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IAA에서 아이오닉 첫 소형 EV 콘셉트가 선보여
자비에르 마르티넷 유럽대권역장&유럽권역본부장 인터뷰
"EV, 유럽 내 현대차 브랜드 포지셔닝 변화 큰 역할"
[뮌헨=뉴스핌] 김승현 기자 = 자비에르 마르티넷 현대차 유럽대권역장&유럽권역본부장은 9일(현지시간) "우리의 전략에서 전기차(EV)가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현대차는 이번에 총 6종의 순수 전기차를 선보이며, A부터 E 세그먼트까지 유럽 전역의 주요 세그먼트를 모두 커버하는 거의 유일한 브랜드가 됐다"고 말했다.
![]() |
[뮌헨=뉴스핌] 김승현 기자 = 독일 뮌헨에서 열린 'IAA 모빌리티 2025'에서 현대차 유럽디자인센터장 에두와르도 라미레즈(Eduardo Ramirez)와 유럽대권역장 겸 유럽권역본부장 자비에르 마르티넷(Xavier Martinet)이 '콘셉트 쓰리'를 가운데 두고 기념 촬영을 하고 있는 모습 [사진=현대차] 2025.09.09 kimsh@newspim.com |
현대자동차는 이날 독일 뮌헨에서 열린 'IAA 모빌리티 2025(Internationale Automobil-Ausstellung Mobility 2025)'에 참가해 전기차 브랜드 아이오닉의 첫 소형 EV 콘셉트카인 '콘셉트 쓰리'를 선보였다.
마르티넷 본부장은 공개 행사 후 기자들과 만나 IAA 2025에서의 현대차의 목표에 대한 질문에 "유럽 B 세그먼트 시장을 겨냥한 순수 전기차를 새롭게 선보인다. 유럽에서는 B와 C 세그먼트가 핵심인데, 우리는 기존 아이오닉 5와 향후 모델을 통해 이 시장에서 강점을 보여왔다"며 "이번 콘셉트카는 B 세그먼트의 중심이 될 모델로, 우리에게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고 말했다.
그는 이번 전시에서 하이브리드 모델을 전시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 "꼭 강조하고 싶었던 점은 우리의 전략에서 전기차(EV)가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이라며 "EV는 근본적으로 중요하다. 아이오닉 서브 브랜드가 유럽 내 현대차의 브랜드 포지셔닝을 변화시키는 데 큰 역할을 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 |
[뮌헨=뉴스핌] 김승현 기자 = 현대자동차는 9일(현지시간) 독일 뮌헨에서 열린 'IAA 모빌리티 2025(Internationale Automobil-Ausstellung Mobility 2025)'에 참가해 '콘셉트 쓰리'를 선보였다. 2025.09.09 kimsh@newspim.com |
이어 "10~15년 전 유럽 고객들은 가격이 합리적이어서 현대차를 구매했다. 하지만 지금은 뛰어난 디자인, 첨단 기술, 그리고 우수한 판매 및 애프터서비스 경험 때문에 현대차를 구매하고 있다"며 "이는 앞으로 나아가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발걸음"이라고 강조했다.
마르티넷 본부장은 "물론 전기차는 유럽 내 전략의 일부일 뿐이다. 현재 전기차 비중은 유럽 전체 시장의 약 17.5% 수준이므로, 나머지 82.5%의 시장에도 반드시 존재감을 보여야 한다"며 "2027년까지 유럽에서 판매되는 모든 현대차 모델은 최소한 하이브리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차, 또는 수소차 파워트레인 등 전동화 중심으로 가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오늘은 전기차에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 우리의 접근법은 어디까지나 멀티 에너지 전략이며, 미래의 모든 파워트레인을 지속적으로 개발해 나가고 있다"고 말했다.
![]() |
[뮌헨=뉴스핌] 김승현 기자 = 현대자동차는 9일(현지시간) 독일 뮌헨에서 열린 'IAA 모빌리티 2025(Internationale Automobil-Ausstellung Mobility 2025)'에 참가해 '콘셉트 쓰리'를 선보였다. 2025.09.09 kimsh@newspim.com |
다음은 자비에르 마르티넷 현대차 유럽대권역장&유럽권역본부장과의 일문일답이다.
