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테이너 화차 '탈선감지장치' 꺼진 채 다녀
코레일 "오작동 탓, 연말까지 개선"
[서울=뉴스핌] 정영희 기자 = 화물열차 탈선감지장치의 잦은 오작동을 이유로 다수의 컨테이너 열차가 장치를 꺼둔 채로 운행 중인 사실이 드러났다. 장치 규격·시험 부실은 물론 특정 업체 특혜 및 퇴직자 재취업 의혹까지 제기되며 한국철도공사(코레일)의 안전·윤리 관리가 도마에 올랐다.
![]() |
정정래 코레일 사장 직무대행이 21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의원 질의에 응답하고 있다. [사진=유튜브 캡처] |
정정래 코레일 사장 직무대행은 21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국정감사에서 화물열차 탈선감지장치에 대한 질의에 "점검 프로세스를 개선하겠다"고 밝혔다.
정점식 국민의힘 의원이 코레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현재 운행 중인 화물열차(코레일 및 민간 소유) 6461칸 가운데 탈선 우려가 큰 컨테이너 화차 948칸(67%)에 탈선감지장치가 설치돼 있다. 여기에 들어간 예산은 28억원이다. 그러나 2021년 8건, 2024년 12건 등 총 20건의 오작동이 발생함에 따라 코레일은 지난해 5월부터 해당 화차 전부에서 장치를 차단한 채 운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 의원은 "해당 장치는 규격상 수직가속도 9.0~11.5g에서 작동하도록 설계됐는데, 최근 5년 탈선 당시 시속이 15~53km였던 것을 감안하면 애초에 작동하기 어려운 구조"라고 지적했다.
내부 특혜 의혹도 있다. 코레일 내부 감사 결과, 2018년 작성된 규격서에 특정업체의 특허번호를 기재해 사실상 독점 공급(누적 53억원)이 가능하도록 설계한 사실이 확인되기도 했다. 정 의원은 "당시 업무를 담당한 처장이 퇴직 후 관련 업체 재취업 정황도 있다"며 감사원 감사를 촉구했다.
정 직무대행은 "컨테이너 화차는 최대 120km의 경량·유격·고속 운행 등을 이유로 분기기 통과 시 진동이 커 오작동 가능성이 높다"며 "한국철도기술연구원과 공동 연구 중이며, 연말께 개선안을 도출해 재부착·재가동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답했다.
이어 신영대 더불어민주당 의원도 "화물차량 종류가 유조·컨테이너·시멘트 등으로 다양한데, 장착 시험을 유조차만으로 통과시킨 뒤 납품받아 컨테이너 화차 오작동을 방치했다"며 시험·검증 과정 전반의 점검과 내부 조사를 요구했다.
정 직무대행은 "점검 프로세스 개선과 함께 원인 규명 후 조치하겠다"고 말했다.
chulsoofrien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