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서울=뉴스핌] 박성준 박찬제 기자 = 관세협상 타결과 관련해 미국 측이 "한국이 자국 시장을 100% 완전 개방하기로 동의했다"고 주장하자 대통령실이 즉각 반박에 나섰다. 대통령실은 "이번 합의를 통해 추가로 변경되는 사항은 없다"고 밝혔다. 사실상 농축산물 등의 추가 개방은 없다는 뜻이다.
김남준 대통령실 대변인은 30일 경북 경주시 경주화백컨벤션센터 국제미디어센터(IMC)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관련 질문에 "한국은 이미 개방돼 있다"고 재차 확인했다.
앞서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은 이날 사회관계망서비스 X(옛 트위터)에 "한국은 자기 시장을 100% 완전 개방하는데 동의했다"고 올렸다. 그는 또 "반도체는 관세 합의의 일부가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  | 
| 김남준 대통령실 대변인이 23일 오후 용산 대통령실에서 브리핑을 열고 이재명 대통령이 주재한 14차 수석보좌관회의 내용을 전하고 있다. [사진=KTV] | 
이에 대해 김 대변인은 "저희 입장은 일관되고 동일하다"며 "반도체와 관련해 한미 양국은 반도체에 적용되는 관세를 대만에 비해 불리하지 않게 적용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또 "반도체 분야에서 경쟁국인 대만과 동등한 입지를 확보해 불확실성을 제거한 것이 협상의 결과"라며 "발표된 내용은 양측의 합의 내용을 바탕으로 했고, 관련 문서 작업이 현재 마무리 단계"라고 부연했다.
전날 양국 정상은 경주 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회의 기간 중 회담을 갖고 무역협상을 종결했다. 합의에 따르면 총 3500억 달러(약 500조 원) 규모의 대미투자펀드 가운데 조선업 협력펀드를 제외한 에너지·AI(인공지능)·첨단제조 등 분야에 2000억 달러(약 280조 원)를 장기적이고 단계적으로 투자하기로 했다. 핵심 쟁점이던 연간 최대 투자 한도는 200억 달러로 설정됐다.
parksj@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