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년 만에 '한-사우디 비전 2030 위원회'
양국 11개 부처, 57개 협력과제 논의
조선·자동차·반도체·AI 등 협력 강화
대미 수출 감소…중동지역 공략 강화
[세종=뉴스핌] 최영수 선임기자 = 정부가 아세안과 더불어 '글로벌 사우스' 대표시장인 중동지역에 대한 수출다변화에 적극 나서고 있다.
트럼프 정부의 관세조치로 대미 수출이 부진한 상황에서 성장 잠재력이 큰 중동지역은 더욱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다.
이에 정부는 중동 최대 경제대국인 사우디와 기간 제조업을 비롯해 AI·첨단산업, 문화·엔터테인먼트 등 전방위적으로 경제협력을 확대할 방침이다.
◆ 한-사우디 전방위적 경제협력 확대
'한-사우디 비전 2030 위원회' 수석대표인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칼리드 알팔레(Khalid Al-Falih) 사우디 투자부 장관은 26일 오후 서울 롯데호텔에서 양국 주요 11개 정부 부처에서 참석한 가운데 제5차 위원회를 개최했다.
이번 위원회는 지난 2023년 10월 제4차 위원회 이후 2년여 만에 다시 서울에서 열렸다.
출범 9년차를 맞이하는 위원회는 2017년 '한-사우디 비전 2030 협력각서(MoC)'에 따라 설립된 양국 정부 간 범부처 협력채널로서 ▲총괄 ▲제조·에너지 ▲스마트인프라·디지털 ▲역량강화 ▲보건의료 ▲중소기업·투자 등 6개 분과를 중심으로 정부, 기관, 기업 간 주요 협력사업들의 이행을 관리하고 애로 해소를 지원하고 있다.
![]() |
[서울=뉴스핌] 최지환 기자 =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25일 오후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2025년 제3차 산업융합 규제특례심의위원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09.25 choipix16@newspim.com |
한-사우디 협력의 플랫폼 역할을 수행해 왔다. 양측은 이번 위원회에서 기존 46개 협력과제의 이행상황을 점검하고, 총 11개의 신규 협력과제를 발굴했다.
그간 한-사우디 간 경제협력이 원유 도입과 건설 프로젝트 수주 위주였으나, 이번 위원회를 통해 자동차, 조선 등 기간 제조산업으로 협력의 범위가 확장되고 있다.
예를 들어 HD현대중공업과 사우디 아람코가 합작 투자해 사우디 킹살만 조선해양산업단지 내에 조성 중인 중동지역 최대 규모(1200만m2)의 IMI(International Maritime Industries, 합작법인명) 조선소는 내년 상반기 완공될 예정이다.
또 다른 양사 합작 투자사업인 선박엔진 조립공장도 내년 말 완공을 앞두고 있다. 이와 함께 현대자동차와 사우디 국부펀드 PIF(Public Investment Fund)가 합작 투자해 사우디 킹 압둘라 경제도시 내에 조성 중인 자동차 생산공장은 올해 5월 착공되어 오는 2027년 상반기 양산을 목표로 건립되고 있다.
◆ 조선·자동차 분야 신규과제 발굴
이번 위원회에서 새롭게 발굴된 조선·자동차 분야 과제들은 이러한 성과들과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추진될 예정이다.
우선 조선 분야에서는 선박엔진 조립에서 선박 건조에 이르는 기존 밸류체인 협력을 탄소배출 저감을 위한 최신 친환경 기술 공법 공동개발과 연계할 계획이다.
자동차 분야에서는 현지 조립생산에서 나아가 엔진·하이브리드차 기술 R&D 및 수소차 연료 품질관리 체계 구축에 이르기까지 완성차-요소기술-연료-표준을 포괄하는 산업 생태계 전반으로 협력을 고도화해 나가기로 했다.
AI·첨단산업과 문화·엔터테인먼트 분야에서도 협력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네이버는 사우디 주택공사(NHC)와의 협력을 통해 올해 2월 제다, 메카, 메디나 등 주요 도시에 디지털 트윈 플랫폼을 구축했다.
![]() |
[서울=뉴스핌] 대한상공회의소가 30일 소공동 웨스틴조선호텔에서 개최한 '한-사우디 비즈니스 포럼'에서 마지드 알카사비 사우디 상무부 장관이 축사를 하고 있다.[사진=대한상의] 2024.07.30 photo@newspim.com |
향후 플랫폼에 AI를 접목해 교통·에너지·안전 관리 전반을 아우르는 스마트시티 통합형 서비스로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다. 리벨리온, 퓨리오사AI 등 국내 고성능·고효율 AI 반도체 전문기업들도 사우디 국영 AI기업 휴메인 등과 디지털 전환 및 AI 혁신 관련 협력을 모색할 계획이다.
아울러 영화와 e스포츠, 관광 등 문화·엔터테인먼트 분야에서도 협력을 구체화해 나가기로 했다.
이번 위원회를 주재한 김정관 장관은 "앞으로 협력과제들이 원활히 이행될 수 있도록 분과별 상시 소통체계를 굳건히 구축·운영하고, 기존 과제와 신규 협력과제를 긴밀히 연계해 시너지 효과를 높이겠다"고 밝혔다.
이어 "향후 양국 간 협력 잠재력이 큰 AI·첨단산업, 소프트파워 분야로 협력의 지평을 넓히겠다"고 강조했다.
dream@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