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 美 관세대응 정책금융-금융지주 간담회
권대영 "금융지원, 생존 넘어 피해기업 근본적 경쟁력 강화로"
[서울=뉴스핌] 채송무 기자 = 미국 발 관세 부담에 따른 우리 기업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금융권이 뭉쳤다. 정책금융과 민간 금융이 2026년까지 265조원을 지원한다.
금융위원회는 3일 정부서울청사 대회의실에서 미국 정부의 상호 관세, 품목관세 부과에 따른 우리 기업의 피해를 최소화할 금융업계의 대응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美관세대응 정책금융-금융지주 간담회'를 개최하고 이같이 밝혔다.
![]() |
[서울=뉴스핌] 채송무 기자 = 미국 발 관세 부담에 따른 우리 기업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금융권이 뭉쳤다. [사진=금융위원회] 2025.09.03 dedanhi@newspim.com |
이번 간담회는 권대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의 주재로 금융감독원, 한국산업은행, 중소기업은행, 한국수출입은행, 신용보증기금, 기술보증기금, 한국자산관리공사 부기관장 및 5대 금융지주 CSO 등이 참석해 미 관세 부과에 따른 국내 주력산업 영향과 금융지원 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간담회에서 정책금융기관은 관세 위기에 대응해 2026년까지 총 172억원을 지원하며, 연초부터 8월 말까지 약 63조원이 공급됐다고 밝혔다. 지원 분야는 경영애로 해소에 36조3000억원, 수출다변화에 33조3000억원, 산업경쟁력 강화에 91조5000억원, 사업재편 기업 지원 11조원이다.
주요 상품으로는 관세피해 중소·중견기업에 긴급 경영자금을 지원하는 한국산업은행과 한국수출입은행의 '위기대응지원 특별프로그램'이 소개됐다.
한국산업은행은 지원대상을 관세 피해기업에서 수출 다변화 기업까지 확대하고, 지원 한도도 10배 증액(중견 50억→500억, 중소 30억 → 300억)할 계획이다. 또한 산은이 제시할 수 있는 금리도 기존 최저금리에서 0.2%p 인하에서 0.5%p 인하로 추가 인하할 계획이다.
한국수출입은행도 지원대상을 신용등급 열위 기업에서 전체 중소기업으로 확대·개편하고 최대 2.0%p의 우대금리를 제공할 예정이다.
5대 금융지주는 관세위기에 대응하여 2026년까지 총 95조원을 지원하며, 연초부터 8월 말까지 약 45조원을 공급했다. 5대 금융지주의 금융지원 상품은 금리부담 경감, 수출·공급망 지원, 혁신성장 지원, 대기업 상생 대출 등 다양하게 구성됐다.
금융위원회 권대영 부위원장은 이날 금융지원과 관련해 단순 생존을 넘어 새 성장동력을 발굴하는 방식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권 위원장은 모두 발언에서 "이제는 관세 피해 최소화 및 미래 경쟁력 확보를 위한 금융 지원방안을 보다 구체화하고 강화해 나갈 시점"이라며 "금융지원이 단순히 '생존'을 지원하는 것을 넘어, 피해기업이 근본적인 경쟁력을 강화하고 새로운 성장동력을 발굴하도록 든든한 기반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역설했다.
권 부위원장은 "구체적으로 자동차(부품), 철강, 석유화학 등 관세 피해가 큰 전통 수출산업에 대해서는 위기 대응을 위한 수출 다변화 및 경쟁력 강화, 고부가가치 구조로의 재편 등을 위한 자금지원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관세 부과로 직간접적 큰 피해가 우려되는 중소·중견 수출기업과 국내 협력업체들에게는 긴급 경영안정자금의 추가 지원과 함께 수출경쟁력 강화, 해외시장 다변화, 대기업 등과의 상생협력 등 다양한 금융상품을 마련해달라"고 당부했다.
dedanhi@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