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천·광양 등 동부권 피해 전체 70% 이상
주택도시보증공사 전문인력 참여 전문적·체계적 상담
[무안=뉴스핌] 조은정 기자 = 전남도가 전세사기 피해자 지원 확대에 나섰다.
동부지역본부에서 운영 중인 '찾아가는 주거복지센터 전세사기 피해상담'을 보강해 도민 주거안정과 권리보호를 강화한다고 19일 밝혔다.
전남도에 따르면 18일 기준 도내 전세사기 피해 접수는 1123건, 피해액은 1037억 원에 달한다. 그중 순천·광양 등 동부권 피해가 전체의 70% 이상을 차지한다. 그러나 정부가 운영하는 전세피해지원센터는 서울·경기 등 6곳에만 설치돼 있어 지역 주민들의 접근성이 낮다는 지적이 이어졌다.
![]() |
아파트 전경 [사진=뉴스핌DB] |
이에 전남도는 지난 4월부터 동부지역본부에서 '찾아가는 주거복지센터-전세사기 피해상담'을 운영 중이다. 변호사·법무사·공인중개사 등이 참여해 원스톱 상담을 제공해 왔으며, 이번에 상담일정을 매월 첫째·셋째 주 목요일 오후와 금요일 오전까지 확대한다.
전남도는 국토교통부와 주택도시보증공사(HUG)에 전문인력 파견을 요청해왔으며, 이번 확대 운영에는 HUG 서울 경·공매지원센터의 전문인력이 처음으로 참여한다. 전문인력은 피해확인서 발급, 경·공매 절차 안내, 보증금 반환 청구 등 지원제도 상담을 맡아 보다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곽춘섭 전남도 건축개발과장은 "이재명 정부 국정과제에도 '전세사기 사전예방 강화'가 포함돼 있다"며 "HUG와 협력해 안심 계약을 지원하고 예방 교육과 홍보를 지속적으로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전남도는 올해 청년과 대학생 1355명을 대상으로 전세사기 예방 교육을 10회 실시했다. 지난 8월에는 전남 동부권 전세사기 비상대책위원회와 간담회를 열고 시·도 단위 전세사기피해지원센터 설치 의무화를 건의했다. 이 건의안은 권향엽 국회의원이 대표 발의한 '전세사기피해자 지원 및 주거안정 특별법' 개정안에 반영돼 국회에서 논의 중이다.
또한 전남도는 국토부와 협의해 호남권 전세사기피해지원센터 설치를 추진하고 있으며, 전국 최초로 피해자에게 생활안정자금 100만 원을 지원하는 등 다양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ej7648@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