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배규민 기자] 신한지주가 이사회 개최를 오는 30일로 앞당긴 가운데 이사회가 어떤 수습방안을 내놓을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재일교포 주주들과 이들을 대변하는 4명의 사외이사들 요구대로 라응찬 회장을 비롯한 3인 동시퇴진을 결정할 것인지, 퇴진한다면 그 방식은 어떻게 할지, 과도기 경영진 구성은 어떻게 할 것인지 등 하나하나가 초미의 관심사다.
이런 가운데 검찰이 다음주에 신한사태와 관련, 수사결과를 중간 정리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져 사태의 향방에 어떤 영향을 끼칠지 주목된다.
감독기구도 최근 신한지주 이사회 등 내부지배구조를 통해 수습책을 신속히 마련하라고 권고한 것 역시 수습책 결단을 서두르게 하고 있다.
22일 신한지주 국내 한 이사는 기자와의 통화에서 "이사들이 나서서 빨리 수습을 해야한다는 데 합의가 됐다"면서 이사회를 앞당긴 배경을 설명했다.
그는 이번 사태와 관련해 "검찰 결과와 금융감독원의 라응찬 회장에 대한 중징계 결정 등 여러가지가 얽혀 있다"면서 어떻게든 이사회에서 구체적인 방안을 내놓을 것이라는 의지를 드러냈다.
이사회에서 나올 수 있는 수습책으로는 라응찬 회장을 비롯해 최고경영진 3인방의 동반퇴진과 함께 경영진 구성 등을 통한 수습, 또는 현재 3인방의 자리를 유지하면서 사태수습, 그리고 제 3의 방안 등이 있다.
무엇보다 이사회에서 최고경영진 3인 동반 퇴진과 임시 경영인 구성 등에 대한 합의가 이뤄질 지 주목된다.
이와 관련해 한 이사는 "이사회에서 재일교포 주주들의 결의문에 대해서 적극적으로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국내 이사들끼리 어떻게 하면 좋을지 이야기하고 있다"며 "지금 밝힐 수는 없다"고 말했다.
3인 모두 모든 직책에서 물러나는 방안보다는 직무정지 등으로 일선에서 물러난 가운데 지주사 대표이사 회장과 대표이사 사장 대행, 그리고 신한은행장 대행 등을 선임하는 방안을 택할 가능성도 거론하고 있다.
더욱이 금융당국까지 나서서 신한사태의 조기 수습을 요구하고 나서 이사회로서는 실질적인 수습책을 내놔야 하는 부담감이 있다.
금융감독원 김종창 원장은 이 날 오전에 열린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신한금융 이사회 등 책임 있는 내부기구에서 빨리 대책을 마련해 추진하라는 의사표시를 간접적으로 전달했다"고 말했다.
특히 신한사태와 관련해 검찰수사결과 정리가 임박한 것으로 전해져 그 결과가 이번 사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도 주목된다.
검찰 한 관계자는 "중간 수사발표 형태일 수도 있고 내부적으로 잠정 결론이 될 수도 있다"면서 "어떤 형태로든 다음주에 정리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신한금융그룹 고위관계자도 "이사회가 30일이니까 그 전에 검찰결과가 나올 수도 있지 않겠느냐"고 말해 그 가능성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아울러 금융권은 라응찬 회장이 이사회가 열리는 30일 전에 입장표명을 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분위기다.
라 회장은 이번 주말 일본 도쿄에서 재일교포 주주들을 만난 후 27일 귀국할 예정이다. 재일교포주주들과 어떤 결론을 냈느냐에 따라 라 회장이 중대결심을 할 수도 있을 것이라는 관측이다.
[뉴스핌 Newspim] 배규민 기자 (lemon12kr@newspim.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