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화 스테이블코인 활용한 차세대 금융서비스 실현
[서울=뉴스핌] 이성화 기자 = 사토시홀딩스는 OP 스택 기반의 이더리움 레이어2 메인넷 '타이거체인(TigerChain)' 테스트를 공개했다고 2일 밝혔다.
이번 메인넷은 옵티미스틱 롤업과 ZK 롤업의 장점을 결합해 초당 수천 건(TPS) 수준의 거래 성능을 확보했으며 대출 실행, 이자 지급, 담보 관리 등 금융 절차를 스마트 컨트랙트로 자동화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모든 거래 기록은 블록체인에 영구 보관돼 위·변조가 불가능하며 금융 서비스 전반에 필수적인 투명성과 신뢰성을 제공한다.
![]() |
사토시홀딩스 로고. [사진=사토시홀딩스] |
OP 스택은 현재 글로벌 주요 거래소들이 잇따라 채택하며 사실상 업계 표준으로 자리매김했다. 코인베이스 블록체인의 '베이스(Base)'와 크라켄의 '잉크(INK)'가 모두 OP 스택을 기반으로 구축됐으며 사토시홀딩스 타이거체인 역시 동일한 OP 스택을 적용해 글로벌 수준의 호환성과 확장성을 확보했다.
테스트 단계에서는 원화 스테이블코인을 활용한 결제·대출·유동성 풀 서비스가 검증되고 있다. 사토시홀딩스는 이를 바탕으로 메인넷 정식 출시에 나서며 스테이블코인을 중심으로 한 글로벌 디파이(DeFi) 생태계를 본격적으로 확장할 계획이다.
타이거체인은 단순 성능 검증을 넘어 금융기관과 핀테크 기업, 블록체인 프로젝트들이 활용 가능한 다양한 응용 시나리오로 이어진다. 원화 스테이블코인을 기반으로 한 결제와 대출뿐 아니라 실물자산 토큰화(RWA), 기관형 DeFi, 크로스체인 자산 이전 등 차세대 금융 서비스 구현의 핵심 인프라가 될 전망이다.
다만 한국 내 원화 스테이블코인의 발행 시기와 라이선스 주체는 아직 불명확하다. 사토시홀딩스 관계자는 "이미 'KRDT' 상표권 출원을 마치고 원화 스테이블코인 발행을 준비 중"이라며 "은행권 위주로 원화 스테이블코인이 발행된다 하더라도 해당 자산을 활용해 DeFi와 RWA 등 레이어2 기반 금융 서비스를 지속해서 이어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네트워크 거래 수수료를 원화 스테이블코인으로 지불하도록 설계하면 사용자는 보다 직관적이고 안정적인 금융 경험을 할 수 있으며 막대한 원화 유동성을 온체인 생태계 안에서 활용하는 가능성도 열린다. 아울러 비상장 주식 같은 자산 토큰화를 통해 자동 배당, 조건부 거래, 프로그래머블 주주권 행사 등 기존 증권 시스템에서는 어려운 혁신 모델 구현도 가능하다.
사토시홀딩스 관계자는 "이번 테스트를 기반으로 타이거체인을 스테이블코인 중심의 차세대 금융 인프라로 발전시키겠다"고 밝혔다.
shl2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