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이종달 기자]골프장도 소유와 경영을 분리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적자만 눈덩이처럼 커지는 데 붙잡고 있는 다고 해결되는 게 아니다.
골프장 운영을 전문회사에 맡기는 것도 방법이다. 외국의 경우가 그렇다. 국내에도 골프장 컨설팅 회사가 있다. 하지만 영세성을 면치 못하고 있다. 국내 골프장업계가 경영난에 허덕이는 틈을 타 외국의 골프장 운영전문회사들이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일부는 이미 국내에 진출했다. 세계적인 골프매니지먼트사 트룬골프(TRoon Golf)다. 이 회사는 지금은 오너스CC로 이름이 바뀐 엠스클럽를 운영하려고 했었다.
▲트룬 골프 국내 진출: 이 회사는 전 세계 200여개 골프장을 운영하고 있는 세계적인 골프 매니지먼트사다. 이미 31개 이상의 트룬 골프장이 ‘골프다이제스트’와 같은 골프 전문지가 선정한 세계 100대 골프장에 들 정도다. 운영하는 골프장의 25%가 국가별·지역별 톱 100 골프장에 속한다. 어느 나라에서든 톱 랭킹에 든다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세계 100대 코스에 든다는 것은 더더욱 어려운 일이다.
트룬 골프는 고객지향의 운영으로 정평이 나 있다. 고객의 90% 이상이 만족할 정도다. 고객이 트룬 골프에 만족하는 이유는 모든 면에서 하이엔드를 추구한다는 것. 코스상태는 물론 고객 서비스와 고품격의 식사·음료 제공 역시 중요하게 생각한다. 최고의 그린 설계가, 영업인, 식음료 전문인이 있어 세계 어디서든 동일한 서비스를 누릴 수 있다.
▲건설비를 낮춰라: 국내 운영회사는 골프장 건설 단계부터 뛰어 드는 게 바람직하다. 기존 수도권 골프장의 경우 18홀 기준, 준공까지 약 1000억원이 들어간다. 하지만 그 건설비를 절반으로 낮출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
경남 사천의 회원제 27홀 서포리조트는 공사 중단상태에서 150억원을 손해보고 290억원에 매각했다. 운영회사의 등장은 투자비를 낮출 수 있고 개장 후 경쟁력을 갖는다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대중골프장의 경우 18홀 기준 평균 8만명의 연 입장객으로 평균 매출액 110억원이 가능하다. 영업이익률 50%만 잡아도 약 55억원의 영업이익이 발생한다. 투자비를 450억~500억원으로 맞추고 운영회사에 맡기면 회생할 방법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운영회사의 1차 관심대상은 운영 중인 회원제골프장이 아닌 인허가가 종료되었거나 공사 중단중인 골프장이다.
지난 해 골프장의 주인이 바뀐 골프장은 운영 중인 골프장이 2개소, 공사 중인 골프장이 2개소, 인허가완료 1개소 등 5곳으로 알려졌다. 운영 중인 골프장은 인수목적으로 주인이 바뀌었다. 반면 공사 중이거나 인허가가 완료된 골프장은 기존의 투자비에서 약 40%를 할인받아 인수한 것이 특징이다.
공사 중 또는 인허가 완료된 골프장은 금융기관, 건설사, 시행사 등이 서로 일정부분 손해를 감수하고 투자자를 찾아야 한다. 사업부지 및 사업권에 평가 절하된 금액을 적용해 공사비를 대는 제2의 사업시행자가 나타날 수도 있다.
▲골프장 그룹 탄생하나: 분명히 골프장 사업은 한물갔다. 하지만 골프장 경영자 또는 소유자들은 과투자를 하지 않는다면 아직 매력이 있다고 말한다. 기존 골프장사업을 통해 재미를 본 골프장 오너들은 현 상황을 기회로 보고 있다. 신설골프장에 대한 매력을 느끼고 있다. 이들이 공통적으로 찾고 있는 신설골프장은 인구 100만이 넘는 배후도시권에서 50km 미만의 접근성, 18홀기준 총 투자비 450억 내외, 회원제보다는 대중제라는 점이다.
일부 골프장 오너들은 아무리 골프장업계가 어려워도 여러 골프장을 묶어 운영하면 답이 나올 것이라는 확신을 갖고 있다.
따라서 국내도 골프장을 10여개 이상 소유하는 ‘골프장 그룹’이 탄생해 공동으로 운영하는 회사가 등장할 여지가 충분하다.

[뉴스핌 Newspim] 이종달 기자 (jdgolf@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