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촬영 최신 위성사진 분석 결과 활발한 활동 확인
발사장 남동쪽 L자형 부두 신설…대형 바지선 접안 가능
[워싱턴=뉴스핌] 박정우 특파원 = 북한이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 서해 위성발사장(동창리 발사장)에서 새로운 로켓 엔진 시험을 준비중인 정황이 포착됐다. 북한 당국이 파병 등 우크라이나 전쟁을 지원한 대가로 러시아로부터 정찰위성과 발사체 개발을 위한 기술 지원을 받은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추가 위성 발사를 준비중인 징후여서 주목된다.
3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의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산하 '분단을 넘어(Beyond Parallel)'에 따르면, 지난달 27일 촬영된 최신 위성사진 분석 결과 서해 위성발사장 전반에서 활발한 움직임이 확인됐다. 수직엔진시험대 주변에서 트럭과 대형 크레인 등의 움직임이 포착되는가 하면, 배수 흔적 등이 확인돼 엔진 시험 준비가 이뤄진 것으로 추정됐다. 앞서 6월 말 촬영된 위성 사진에서는 주변 나무와 풀 등이 소각된 모습이 확인돼 엔진 출력 시험이 이뤄진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이번에 포착된 움직임은 대규모 엔진 시험 준비가 아니라 단순 시설 유지 및 보수 작업일 가능성도 있다고 SCIS는 밝혔다.
![]() |
[서울=뉴스핌]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19일 평북 철산군 동창리 서해발사장에서 극초음속미사일용 고체연료 엔진 테스트 장면을 지켜보고 있다. 왼쪽은 김정식 노동당 군수공업부 부부장. [사진=조선중앙통신] 2024.03.20 |
위성사진 분석 결과, 그 동안 서해 발사장에서는 기존 발사대를 현대화하고 대규모 지하 시설을 건설하는 작업이 주로 이뤄졌지만, 최근에는 새로운 수평 조립동과 연구시설로 추정되는 건축물, 그리고 L자형 부두 등 추가 시설 건설로 개발 우선순위가 이동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최근 1년간 가장 두드러진 현상은 발사장 남동쪽에 L자형 대형 부두가 신설된 것으로 2022년 착공한 부두와 해안도로가 지난 6~7월께 완공됐다. 3년에 걸친 공사로 약 350m의 정박 공간이 조성돼 향후 바지선을 통해 대형 크레인이나 미사일 관련 설비를 이전할 수 있게 됐다고 CSIS는 평가했다.
CSIS는 이러한 움직임이 북한의 대형 우주발사체 발사 준비와 직결된 것으로 전문가들이 보고 있다고 전했다. 북한이 우크라이나 전쟁 지원의 대가로 러시아로부터 정찰위성은 물론 위성 발사체 개발과 관련한 기술적 지원을 받았다고 한국 국가정보원이 평가했다는 것이다. 막대한 인적, 재정적 자원이 위성 발사장에 투입되고 있는 점은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향후 안보와 과학, 국제적 위상 강화를 위해 위성 발사에 강한 의지를 갖고 있음을 보여 준다고 CSIS는 지적했다.
dczoomi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