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외 불확실성 여전, 손실흡수능력 유지
[서울=뉴스핌] 정광연 기자 = 환율 하락에 따른 당기순이익 증가 영향으로 2분기말 국내은행 건전성이 소폭 개선됐다.
금융감독원은 6월말 국내은행의 BIS 기준 총자본비율은 15.95로 전분기말 대비 0.29%포인트(p) 상승했다고 9일 밝혔다.
보통주자본비율은 13.57%로 0.38%p, 기본자본비율은 각각 14.87%로 0.36%p 각각 증가했다. 단순기본자본비율은 6.87%로 0.14%p 상승했다.
![]() |
[사진=금감원] |
BIS 자본비율은 은행의 자기자본을 위험가중자산으로 나눈 값으로 은행 건전성을 보여주는 지표다. 숫자가 높을수록 은행은 재무 상황이 좋다는 걸 의미한다.
금융당국이 기준점으로 삼고 있는 규제비율은 보통주자본비율 8.0%, 기본자본비율 9.5%, 총자본비율 11.5%(금융체계상 중요한 은행은 1%p 가산), 단순기본자본비율 3.0%(은행지주는 미도입) 등이다.
현재 모든 국내은행이 자본규제비율을 크게 상회하는 등 양호한 수준이다.
총자본비율은 우리・KB・신한・씨티・SC・카카오 등이 16%를 상회해 매우 안정적인 모습이며, BNK는 14% 미만으로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이다.
보통주자본비율은 씨티・SC・카카오・수출입・토스가 14% 이상, KB・하나・신한・산업이 13% 이상으로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이다.
한편, SC(+2.22%p), 씨티(+1.98%p) 등 대부분(15개) 은행은 전분기말 대비 보통주자본비율이 상승한 반면, 카카오(-0.61%p), 케이(-0.36%p) 2개 은행은 하락했다.
금감원은 "국내은행 자본비율은 상반기 원/달러 환율의 하락 등으로 당기순이익이 견조한 흐름을 지속하고 외화대출자산의 위험가중자산 환산액이 감소한 데 따른 영향으로 전분기말 대비 상승했다"고 밝혔다.
이어 "국내 경기회복 지연, 환율 변동 등 대내외 불확실성이 여전하고 연체율 지속 상승 등 신용 손실 확대 가능성도 증가하고 있으므로 충분한 손실흡수능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은행 자본비율 등에 대한 모니터링을 지속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peterbreak2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