▲현대차가 지난번 IAA 에는 불참을 했는데 이번에는 4년 만에 참가를 하게 되어서 좀 이 행사를 통해서 보여주고 싶으신 것들 중에 어느 것들이 제일 중요한지 묻고 싶다.
-4년 만에 뮌헨 IAA에 다시 참가하게 되어 매우 기쁩니다. 이번 참가를 통해 전달하고 싶은 메시지는 두 가지입니다. 첫째, 유럽 B 세그먼트 시장을 겨냥한 순수 전기차를 새롭게 선보입니다. 유럽에서는 B와 C 세그먼트가 핵심인데, 우리는 기존 아이오닉 5와 향후 모델을 통해 이 시장에서 강점을 보여왔습니다. 이번 콘셉트카는 B 세그먼트의 중심이 될 모델로, 우리에게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집니다. 둘째, 현대차는 이번에 총 6종의 순수 전기차를 선보이며, A부터 E 세그먼트까지 유럽 전역의 주요 세그먼트를 모두 커버하는 거의 유일한 브랜드가 되었습니다. 이는 유럽 시장에서 현대차의 전동화 전략을 강하게 알리는 선언입니다.
▲콘셉트카 같은 경우에 전통적인 방식으로 보면 미디어 데이 때 공개를 해왔는데 이번에 이렇게 퍼블릭으로 오픈하는 날에 오픈 스페이스에서 공개하는 이유가 별도로 있을지 궁금하다.
-프레스데이나 사전 공개일은 주로 업계 관계자들을 위한 B2B 행사입니다. 반면, 뮌헨 거리에서 진행되는 퍼블릭 데이는 일반 소비자 및 잠재 고객과 직접 만나는 자리입니다. 현대차는 이번에 고객과 직접 소통하고 차량을 소개할 수 있는 기회를 중요하게 생각했기 때문에, 업계보다는 소비자와의 접점을 선택했습니다. 이는 현대차가 유럽 시장에서 고객 중심의 전략을 펼치고 있다는 강한 메시지이기도 합니다. 현대차 전시 부스도 주목해주시길 바랍니다. 많은 부스들이 비슷한 형태를 띠고 있지만, 현대차 부스는 대담한 디자인 요소를 담고 있어 차별화됩니다. 우리는 차량 디자인뿐 아니라 브랜드가 하는 모든 활동에 디자인 철학을 반영하고자 합니다.
▲이번에 IAA에서 하이브리드 모델은 없고 EV 모델로 전시 차량이 구성이 됐다. 그래서 앞으로 현대차 그룹이 이렇게 그 유럽 시장에서 전기차 중심으로 판매 전략을 강화하겠다는 건지 궁금하다.
-제가 오늘 발표 마지막에 꼭 강조하고 싶었던 점은 우리의 전략에서 전기차(EV)가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입니다. EV는 여러분에게도 근본적으로 중요합니다. 왜냐하면 아이오닉 브랜드가 유럽 내 당사의 브랜드 포지셔닝을 변화시키는 데 큰 역할을 했기 때문입니다. 10~15년 전 유럽 고객들은 가격이 합리적이어서 현대차를 구매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뛰어난 디자인, 첨단 기술, 그리고 우수한 판매 및 애프터서비스 경험 때문에 현대차를 구매하고 있습니다. 이는 앞으로 나아가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발걸음이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전기차는 유럽 내 전략의 일부일 뿐입니다. 현재 전기차 비중은 유럽 전체 시장의 약 17.5% 수준이므로, 나머지 82.5%의 시장에도 반드시 존재감을 보여야 합니다. 따라서 우리가 발표한 바에 따르면, 2027년까지 유럽에서 판매되는 모든 현대차 모델은 최소한 하이브리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차, 또는 수소차 파워트레인 등 전동화 중심으로 가게 될 것입니다. 즉 오늘 전기차에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 우리의 접근법은 어디까지나 멀티 에너지 전략이며, 미래의 모든 파워트레인을 지속적으로 개발해 나가고 있습니다.
