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글로벌 글로벌경제

속보

더보기

[GAM]中 반도체 독립 가속화 속 재평가② '알리바바 AI칩 테마주'

기사입력 : 2025년09월20일 07:00

최종수정 : 2025년09월20일 07:00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 번역할 언어 선택

알리바바, 엔비디아 필적 AI칩 개발 이슈
중국 컴퓨팅파워 기술 자립 현주소 진단
고성장 기대 '알리바바 AI칩 테마' 재평가

이 기사는 9월 19일 오후 4시42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핌] 배상희 기자 = <中 반도체 독립 가속화 속 재평가① '알리바바 AI칩 테마주'>에서 이어짐.

◆ 新 성장키워드 '알리바바+반도체 테마주' 

A주 시장에서 알리바바 테마와 반도체 테마에 모두 연계된 종목들은 알리바바 AI 칩의 발전에 따른 공급망 확장 속 수혜를 입을 가능성이 크다.

중국 관영 증권시보(證券時報) 산하의 데이터 산출 플랫폼 수쥐바오(數據寶)에 따르면, A주 시장에서 두 테마에 모두 연계된 종목은 46개 정도로 압축된다.

그 중 시가총액 1위는 A주의 AI 칩 스타주로 떠오른 '한무기(寒武紀∙Cambricon∙캠브리콘 688256.SH)'로, 9월 17일 최신 종가 기준으로 시총은 6000억 위안을 넘어섰다.

이밖에 시총 500억 위안 이상의 대형주에는 AI 및 AIoT 제품 등 스마트 하드웨어 제품 연구개발에 관여하는 화근기술(603296.SH), 원스톱 칩 커스터마이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심원미전자(688521.SH), IT 인프라 제품 및 솔루션 제공업체 즈광(칭화유니그룹 000938.SZ), '축소 명령어 집합 컴퓨터(RISC, Reduced Instruction Set Computing)' 원리를 기반으로 한 개방형 '명령어 집합 아키텍처(ISA)'인 리스크파이브(RISC-V) 기반 칩을 개발하는 동연통신기술(300183.SZ), 광모듈+양자 칩+데이터센터 테마에 연계돼 있는 광신과기(002281.SZ) 등이 포함됐다.

[서울=뉴스핌] 배상희 기자 2025.09.19 pxx17@newspim.com

기관 주목도가 높은 기업으로는 스마트 오디오 시스템 온 칩(SoC) 연구개발 업체 항현과기(688608.SH), 소프트웨어 연구개발 업체 정첩수지(300378.SZ), 고성능 충전·무선 충전·차량 고성능 전자부품 연구개발업체 균승전자(600699.SH) 등이 20여개 기관으로부터 투자평가를 받아 높은 관심도를 방증했다.

높은 실적 성장세가 기대되는 종목으로, 심원미전자와 인터넷생방송∙게임∙음악스트리밍 서비스 제공업체 곤륜만유과기(300418.SZ)가 100% 이상의 2026년 순이익 증가율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돼 상위 TOP2를 차지했다.

무선 통신용 플랫폼 칩 등을 제조하는 고첩과기(688220.SH), 한무기, 집적회로(IC) 테스트 기술 서비스업체인 리양반도체(688135.SH) 등이 50%의 성장률이 예상돼 그 뒤를 이었다.

[사진 = 핑터우거 공식 홈페이지] 2023년 11월 핑터우거가 출시한 고성능 기업용 SSD 컨트롤러 칩 '전웨(鎮嶽)510'

최근 일부 기업은 투자자 소통 플랫폼을 통해 알리바바 AI 칩과 관련한 협업 사실을 공개하고 나섰다. 

통신망 기술 서비스를 제공하는 윤건통신(002929.SZ)은 알리바바와 AI 응용, 컴퓨팅파워(연산)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업 협력을 진행해왔으며, 지속적으로 알리바바로부터 주문을 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아직까지 전체 회사 매출에서 관련 사업 매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적은 편이라고 밝혔다.

모바일 스마트 터미널 운영체제 연구개발 업체 중과창달소프트(300496.SZ)는 베이징 오픈소스 칩 연구원의 이사 자격을 보유하고 있으며, 알리바바와 함께 '축소 명령어 집합 컴퓨터(RISC, Reduced Instruction Set Computing)' 원리를 기반으로 한 개방형 '명령어 집합 아키텍처(ISA)'인 리스크파이브(RISC-V) AI 칩 분야에서 관련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고 전했다.

