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독제서 용량제로 전환, 경제점 이점
AI 모델별 특화기능 활용해 업무 향상
[서울=뉴스핌] 이경화 기자 = 서울시는 앞으로 직원들이 챗GPT와 제미나이를 포함한 29개 인공지능 모델을 행정 업무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3일 밝혔다. 기존에는 한 가지 AI 모델만 구독형으로 이용할 수 있었으나, 이제는 각 직원이 자신의 업무 특성에 맞춰 다양한 모델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서울시는 이와 관련해 '생성형 AI 용량제' 서비스 '서울AI챗'을 도입해 오는 12월까지 업무에 시범 활용할 계획이다. 시는 지난해부터 생성형 AI를 활용할 직원을 모집해 신기술 이용료 지원 형식의 구독제를 시행해왔으나, 지원 가능 인원(570명)에 비해 신청자가 3배 이상 늘면서 사업 확대 요구가 있어 왔다.
![]() |
서울시청 전경 [뉴스핌DB] |
구독제에 참여한 직원들은 주로 아이디어 도출, 자료 조사와 문서 작성 등에 AI를 이용했으며, 이들 가운데 90% 이상이 챗GPT를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AI챗'이 도입되면 기존 구독제와 달리 여러 AI 모델을 상황에 맞게 사용할 수 있어 업무의 효율성과 품질이 향상될 것으로 예상된다. 예를 들어 문서 작성은 클로드, 실시간 검색은 퍼플렉시티와 제미나이를 활용하는 식으로 각 AI의 특화된 기능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 시는 전 직원을 대상으로 개별 직원에게 월 3만원의 정액 서비스를 제공하는 구독제를 확대할 경우, 연간 30억 원이 소요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반면 이 서비스를 실제 사용량에 기반해 과금하는 용량제로 운영할 경우, 연간 약 2억 원이면 가능하다는 점에서도 경제적 이점이 있다고 덧붙였다.
시는 '서울AI챗' 시범 운영을 통해 행정 효율과 직원 만족도가 동시에 높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반복되는 업무를 처리하는 데 소요했던 시간은 줄어드는 반면 창의적인 기획과 정책 설계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이 구축될 것으로 관측된다.
한편 모든 직원은 AI 모델 사용에 앞서 정보 보안을 다짐하는 서약서를 제출하고, 개인정보 보호·AI 윤리를 준수하는 관리 체계를 마련해 안전한 AI 활용 문화를 확립할 계획이다. 이 과정에서 민감정보 입력 금지, 생성물 검증·출처 표기, 편향·허위 정보 차단 등 공공기관의 특성에 맞는 관리 원칙을 철저히 준수하도록 했다.
강옥현 디지털도시국장은 "이번 시범 사업으로 직원들이 생성형 AI를 업무에 광범위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됐다"며 "앞으로 AI를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행정 도구로 활용, 서울시의 AI행정을 전국 최초에서 '전국 표준'으로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kh9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