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이나영 기자= iM증권은 29일 발행한 리포트를 통해 헥토파이낸셜이 "스테이블코인 시장 개화 시 기존 지급결제 인프라 강점으로 선도적 입지를 확보하면서 지급결제 분야에서 성장성 등이 가속화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iM증권 이상헌 연구원은 "원화 스테이블코인이 허용 된다면 대표적으로 국내 가상자산 거래 기본통화, 해외 송금, 지급결제 시스템 개선, 금융서비스 운영 효율화 등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며, 원화 스테이블코인이 허용된다면 헥토파이낸셜에 경쟁력이 있을 것으로 평가했다.
리포트에서 향후 스테이블코인 제도화에 따라 가장 먼저 적용이 가능한 영역으로 판단한 분야는 내국인 가상자산 거래다. USDT, USDC 등 달러 스테이블코인의 거래량은 2024년 3분기 17조원에서 같은해 4분기 60조원으로 증가하였으며, 올해 1분기엔 57조원 규모로 성장했다. 이 연구원은 "이에 따라 원화 스테이블코인이 나오게 되면 최소한 크립토 거래 통화와 송금 영역 등을 충분히 대체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 |
헥토파이낸셜 로고. [사진=헥토파이낸셜] |
이 연구원은 "스테이블코인을 통한 지갑 간 결제가 정착되면 현재보다 수수료가 떨어지고, 정산도 즉시 가능하다"며, "다른 한편으로는 스테이블코인의 프로그래머블 특성 등으로 무수히 많은 서비스 모델을 만들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금융 서비스 등이 자동화 되면서 금융서비스 운영 측면에서 효율화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연구원은 또한 모회사인 헥토이노베이션이 블록체인 지갑 전문기업 월렛원 지분 47.15%를 인수한 점에 주목하며 "동사의 '내통장결제' 인프라와 월렛원의 지갑 기술을 결합해 스테이블코인 유통 및 글로벌 결제망 등을 강화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고 밝혔다. 아울러, "향후 일본·대만 등 해외 법인과 연계한 글로벌 크로스보더 결제 허브망 등을 구축할 예정"이라고 소개했다.
끝으로 이 연구원은 "헥토파이낸셜은 실시간 지급결제 처리 역량을 기반으로 스테이블코인 기반 디지털 자산 결제·정산 서비스 확대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망했다.
nylee5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