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강·협력 투트랙 전략
[경주=뉴스핌] 김아영 기자 = 유영상 SK텔레콤(SKT) 대표이사 사장이 28일 경북 경주시 엑스포대공원 문무홀에서 SK그룹 주관으로 열린 '퓨처테크포럼 AI' 패널 토론에서 SKT가 일본 시장에 진출할 계획임을 공개했다. 소버린 인공지능(AI) 글로벌 확장 전략을 본격화한다는 방침이다.
유 사장은 "소버린 AI가 진정한 의미를 가지려면 글로벌로 나가야 한다"면서 "우선 일본 진출을 준비 중"이라고 말했다.
![]() |
|
(왼쪽부터) 김경훈 오픈AI 코리아 대표, 하정우 대통령비서실 AI미래 기획수석비서관, 유영상 SKT 사장, 최예진 스탠포드대 교수, 니틴 미탈 딜로이트 글로벌 AI 리더가 28일 경북 경주시 엑스포대공원 문무홀에서 SK그룹 주관으로 열린 '퓨처테크포럼 AI' 패널 토론에 참여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
유 사장은 AI 시대 경쟁력의 핵심을 '인프라'라고 강조하며 SK그룹의 강점을 부각했다.
그는 "과거 인터넷과 4G 시대에 정부와 통신사가 주도적으로 인프라를 깔면서 한국이 인터넷 강국, 모바일 강국이 될 수 있었다"며 "AI 시대에도 빠른 인프라 구축이 승산의 열쇠"라고 밝혔다. 이어 "AI 수요는 무궁무진하다"며 "AI 인프라를 신속히 확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SK그룹은 AI 핵심 요소인 반도체, 에너지, 통신 3대 분야에서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글로벌 기업과 협력하며 AI 생태계 확장에 나서고 있다. 유 사장은 "AWS와 오픈AI 등 빅테크와 지속 협력하고 있으며, 소버린 AI 관련 기술 개발도 직접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소버린 AI 전략은 자강과 협력 두 축으로 구성된다. 자강 측면에서 SKT는 최근 정부 주도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사업자로 선정돼 수조 개 파라미터 규모의 초거대 모델을 한국 현실에 맞춰 개발 중이다. 유 사장은 "에이닷 서비스도 3년간 운영하며 초기 경험을 축적했다"며 "티핑 포인트를 넘어 실질적 성과를 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SK그룹이 글로벌 빅테크의 퍼스트 파트너로 활동하며 AI 응용 분야에서 협력 사례를 확대하고 있다는 것도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유 사장은 "데이터센터, 제조 AR, 피지컬 AI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글로벌 기업과 협력하며 한국 AI 생태계를 한 단계 높이는 데 주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유 사장은 마지막으로 AI 시대 경쟁력 확보의 핵심을 다시 한 번 '인프라'로 규정하며 "SKT가 가진 반도체·에너지·통신 3대 역량과 글로벌 협력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한국 AI 생태계와 기업의 영향력을 글로벌 수준으로 끌어올릴 것"이라고 강조했다.
aykim@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