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기술로 난민 법률지원에 나선 국내 첫 사례
'에이전틱웍스' 활용해 데이터 분석·번역·문서작성 AI 통합
소장 작성 시간 단축, 법리적 근거 정확성도 향상
[서울=뉴스핌] 양태훈 기자 = LG CNS가 유엔난민기구(UNHCR)와 손잡고 AI 기술을 활용한 난민 법률지원 프로그램을 구축, 이를 기부한다. AI를 통해 법률 서비스 사각지대에 놓인 난민을 돕는 것은 국내에서 처음이다.
23일 LG CNS는 최근 서울 마곡 본사에서 유엔난민기구와 'AI 기술을 활용한 난민소송 지원'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협약식에는 현신균 LG CNS 사장과 필리포 그란디(Filippo Grandi) 유엔난민기구 최고대표가 참석했다.
이번 협약은 AI를 활용해 국내 난민의 법적 보호를 강화하고, 변호사의 난민 소송 업무를 효율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LG CNS는 난민이 행정소송을 진행할 때 변호사가 AI를 통해 소장 초안을 작성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 |
현신균 LG CNS 대표(오른쪽 세번째)와 필리포 그란디(왼쪽 세번째) 유엔난민기구 최고대표가 파트너십 체결식에서 사진촬영하는 모습. [사진=LG CNS] |
이 프로그램은 망명신청서·면담기록 등 데이터를 분석하고, 다국어 번역과 법률문서 작성 기능을 수행하는 AI 에이전트를 통합 운영한다. LG CNS의 '에이전틱웍스(Agentic Works)' 플랫폼을 기반으로, 각 기능이 자동 연계돼 법률문서 형식에 맞게 소장을 완성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기존 난민 신청 과정에서는 언어 장벽과 복잡한 절차, 법리적 근거 부족 등으로 인해 기각되는 사례가 많았다. 이번 AI 시스템이 도입되면 변호사들이 필요한 법적 근거를 더욱 정확히 기입할 수 있고, 소장 작성에 소요되던 3~4일의 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다.
필리포 그란디 유엔난민기구 최고대표는 "LG CNS와의 협약은 AI 기술이 난민의 삶을 개선하는 데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라며 "언어 장벽 등으로 법률 지원을 받기 어려운 난민들이 이번 기술을 통해 도움을 받을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현신균 LG CNS 사장은 "난민의 법적 권리 보호를 위한 이번 AI 프로그램 기부가 어려움을 겪는 난민들에게 실질적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며 "앞으로도 LG CNS는 AI로 산업과 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앞장설 것"이라고 밝혔다.
dconnect@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