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하이종합지수 3839.76(-76.47, -1.95%)
선전성분지수 12688.94(-397.47, -3.04%)
촹예반지수 2935.37(-102.07, -3.36%)
커촹반50지수 1363.17(-53.41, -3.77%)
[베이징=뉴스핌] 조용성 특파원 = 17일 중국 증시는 일제히 하락했다. 미·중 갈등이 고조되면서 증시가 약세를 보인 것으로 분석된다.
이날 상하이종합지수는 1.95% 하락한 3839.76, 선전성분지수는 3.04% 하락한 12688.94, 촹예반지수는 3.36% 하락한 2935.37로 각각 장을 마감했다.
미·중 갈등이 고조되고 있는 데다 양측의 공방이 거세지면서 이에 대한 우려가 깊어지고 있다. 미·중 관계는 한동안 안정되는 듯했지만 다음 달 10일 제2차 관세 휴전 만료, 이달 말 경주 APEC 정상회의 등을 앞두고 치열한 기싸움이 이어지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는 중국 선박에 대한 입항 수수료를 부과하고, 다음달 100% 추가 관세·핵심 소프트웨어 수출 통제를 예고했다. 중국은 이에 대응해 희토류 수출 규제 강화·미국 선박에 대한 수수료 부과 등으로 맞대응 조치를 내놨다.
또한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이 지난 8월 발생한 사안을 근거로 중국 상무부 특별담판대표인 리청강(李成钢) 부부장을 비난하면서 양국의 비난전도 고조되고 있다.
또한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은 16일(미국 현지시간) CNBC와의 인터뷰에서 중국과의 무역 협상에 대해 "우리는 주식시장이 하락한다고 해서 협상하지 않을 것"이라면서 "미국 경제에 가장 이익이 되는 조치를 취하기 위해 협상을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쉽사리 중국과 협상에 나서지 않을 것임을 시사한다.
이에 국제통화기금(IMF)이 최근 다시 고조된 미·중 간 긴장에 대해 세계 경제 성장에 '중대한 하방 위험'이라고 경고했다. 크리슈나 스리니바산 IMF 아시아·태평양 국장은 16일(미국 현지시간) 블룸버그 TV 인터뷰에서 "이러한 위험이 실제로 관세 확대와 공급망 교란으로 이어질 경우 세계 성장률은 0.3%포인트 낮아질 수 있다"며 우려했다.
![]() |
[그래픽=퉁화순재경] 상하이종합지수 17일 추이 |
이날 특징주로는 2차 전지 관련주가 대거 하락했다. 화밍좡베이(華明裝備), 퉁룬좡베이(通潤裝備) 등이 하한가를 기록했고, 양광뎬위안(陽光電源), 하이유신차이(海優新材) 등은 10% 이상 급락했다.
중국이 희토류에 이어 배터리에 대한 수출 통제를 다음 달 8일부터 시행할 것으로 알려지면서 배터리 관련주가 급락했다. 중국신문사는 중국이 고성능 리튬 이온 배터리와 배터리 생산 설비, 양극재, 음극재 등 핵심 제품에 대해 수출 통제를 실시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매체는 리튬전지는 희토류에 비해 영향력이 더욱 클 것이라고 평가했다.
귀금속 섹터는 상승했다. 후난바이인(湖南白銀), 시부황진(西部黄金) 등이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국제 금 시세가 급등을 지속하면서 중국 증시에서 관련 섹터가 상승했다. 이날 금 현물 가격은 전날 대비 2.6% 올라 온스당 4316달러를 기록하며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올해 금값 상승률은 65%에 달한다.
한편 중국 인민은행 산하 외환거래소는 이날 달러당 위안화 기준 환율을 7.0968위안으로 고시했다. 이는 직전 거래일(7.0995위안) 대비 0.0027위안 내린 것으로, 위안화 가치로는 0.04% 상승한 것이다.
![]() |
중국 증시 자료사진 [신화사=뉴스핌 특약] |
ys174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