전자 지능형 컨트롤러 연구개발업체 톱브랜드전자(002139.SZ)는 자사의 티-스마트(T-Smart) 원스톱 솔루션이 이미 알리 클라우드(阿裏雲∙알리윈)와의 연동에 성공했으나, 알리바바와 공동으로 스마트 제어 칩을 개발한 적은 없다고 밝혔다.

RISC-V 아키텍처 기반 칩을 양산하고 있는 동연통신기술(300183.SZ)은 알리바바와의 합작에 있어 핵심 포인트는 알리바바 산하의 신기술 글로벌 연구기관인 다모위안(達摩院∙DAMO)으로부터 RISC-V 아키텍처 CPU를 라이선스 받아, 자사 마이크로컨트롤러 칩을 개발하고 함께 RISC-V 생태계 구축을 추진하는 것에 있다고 밝혔다.

현지 기관들은 향후 알리바바 AI 칩과 직접적으로 연관될 가능성이 큰, 이로 인해 큰 수혜가 기대되는 기업들은 주로 반도체 설계·제조, 연산 인프라 설비·서비스 분야에 집중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다수의 기관은 중국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SMIC(688981.SH/0981.HK)의 경우 첨단 공정 역량과 연구개발 분야에서 우위를 가진 만큼, AI 시대 컴퓨팅파워 수요와 고급 반도체 수요 확대 속에서 업계 내 입지가 더욱 커질 것으로 내다봤다.

국해증권(國海證券)은 AI 서버 업계의 선두기업인 낭조정보(000977.SZ)의 경우 이미 20여 개의 국산 AI 칩 업체와 협력하고 있으며, 'AI 스테이션' 소프트웨어 플랫폼이 30개 이상의 국산 AI 칩과 호환되고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 글로벌 IT 인프라 제품 및 서비스의 선도 기업으로, 글로벌화·디지털화·스마트화 발전에 따른 장기적 수혜가 기대된다고 평했다.

