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준 부회장, 최지성 부회장, 이재용 사장 등 스타급들 새해 각오 밝혀
# 구본준 LG전자 부회장 “인생은 열심히 노력하는 자에게 복이 온다”
# 최지성 삼성전자 부회장 “향후 10년 간은 과거 10년보다 10배 빠른 변화”
# 이재용 삼성전자 사장 “자만하지 않고 계속 도전하고 전진”
[뉴스핌=유효정기자] 6일부터 9일까지 개최된 CES 2011 전시회 참관차 라스베가스를 찾은 CEO 및 수장들은 향후 경영에 임하는 ‘화두’를 던지면서 한 해를 시작했다.
좀처럼 언론에 모습을 드러내지 않던 LG전자 구본준 부회장은 취임 이후 최초로 라스베이거스에서 기자간담회를 마련해 경영철학을 과감하고 담백히 밝혔다.
“기본이 무너졌다”는 소회를 전한 구본준 부회장은 “CEO 한 사람 왔다고 해서 크게 좋아질 것이라고 생각했다면, 여기 기자들 모두 잘못 온 것”이라고 운을 뗐다.
이어 “항공모함이 방향을 바꾸는데 돛단배처럼 빨리 바뀌지 않을 것”이라며 “열심히 하고 있지만 시간은 더 걸릴 것 같다고 말씀 드리고 싶다”고 말했다. 일반적으로 위기 상황에서 ‘빠른 실적 개선을 통해 선두가 되겠다’ 같은 교과서적인 말 대신 솔직한 화두로 공감을 얻은 것.
어떤 수치적인 목표도 제시하지 않은 구 부회장은 단지 “인생은 열심히 노력하는 자에게 복이 온다”며 “미리 앞서 준비 하고, 기본에 충실할 것”이라고 했다. LG전자의 조직 속성을 ‘독하게’ 바꾸겠다는 단단한 각오도 전했다.
한편 이재용 삼성전자 사장도 같은 날 오후 전시회장에서 기자들과 만나 ‘이건희 회장의 도전정신을 본받아 ‘끊임없이 나아가겠다’며 최근 경영에 임하는 심경을 밝혔다.
특히 “회장님은 끝없이 도전하시는 분이며 전문 엔지니어나 금융전문가, 전문 영업맨은 아니지만, 모든 사물에 대해서 종합적이면서 입체적으로 보는 시각과 도전정신을 갖고 있다”며 “나는 이런 시각과 도전정신을 배우려고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제가 회장님의 도전정신을 똑같이 따라한다고 그대로 되는 것은 아니지만 나름대로 소화해내려고 열심히 노력하고 있다”며 최근의 노력에 대해 전했다.
이어 “회장님은 개인 일이든, 회사일이든 지고는 못배기는 DNA를 가지고 있는 분이며 아울러 그분은 변화를 즐기고, 이를 극복해내는 분”이라며 “지난해 실적이 그런대로 좋은 편이었지만, 자만하지 않고 계속 도전하고 전진해나가자는 게 회장님의 일관된 메시지”라며 이 회장의 도전 정신을 이어 받아 경영에 임하겠다는 다짐을 밝혔다.

삼성전자와 LG전자의 각 사업부 수장들도 기자간담회와 사적인 자리를 통해 올해 경영 화두를 쏟아냈다.
최지성 삼성전자 부회장은 “과거에 10년간 겪었던 21세기 첫 10년과 앞으로 10년은 과거의 10년간 일어났던 것에 비해 10배는 빠를 것”이라며 ‘속도’의 시대를 맞이하는 긴장감을 전하고 이에 임하는 각오를 밝혔다.
최 부회장은 한편 생활가전, 네트워크 사업부, 디지털 이미징 분야 등 삼성전자가 글로벌 선두를 차지하지 못하고 있는 분야에 대한 성장 의욕도 내비쳤다.
또 최 부회장은 전시회장 삼성전자 부스에서 직접 파나소닉 CEO를 맞아 제품 시연을 함께 하며 회동을 가지기도 했다.
윤부근 삼성전자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 사장과 신종균 삼성전자 무선사업부 사장의 경우 각각 ‘TV’와 ‘스마트폰’에 대한 시장 전망을 공개하며 자신감을 드러냈다.
윤 사장은 전시회 현장에서 “올해 삼성전자의 3D TV 판매량을 약 1000만대, 스마트 TV 판매를 1200만대로 예상한다”며 “전체 평판TV 판매는 약 4500만대에 이를 것”이라고 목표치를 내걸며 자신감을 내비쳤다.
또 신 사장은 “올해 스마트폰만 6000만대를 판매하겠다”며 지난해 대비 2배 이상의 판매고를 올리겠다고 장담했다.
LCD 사업을 영위하는 수장들은 한결같이 자사 기술력에 대한 자신감을 드러냈다.
전시회장을 찾은 권영수 LG디스플레이 사장은 첫 고객 마케팅 현장을 마련하기 위해 직접 마케팅 및 전시 준비 현황을 꼼꼼히 챙기는 것은 물론, 고객들을 일일히 만나 ‘필름패턴편광안경방식(FPR) 3D’ 패널의 장점을 설명하는 등 현장 진두지휘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였다.
권 사장은 “FPR 패널을 채용한 기업들 가운데 이미 셔터글래스(SG) 방식 3D 패널 TV를 판매하고 있는 업체들이 있는데, 아마 빠른 시간 내에 SG를 접을 수 밖에 없을 것”이라며 자신감을 드러냈다.
이에 대해 장원기 LCD 사업부 사장은 “필름패턴편광방식(FPR) 3D 패널은 2D 화질이 떨어진다”며 현재 주력으로 삼고 있는 셔터글래스(SG) 방식만을 고수할 것이라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한편 이번 CES 전시회에서 가장 인기있는 부스는 파나소닉과 소니 부스였다.
특히 전시회 둘쨋날 전시장을 찾은 이재용 사장과 구본준 부회장이 나란히 파나소닉과 소니 부스를 찾아 방문해 이목을 모았다.
또 장원기 LCD사업부 사장 등 수장들도 파나소닉과 소니 부스는 ‘필수 코스’ 였다.
특히 3D 패널 등을 주의깊게 본 CEO들은 향후 3D 시장 등 전략을 점검하는 기회로 삼았다.
▶ 글로벌 투자시대의 프리미엄 마켓정보 “뉴스핌 골드 클럽”
▶ 뉴스핌 Zero쿠폰 탄생! 명품증권방송 최저가 + 주식매매수수료 무료”
[뉴스핌 Newspim]유효정 기자 (hjyoo@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