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 보관국 자처하며 "우리에게 맡겨라"
[서울=뉴스핌] 오상용 기자 = 금 매집에 열심인 중국이 이번에는 외국 정부를 위한 글로벌 금 보관국 역할을 자처하고 나섰다.
23일 블룸버그에 따르면 중국은 글로벌 금 시장에서 입지를 강화하기 위해 외국 정부가 보유한 금을 중국 내 보관하는 금 수탁 업무를 수임하기 위해 주변 아시아 국가들과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
중앙은행들이 외환보유고를 통해 금을 매입하는 방식은 다른 금 투자자와 별반 다를 게 없다. 런던금거래소와 뉴욕상품거래소 등에 등록된 중개기관을 통해 사들인다.
중국은 지난 2002년 인민은행 주도로 상하이금거래소(SGE)를 설립했고, 금 거래 허브가 되겠다는 목표 하에 2014년에는 외국 기관이 참여할 수 있는 'SGE 인터내셔널 보드(SGE International Board)'를 열었다.
소식통은 글로벌 금 보관자로 거듭나겠다는 중국의 구상은 이러한 상하이금거래소를 매개로 한다며 "인민은행이 중국과 친분이 두터운 국가들에게 '금을 매입한 뒤 이를 중국 국경내 보관하도록, 즉 SGE 인터내셔널 보드의 금 보관소에 보관하도록' 유도하고 있다"고 전했다.
소식통은 이러한 움직임은 최근 몇 달 동안 진행됐고, 동남아시아 국가 가운데 최소 한 곳이 관심을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 |
[후저우 신화사 = 뉴스핌 특약] 저장(浙江)성 후저우(湖州)시 더칭(德清)현 첸위안(乾元)진 소재의 한 금은방에서 판매원이 금 장신구를 정리하고 있다. |
오랜 역사와 높은 평판의 금 수탁 서비스는 금 거래 중심지가 되기 위한 핵심 요소다. 이는 신뢰도를 높이고 더 많은 거래를 유치하는 데도 도움이 된다.
궁극적으로 중국은 해외 정부에 런던이나 미국 금거래소가 아닌 SGE를 통해 금을 매입하도록 해 이를 SGE 금고에 보관하도록 하겠다는 구상인데, 이를 두고 엑스네스(Exness)의 금융시장 전략가 와엘 마카렘은 "중국의 해외 금 보유고 유치 시도를 시장에서는 글로벌 통화시스템 내 중국의 역할을 확대하려는 장기적 행보의 신호로 간주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투자자들은 이를 점진적인 탈(脫)달러화 모멘텀으로 해석할 수 있다"며 "이는 금값을 지지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블룸버그는 "중국의 이러한 행보는 글로벌 금 거래에서 중국의 입지를 강화하려는 또 다른 발걸음이지만, 영국과 같은 기존 허브와 비교하면 아직 갈 길이 멀다"고 했다. 영국 영란은행(BOE) 금고에는 전 세계 금 보유고 중 5000톤이 넘는 금괴가 보관돼 있다. 금액으로는 6000억 달러에 달한다.
세계금협회(WGC)에 따르면 인민은행이 보유하고 있는 금은 런던 창고에 보관된 금의 절반에 못미치는 2300톤 가량으로 글로벌 중앙은행들의 금 보유량 순위에서는 다섯 번째에 위치한다.
![]() |
현물 금 가격 추이 [사진=koyfin] |
물론 미국 등 서방 세계와 척을 지고 있거나, 혹시 모를 위험에 대비하려는 나라들에게 중국의 금고는 금 보관 분산처로 대안이 될 수도 있다.
지난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러시아의 대외 자산이 미국과 유럽에 의해 동결되는 것을 지켜본 뒤 국부(國富)를 분산하려는 잠재 수요는 커지고 있다. 이는 글로벌 중앙은행들이 미국 국채 등 달러 자산의 비중을 줄이고 금 보유를 늘리는 것과 무관하지 않다.
다만 ABC 리파이너리의 기관투자자 시장 헤드인 니콜라스 프라펠은 "만약 (런던이 아닌) 중국에 금을 보관하기로 결정한다면 런던의 편리함과 유동성을 포기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간밤(현지시간 9월23일) 런던에서 금 현물 가격은 0.47% 오른 온스당 3763.82달러를 기록,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최근 2년 동안 금값은 두 배로 뛰었다. 지정학적 위험과 주요국의 재정적자 심화에 따른 화폐자산에 대한 거부감이 금에 대한 수요를 부추겼다. 골드만삭스는 민간이 보유한 미국 국채의 1%만 금으로 전환되어도 금값은 온스당 5000달러에 도달할 것이라고 예상한다.
인민은행 역시 10개월 연속 금 보유를 늘리고 있다. 8월말 기준 인민은행의 금 보유고는 전월보다 6만온스(1.9톤) 늘어난 7402만온스(2301톤)을 기록했다. 시가로는 2540억달러에 달한다. 인민은행 외환보유액에서 금이 차지하는 비중은 7.64%로 높아졌다.
![]() |
인미은행의 금 보유고 추이 [출처 = 인민은행, 윈드] |
osy75@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