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러/원 환율이 이틀째 하락하며 1,040원을 내줬다.글로벌 달러가 미국 인플레-금리인상 기조 속에서 견조함을 보였으나 수출 업체 네고 및 롱청산 물량으로 하락했다.글로벌 달러 역시 나흘만에 하향세를 보인 가운데 달러/엔이 예상외로 114선을 하회했고, 유로/달러는 1.1940선대로 반등했다.특히 시장의 일반적인 기대가 1,040원을 지지되는 분위기였으나 물량 흡수 및 조절에 실패하면서 예상 외로 1,040원을 쉽게 내줬다.옵션 변동성은 지난 7월 경험을 기억하듯이 1,040원을 넘어선 이후 다시 빠지면서 매수쪽이 약화되는 양상을 보였다.5일 서울외환시장에서 달러/원 환율은 1,039.10으로 전날보다 1.90원 하락했다. 달러/원 선물 10월물은 1,039.00으로 2.20원 하락했다.달러/원 환율은 장중 1,042.80에 상승 출발한 뒤 1,044.30까지 고점을 차고 오르는 상승세를 보였다.그러나 중공업 등 수출업체 네고와 역외 매물이 출회되면서 밀려 장중 1,040원을 하회한 뒤 오후장에서는 1,037.60까지 낙폭을 키웠다가 1,040원을 회복하지 못하고 마감했다.달러/엔 환율은 수출업체 매물이 나오면서 예상외로 114선을 하향했으나 113.80선대의 지지력이 제공되면서 낙폭은 크지 않았다.이날 현물환 거래량은 장중 예상외의 하락과 반등, 그리고 추가 하락을 반영한 덕분에 50억7,850만달러로 증가했다. 서울외국환중개에서 32억3,800만달러, 한국자금중개에서 18억4,050만달러가 체결됐으며, 6일(목요일) 기준환율은 1,041.00에 고시된다.종합지수는 전날 급등이 무색하게 전날보다 15.38포인트, 1.24% 급락하며 1,227.40으로 마감했다. 외국인은 순매도했으나 13억원에 불과했으나 그동안 급등했던 포스코 등 일부 종목을 집중적으로 차익실현한 것으로 보인다.아직까지 글로벌 달러의 상향 움직임, 달러/원 환율의 지지력에 대해서는 신뢰감이 뭍어나고 있다.그렇지만 막상 딜링에 들어가서는 1,040원에 대한 고점 인식이 작용하면서 수출업체들의 매물이 나오고, 또한 은행간 거래에서는 고점 인식으로 먼저 매도해야되지 않느냐는 성급한 숏인식도 작용하고 있다.이에 따라 지지력이 생길만한 데서는 한호흡을 고르면서 지지되는 듯하다가 다시 매물이 튀어나오면서 이에 대한 신뢰보다는 급한 마음에 포지션을 털어내려는 매도세가 작용하고 있다.내면적으로 보면 기본적으로 수출업체 매물이 있는 데다가 지난 7월에서 보듯이 1,050원 이상의 박스권 고점을 확실히 상향돌파할 것이라는 신뢰도는 낮다고 해야할 것 같다. 아울러 글로벌 달러에서도 보듯이 단기 고점 인식이 서서히 생겨나면서 상승 분위기는 이어가되 재료나 모멘텀 면에서 치고갈 만한 것이 없다는 점에서 자신있게 추격 매수하거나 매수베팅에 가담하지 못하게 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그렇다고 반대로 하락할 재료가 있느냐 하면 그것 또한 아니다. 이런 상황에서 수출입 업체들의 실수나 일부 큰 포지션 물량이 나올 경우 그에 따라 좌우되는 양상을 보인다고는 지적이다. 외국계 은행 딜러는 "시장에서 거래를 의지할 만한 인디케이터가 상실된 상태"라며 "환율이 어정쩡한 수준에 오면서 실수 물량과 함께 포지션들이 꼬이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주식시장의 경우는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면서 단기간에 급등한 탓에 최근 며칠 간 거의 10-20포인트대의 변동성이 커지는 양상도 보이고 있다.외환시장이 주식시장 같지는 않지만 대체로 단기 고점 인식이 작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저점 매수와 차익욕구가 교차 혼조된 양상을 보이고 있는 상황이다.이에 따라 시장참여자간 매수-매도 포지션이 다소 꼬이고 규모면에서도 크고 작은 포지션 교체 매매 등이 장중 변동성을 키우고 있다고 볼 수 있다.특히 자금흐름 면에서 방향성이 뚜렷하지 않은 점도 간과해서는 안된다. 예를 들면 한국 관련 펀드로 자금유입은 커지는 데 외국인은 주식 순매도를 지속하고 있다.또 외국인이 주식 순매도를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외환시장에서는 딱히 달러를 매수했거나, 반대로 순매수할 경우 달러를 매도하는 쪽으로 작동하지 않는 점도 목격된다.이같은 포지션 꼬임 현상이나 자금흐름의 방향성 정립은 시장이 재료에 배고픔을 느끼고 있다는 점을 일부 반증하는 것으로도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장중 변동성 공방은 여전할 것으로 보인다.시중은행 딜러는 "미국의 금리인상 기조 재확인이 시장에 어느 정도 반영되고 있는 듯하다"며 "그렇지만 하락할 재료도 딱히 없다는 점에서 저가 매수 관점은 유지될 수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그러나 한편으로는 달러/원 환율의 옵션 변동성을 보면 참으로 냉담한 현실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이날 달러/원 옵션 변동성은 1개월물이 5.4/6.0, 2개월이 5.5/6.0, 3개월 5.6/6.1, 6개월 6.1/6.6, 그리고 1년물이 6.35/6.75%에서 호가됐다.옵션 변동성은 달러/원 환율이 지난 금요일 예상외로 1,040원을 돌파했을 때도 그렇고, 또한 1,047원까지 오르며 1,050원에 접근했을 때 역시 옵션 변동성에 큰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오히려 1,050원에 접근하지 못하고 장중 1,040원 초반으로 크게 반락한 뒤 이날 1,040원이 무너지자 변동성 매수가 '쫙' 빠지는 듯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국내은행의 옵션 딜러는 "환율은 지난 7월처름 '혹시나' 했더니 '역시나' 1,040원대 지지가 만만찮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며 "이런 상황에서 수출업체 매물이 더욱 견고하게 보여지고 있다"고 말했다.[뉴스핌 Newspim] 이기석 기자 reuhan@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