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장진우 기자] 신한금융투자 최경진 애널리스트는 7일 네오위즈게임즈와 관련, "지금은 이익실현이 아닌 저가매수를 고려할 시점"이라며,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하고 적정주가는 5만 9000원을 유지한다고 밝혔다.
최 애널리스트는 "NHN의 와이즈캣 인수 따른 서비스 차질 우려는 없다"며 "네오위즈게임즈와 NHN은 악어와 악어새 같은 공생공사(共生共死) 관계라 시장의 우려는 기우에 불과해 지금은 저가매수를 고려할 시점인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다음은 리포트 내용이다.
◆ 와이즈캣 피인수 따른 부정적 영향은 없을 전망
10월 6일, 네오위즈게임즈 주가는 5.9% 하락의 급락세를 시현했다. 이는 NHN(035420)의 와이즈캣 인수에 대한 과도한 우려가 반영된 결과이다. 와이즈캣 피인수 소식으로 주가는 향후 서비스 차질에 대한 우려가 반영됐다. 그러나, 게임 서비스에 대한 부정적 영향은 없을 것으로 전망하며, 급락에 따른 가격 메릿에 주목하는 저가 매수 대응을 권고한다.
◆ 와이즈캣, 단일게임 보유한 소규모 개발사
와이즈캣의 상용화 게임은 ‘슬러거(Slugger)’가 유일하다. 2001년 설립된 업력 10년의 개발사이지만, 자본금 3억 8000만원, 직원수 60여명 수준의 소규모 개발사이다. 슬러거에 대해서 2005년 네오위즈와 국내외 라이센스에 대한 계약 이후, 2007년 국내 상용 서비스를 시작했다. 결국, 소규모 창업 개발사가 퍼블리셔와 시너지를 통해 사업 영역을 확대한 것이다. NHN의 ㈜와이즈캣 인수 결정은 게임 퍼블리싱 사업 강화에 있다고 판단되나, 네오위즈임즈 입장에서 잃을 실(失)은 없다고 결론된다. 이는 네오위즈게임즈와 ㈜와이즈캣의 계약 자체가 국내외 판권 자체를 길게 가져갈 수 있었던 유리한 Injection 이었으며, 네오위즈게임즈는 슬러거의 400만 user DB를 보유한 회사이기 때문이다.
◆ Worst Case? 악어와 악어새 관계, 공생공사(共生共死)
NHN(035420)의 와이즈캣 인수와 관련해 특히 높아진 우려는 worst case에 대한 걱정이다. 즉, 네오위즈게임즈와 ㈜와이즈캣의 라이센스 계약 종료 이후, NHN이 슬러거 서비스 플랫폼을 한게임(Hangame)으로 옮긴다는 것에 대한 가정이다. 그러나, 퍼블리싱 계약 이슈 때마다 언급했듯이, 기존 퍼블리셔의 역할(user DB 및 CRM.Monetizing model 등)을 무시한 zero-based 서비스는 사실상 불가능하다.
다시 말해, 슬러거의 사용자들이 네오위즈게임즈(피망, Pmang) 유저들임을 볼 때, migration 이슈는 과도하다고 판단한다. 또한, 주목할 부분은 동사의 씨알스페이스(CR Space) 인수이다. 지난 5월, 네오위즈게임즈는 씨알스페이스 지분49%를 127억원에 인수한 바 있다. 씨알스페이스가 NHN이 서비스 중인 MMORPG ‘세븐소울즈(7souls)’ 개발사라는 점에서, 양사는 악어와 악어새 같은 공생공사(共生共死) 관계를 형성할 것으로 전망된다. 즉, 슬러거 서비스 차질 우려는 과도한 기우라 판단한다.
◆ 고성장 프리미엄, 과연 차익 실현이 맞을까?
네오위즈게임즈는 중국 온라인 게임시장 성장 수혜를 가장 크게 받는 기업이다. 9월 주가 강세 이후 차익 실현에 대한 고민은 높아졌으나, 기업의 성장성을 고려하면 이익실현 보다는 오히려 저가매수 관점의 대응이 유리한 시점이다. 현 주가 기준, 2010E Relative P/E는 1.0배에 불과해 시장대비 프리미엄은 반영되지 않은 상황이다. 2010년 및 2011년 EPS 성장률이 각각 57.3%와 29.5%가 전망되는 것을 감안하면, Over-value에 대한 고민은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된다. 즉, 심리적 위축 요인이 주가 하락을 견인했으나, 오히려 저가매수 시각의 비중확대 전략이 유리한 시점
으로 판단한다.
이에 당사는 네오위즈게임즈에 대해 투자의견 매수 및 적정주가 5만 9000원의 기존 판단을 유지한다. 적정주가는 12개월 Forward EPS 3,682원에 P/E target multiple 16.1배를 적용한 값이다. Target multiple은 시장대비 프리미엄 1.2를 적용한 것이며, Global peer group의 2010E current P/E 평균 18.3 배와 비교할 때 과도하지 않은 수준이다. 네오위즈게임즈의 Forward P/E는 12.0배(2010E P/E 13.1배, 2011E P/E 10.1배)를 나타내고 있어, 여전히 가격 메릿이 부각되는 상황이다. 따라서, 밸류에이션 메릿 및 중국 온라인 게임 시장 성장 수혜에 주목하는 투자 대응을 권고한다.
[뉴스핌 Newspim] 장진우 기자 (soonzin78@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