신달증권(信達證券)은 중국 AI ASIC(주문형 반도체) 선도기업 심원미전자(688521.SH)를 주목했다. AI 생성콘텐츠(AIGC)·스마트 드라이빙 등 분야에서 고성능·저전력 AI ASIC 수요가 늘어나고, 대형 인터넷기업·자동차기업 등이 자체 칩 개발을 심화시키면서, 광범위한 IP 포트폴리오와 원스톱 맞춤형 칩 개발 능력을 보유한 심원미전자가 큰 수혜를 입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본 기사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며, 투자를 권유하거나 주식거래를 유도하지 않습니다. 해당 정보 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pxx17@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로제· 케데헌, 그래미 '올해의 노래' 후보 [뉴욕=뉴스핌]김근철 특파원=블랙핑크 멤버 로제와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케데헌)'의 오리지널사운드트랙(OST) '골든'이 2026년 그래미 어워즈 '올해의 노래(Song of the Year)' 부문 후보에 나란히 이름을 올렸다. 7일(현지시간) 발표된 제68회 그래미 어워즈 후보 명단에 따르면 로제는 솔로 곡 '아파트(APT)'로 '올해의 노래'와 함께 '레코드 오브 더 이어(올해의 음반상)' 부문에 올랐다. K-팝 솔로 아티스트가 그래미 어워즈 두 개의 메이저 부문에 동시에 노미네이트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서울=뉴스핌]  oks34@newspim.com '케데헌'의 '골든' 역시 '올해의 노래'를 포함하여 '베스트 팝 듀오/그룹 퍼포먼스' 등 총 5개 부문에 후보로 올랐다. 미국의 피치포크 등 전문 매체는 영화의 OST 곡이 메이저 부문 후보에 오른 것도 드문 사례라면서 "K팝 콘텐츠의 확장성과 영향력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장면"이라고 평가했다. 포브스는 '로제와 케이팝 데몬 헌터스가 그래미에서 K-팝의 역사를 쓴다'라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로제가 수상에 성공할 경우 그래미 역사에서 K팝이 처음으로 메이저 부문을 돌파하게 된다"며 "이는 한국 음악 산업 전체에 상징적인 사건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제68회 그래미 어워즈는 내년 2월 1일(현지시간) 미국 로스앤젤레스 크립토닷컴 아레나에서 열린다. kckim100@newspim.com 2025-11-08 04:58
사진
트럼프, 비만 치료제 가격 인하 합의 [뉴욕=뉴스핌]김근철 특파원=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6일(현지 시간) 백악관에서 '위고비'를 판매하는 덴마크 제약사 노보 노디스크와 '젭바운드' 제약사인 미국 일라이 릴리와의 합의를 통해 비만 치료제 가격을 월 250~350달러 수준(35만원~50만원)으로 대폭 인하했다고 발표했다. 기존 월 1천 달러(약 145만 원) 이상에 판매되던 약가가 절반 이하로 낮아지는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일라이 릴리와 노보 노디스크는 미국 환자에게 '최혜국가 기준' 가격을 적용하기로 합의했다"며 "위고비는 1천350달러에서 250달러로, 젭바운드는 1천80달러에서 346달러 로 내려간다"고 밝혔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백악관 집무실에서 위고비 등 비만약 가격 인하 합의를 발표하고 있다. [사진=로이터 뉴스핌] 2025.11.07 kckim100@newspim.com 이번 조치는 메디케어(65세 이상·장애인)와 메디케이드(저소득층) 가입자에게도 적용된다. 정부 부담이 반영될 경우 환자 본인 부담금은 월 50달러 이하로 떨어질 전망이다. 저소득층 메디케이드 가입자는 사실상 무료 또는 저가로 약을 처방받게 된다. 백악관은 또 연내 '트럼프알엑스(TrumpRx.gov)'라는 직구 플랫폼을 개설해, 미국 소비자가 제약사로부터 직접 비만 치료제를 구매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자비로 약을 구입하는 미국인들은 위고비·젭바운드를 월 500달러 수준에 구매해왔으며, 트럼프 행정부는 이를 245달러 수준까지 추가 인하한다는 계획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내가 '뚱보 약'이라고 부르는 이 약들은 매우 효과적이며 이미 수백만 명이 사용하고 있다"며 "이 약들은 생명을 구하고 미국인의 건강을 바꿔 놓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미국은 세계 인구의 4%뿐이지만 글로벌 제약사의 75% 수익을 내주고 있다"며 "관세 압박을 통해 약가를 선진국 수준으로 낮추겠다는 약속을 지키고 있다"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제약사들이 미국에서만 바가지를 씌우는 시대를 끝내겠다"며 "이번 약가 인하가 그 신호탄"이라고 말했다.  이번 합의에는 곧 출시될 위고비·젭바운드 '알약 형태(경구용)' 약가도 포함됐다. 최저 용량 기준 월 150달러가 적용되며, 출시 즉시 메디케어·메디케이드에서도 동일한 가격으로 급여가 이뤄진다. 노보 노디스크는 고용량 경구제 위고비의 FDA 승인 심사를 받고 있으며, 일라이 릴리도 '오르포글립론'이라는 비만·당뇨 경구제를 연내 승인 신청할 예정이다. 그동안 미국 내 건강 보험 상당수는 여전히 비만 치료 목적의 약가 지원을 제한해 왔으며, 이 때문에 '부자만 살 빠지는 약'이라는 비판이 제기돼 왔다. kckim100@newspim.com 2025-11-07 03:26
기사 번역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종목 추적기

S&P 500 기업 중 기사 내용이 영향을 줄 종목 추적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긍정 영향 종목

  • Lockheed Martin Corp.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안보 지원 강화 기대감으로 방산 수요 증가 직접적. 미·러 긴장 완화 불확실성 속에서도 방위산업 매출 안정성 강화 예상됨.

부정 영향 종목

  • Caterpillar Inc.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시 건설 및 중장비 수요 불확실성 직접적. 글로벌 인프라 투자 지연으로 매출 성장 둔화 가능성 있음.
이 내용에 포함된 데이터와 의견은 뉴스핌 AI가 분석한 결과입니다.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작성되었으며, 특정 종목 매매를 권유하지 않습니다. 투자 판단 및 결과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주식 투자는 원금 손실 가능성이 있으므로, 투자 전 충분한 조사와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