 올렸다. 사진 속 카리나는 빨간색으로 숫자 2가 적힌 점퍼를 입고 있다. 해당 게시물은 빠르게 삭제됐다. [서울=뉴스핌] 최문선 인턴기자 = 사진을 올렸다가 급하게 삭제한 에스파 카리나. [사진=카리나 SNS 캡처] 2025.05.28 moonddo00@newspim.com 카리나의 '빨간 점퍼+숫자 2' 사진 논란은 단순한 일상 사진이 선거를 앞둔 민감한 시기에 정치적 해석으로 번진 사례다. 이번 논란을 두고 "유명인은 신중해야 한다"는 의견과 "과도한 해석은 자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다. 카리나 팬덤은 28일 "정치적 프레임과 온라인 혐오 속에서 여자 연예인이 희생되면 안된다"며 "한 여자 연예인의 SNS 게시물이 특정 정치적 의미로 해석되며 논란이 확산됐다"고 성명문을 냈다. 이어 "표현의 자유는 결코 누군가의 명예와 존엄을 훼손하는 방식으로 행사되면 안된다"고 덧붙였다.   이 모습에 일부 누리꾼들은 "애국 보수 카리나", "오늘부터 팬"이라고 댓글을 달고 특정 정당 후보를 지지하는 것 아니냐며 추측했다. 반면, "다 정치색으로 해석하는 건 피곤하다", "추측이 지나치다" 등의 반응도 많다. 3년전인 지난 대선 기간에 그룹 몬스타엑스 민혁은 공식 팬카페에서 빨간색 하트 이모지를 게시했다가 특정 정당을 지지하는 것이 아니냐는 의혹을 받았다. 이에 민혁은 "쓸데 없는 데에 의미 부여하지 마라. 시간 낭비다. 마음 그대로 봐라. 아이돌 정치 얘기 안 한다고 몇 번 얘기했다"며 불쾌함을 드러내기도 했다. 에스에프나인(SF9) 다원은 유 소통 어플 닉네임을 '2상혁'이라고 교체해 "대놓고 2번을 지지한다고 티를 냈다"는 의혹을 받았다. 배우 정호연은 '1번'이라고 적힌 종이가 붙은 바닥 사진을 게재해 역시 대선 당일 특정 후보 지지 의사를 밝힌 것이 아니냐는 의혹을 받기도 했다. [서울=뉴스핌] 최문선 인턴기자 = 당시 태연은 인스타그램 스토리. [사진=태연 SNS] 2025.05.28 moonddo00@newspim.com 지난 22대 국회의원선거에서는 더보이즈 주연에 대한 '특정 정당' 정치색 논란이 불거지기도 했다. 주연은 개표 도중 유료 소통 어플 프로필 사진과 상태 메시지를 변경했다. 사진 속 주연은 빨간색 후드 티를 입고 있었다. 이후 해당 프로필은 빛삭(빛의 속도로 삭제)됐지만 누리꾼들은 "무슨 생각으로 올린거지", "멀리 안 나간다" 등의 반응을 보였다.  그룹 뉴진스 멤버 혜인은 동료 하니의 국정감사 출석 이후 팬 소통 플랫폼 '포닝'의 프로필 사진을 '파란색 버니즈'로 변경해 때아닌 '정치색' 논란에 휩싸이기도 했다. 가수 태연은 제21대 국회의원선거를 하루 앞둔 날 자신의 인스타그램 스토리를 통해 'BLUE'라는 문구와 함께 파란색 가디건을 입고 찍은 사진을 공개해 특정 정당에 대한 지지 의사 표현 논란이 일었다. 배우 정우성은 인스타그램을 통해 드넓은 모래사장 한 가운데 투표 도장 마크가 선명하게 그려져 있는 파란 바다 사진을 공개, 누리꾼들은 특정 정당의 투표를 독려한 것이라고 추측하기도 했다. moonddo00@newspim.com 2025-05-28 09:5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