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김현구 기자 =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외환 사건을 수사 중인 내란 특별검사(특검)가 14일 '평양 무인기 투입 작전'의 핵심 인물인 김용대 드론작전사령관을 다시 소환했다.
특검은 이날 오전 10시부터 김 사령관을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조사하고 있다. 김 사령관은 출석하면서 합동참모본부(합참) 의장 '패싱 의혹'에 대해 "패싱은 할 수 없다. 전 합참 작전본부장에게 지휘를 받는 입장"이라며 의혹을 부인했다.
![]() |
김용대 드론작전사령관. [사진=뉴스핌DB] |
그는 작전에 대해 "북한의 오물 풍선으로 국민들의 피해가 컸던 상황에서 야전 지휘관으로서 대응책을 생각해 보고했다"며 "대통령 등이 지시해서 시작된 작전이 아니고, 대통령을 만난 적도 없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김 사령관은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이 대통령 경호처장 시절부터 관련 보고를 받았다는 의혹에 대해서도 "작전을 보고한 적은 없다"고 반박했다. 그는 작전 직후 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과 여러 차례 통화는 했지만, 작전과 관련해 논의한 적은 없다고 강조했다.
특검은 윤석열 전 대통령이 지난해 비상계엄 선포의 명분을 만들 목적으로 드론사에 평양 무인기 투입을 지시했는지 들여다보고 있다. 이 작전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합참의장을 건너뛰는 등 정상적인 지휘 체계가 이뤄지지 않았으며, 김 전 장관이 관여했다는 의혹 등이 제기됐다.
이후 김 전 장관은 국방부 장관으로 취임했고 무인기 투입 작전도 실행됐다. 이와 관련해 뒤늦게 작전을 보고받은 합참은 반대 의견을 냈으나 김 전 장관이 이를 묵살했다는 진술도 나온 것으로 알려졌다.
아울러 특검은 작전 이후 군이 이를 은폐하기 위해 조직적으로 움직였는지도 들여다보고 있다. 작전 당시 북한으로 보낸 무인기 중 1대가 추락하자, 이를 훈련 과정에서 분실한 것처럼 허위 보고서를 만들었다는 내용 등이다.
특검은 이날 김 사령관을 상대로 무인기 작전 관련 황을 확인한 뒤 그에 대한 구속영장 재청구 여부를 검토할 전망이다.
hyun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