![]() |
[뮌헨=뉴스핌] 김승현 기자 = 현대자동차는 9일(현지시간) 독일 뮌헨에서 열린 'IAA 모빌리티 2025(Internationale Automobil-Ausstellung Mobility 2025)'에 참가해 '콘셉트 쓰리'를 선보였다. 2025.09.09 kimsh@newspim.com |
▲현대차가 공개한 콘셉트 3 이름에 담긴 의미는
-현재는 '콘셉트 3'라는 이름으로 부르고 있으며, 아이오닉 브랜드를 통해 출시될 예정입니다. 양산차의 공식 명칭은 2026년 봄에 공개될 예정이며, 지금은 아직 개발 단계이기 때문에 '콘셉트'라는 이름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차량은 소형 전기차로, 컴팩트한 특성과 기술적 요소를 반영한 모델입니다.
▲현재 독일 자동차 산업의 현황이 어떤지, 그 이유는 뭐라고 분석하고 있는지, 그리고 마지막으로 현대차그룹은 어떤 전략을 앞으로 구사할 예정인지 궁금하다.
-자동차 수요 감소에는 여러 요인이 있습니다. 우선, 유럽의 경제 상황이 그리 좋지 않고, 규제도 점점 강화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차량 가격이 몇 년 전보다 상승했고, 일부 소비자에게는 차량 접근성이 낮아졌습니다. 2025년부터는 유럽 내 모든 자동차 제조사에게 CO₂ 배출량(SUW2 기준)에 대한 규제가 적용되며, 이는 시장 전체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하지만 현대차는 이를 기회로 보고 있습니다. 우리는 전기차, 하이브리드, 수소차, 내연기관 차까지 라인업을 확장했으며 유럽 내에서 가능한 모든 기회를 활용하려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유럽에서 우리의 시장 점유율은 안정적인 편이며, 승용차(PC)와 경상용차(LCV)를 포함해 약 3.8% 수준입니다. 향후 몇 년간 출시될 신차 라인업을 통해 점유율을 더욱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목표는 유럽 고객들에게 알맞은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며, 우리가 선보일 첫 번째 중요한 출시가 바로 여기 옆에 있는 이 모델입니다. 우리의 콘셉트 3의 양산형 모델은 1년 후 유럽 시장에 출시될 예정이며, 이는 브랜드에 새로운 모멘텀의 시작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브랜드가 유럽에서 지난 15년 동안 시장 점유율을 두 배로 늘렸다는 점을 잊지 마십시오. 그리고 우리는 거기서 멈추고 싶지 않습니다.
▲현대차에게 독일 시장의 의미와 독일 시장을 겨냥한 별도의 전략이 궁금하다.
-독일은 유럽에서 가장 큰 시장입니다. 따라서 우리는 독일에서 좋은 성과를 내야 합니다. 하지만 유럽에서 흥미로운 점은 시장마다 다르고 고객들의 기대치도 모두 다르다는 것입니다. 우리는 이러한 기대에 모두 부응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독일에서는 우리가(경쟁력을 갖춘) 첫 번째 아시아 브랜드라고 생각합니다. 이는 우리가 지금까지 경쟁사들을 능가할 수 있는 몇 가지 성공 방식을 찾았음을 보여줍니다. 이것은 좋은 출발점일 뿐입니다. 우리는 거기서 멈추고 싶지 않고, 계속 성장해 나가고자 합니다. 그리고 이 차량, 즉 이 차량의 양산 버전은 성장을 이어가기 위한 훌륭한 무기가 될 것이라고 믿습니다. 하지만 유럽에서는 모든 시장이 중요합니다. 유럽에서 강력한 입지를 가지려면 여러 시장에서 강해야 합니다. 물론 환경은 매우 도전적이지만, 이는 경쟁사들도 마찬가지이므로 우리에게는 오히려 기회라고 보고 있습니다.
kimsh@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