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박이말 공모·행사명 바로쓰기 우수 부서 선정
시민·공직자 함께하는 언어문화 확산 활동 진행
[창원=뉴스핌] 남경문 기자 = 경남 창원시가 제579돌 한글날(10월 9일)을 앞두고 지역어 보존과 올바른 공공언어 확산을 위한 두 가지 행사를 개최한다.
시는 '멋글씨로 빛나는 토박이말 공모전'과 '행사명 바로쓰기 우수 부서 선정'을 통해 시민과 공직자가 함께하는 언어문화 확산 활동을 진행한다고 3일 밝혔다.
![]() |
멋글씨로 빛나는 토박이말 포스터 [사진=창원시] 2025.09.03 |
첫 번째 행사는 창원의 토박이말을 발굴해 손 글씨로 표현하는 '멋글씨로 빛나는 토박이말 공모전'이다. 지난해 높은 시민 호응에 이어 올해도 다시 마련됐다.
응모 기간은 지난 1일부터 19일까지이며, 시민 누구나 연필·붓펜·사인펜 등 다양한 필기도구를 활용해 일상 속 토박이말을 A4 이상 크기의 종이에 자유롭게 표현한 작품을 제출할 수 있다. 접수는 온라인(창원시 누리집·QR코드)이나 우편으로 가능하며, 최종 접수 인정은 반드시 실물 원본 작품 제출이 필요하다.
심사는 창원시국어진흥위원회가 맡아 적합성, 표현력, 참신성, 노력도를 기준으로 진행한다. 총 15명의 우수작을 선정하며, 으뜸 1명(30만 원), 버금 3명(각 20만 원), 보람 11명(각 10만 원)에게 창원사랑상품권 '누비전'을 시상한다.
두 번째 행사는 시 산하 전 부서 및 읍면동을 대상으로 하는 '행사명 바로쓰기 우수 부서 선정'이다. 9월 1일부터 12일까지 응모를 받아 각 부서는 지난 1년간 사용한 행사명·사업명·표어·홍보물 가운데 올바른 우리말 사용 사례를 정리해 제출한다.
창원시국어진흥위원회 심사를 통해 총 7개 부서를 선정하며, 으뜸 1팀(30만 원), 버금 1팀(20만 원), 보람 5팀(각 10만 원)에게 누비전이 수여된다.
시 직원 대상 교육도 마련된다. 창원시는 오는 10월부터 11월까지 구청별 순회 방식으로 '인공지능(AI) 활용 공공언어 바로잡기 교육'을 총 6회 진행한다. 문체부 공공언어 평가 분석 결과를 토대로, AI를 활용한 오류 탐지와 문장 바로 쓰기를 집중적으로 다룰 예정이다.
시는 이번 한글날 기념 행사를 통해 지역의 토박이말 가치를 되새기고, 시민과 직원 모두가 생활 속에서 우리말을 기록하고 가꾸며 바른 언어 문화를 확산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동호 창원시 국어책임관은 "토박이말은 지역의 역사와 정체성을 담은 소중한 자산"이라며 "이번 행사를 통해 시민과 공직자가 함께 올바른 언어 문화 확산에 동참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news234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