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사회·경제·종교·학계 등 80여명 긴급 비상회의 대응 방안 논의
[광주=뉴스핌] 박진형 기자 = 광주지역 각계각층이 국가AI컴퓨팅센터 유치를 재차 촉구하고 나섰다.
22일 광주시에 따르면 지역 정치권과 시민사회·경제·종교·학계 등 각계 대표 80여명은 전날 오후 8시 청사 중회의실에서 열린 '광주미래산업 비상회의'에 참석했다.
![]() |
광주미래산업 비상회의. [사진=광주시] |
이번 회의는 국가AI컴퓨팅센터 입지가 전남으로 낙점된 사실이 알려지면서 강기정 시장 주재로 긴급히 마련됐다.
'광주 유치'를 전제로 정부·기업과 논의를 이어왔는데, 삼성SDS 측의 갑작스러운 입장 선회로 대응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는 판단이 작용했다.
최치국 광주연구원장은 "국가 정책 사업임에도 기업의 이익 논리로 사업 방향이 정해지는 것은 부당하다"며 "공모 절차와 평가 기준의 공정성 문제를 명확히 검증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정석윤 광주기독교교단협의회 대표회장은 "대통령의 약속이 기업 이해관계에 흔들려서는 안 된다. 이번 사태는 지역에 대한 배신이자 국가 정책의 신뢰를 흔드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박화석 한국금형산업진흥회장은 "AI 생태계의 핵심은 속도와 집적이다. 광주는 이미 인프라·인재·기업이 집약된 완성형 도시인데 인프라가 전무한 지역을 택하는 것은 국가 경쟁력의 낭비"라고 말했다.
강 시장은 "이재명 대통령이 후보 시절 광주를 국가AI컴퓨팅센터 광주 유치를 공약했고 국정운영 5개년 계획에도 '광주'로 명시됐다"며 "그런데 오로지 땅값과 전력요금 등 당장의 경제성만을 기준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삼성SDS에 GPU 즉시 투입, 부지 가격 인하, 전력요금 특례입법, 최대 1000억원 규모의 투자 지원 등 실질적이며 파격적인 조건을 기업에 약속했다"며 "그런데 기업이 정부 공모 신청 마감을 열흘 앞두고 갑자기 입장을 번복한 것은 납득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끝으로 "광주의 AI 꿈은 멈출 수 없다. 국가AI컴퓨팅센터는 단순한 시설이 아니라 대한민국이 AI 3강으로 도약하기 위한 핵심 인프라"라며 "광주가 추구하는 AI산업은 국민 모두를 위한 '공공의 AI'이며, 그 꿈을 결코 포기하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지난 7월부터 시작된 국가AI컴퓨팅센터 범시민 서명운동에는 총 17만829명이 참여한 것으로 집계됐다.
bless4ya@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