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2024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 발표
고령자 1000만명 시대…전체 인구 19.5%
반지하·옥탑 주택 90% 노후기간 20년 이상
[세종=뉴스핌] 양가희 기자 = 국내 총인구가 지난해 5180만6000명으로 전년 대비 3만1000명(0.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내국인 감소에도 이주노동자 및 유학생 등 외국인 증가세가 총인구수를 견인한 모습이다. 지난해 11월 기준 3개월 이상 국내 거주 외국인은 처음으로 200만명을 넘어섰다.
반지하 거주 가구는 39만8000가구, 옥탑은 3만6000가구로 각각 전체 일반가구의 1.8%, 0.2%를 차지했다. 이들 주택 약 90%는 노후기간 20년 이상이었다. 인구주택총조사에서 주거용으로 활용된 반지하 및 옥탑 대상 조사는 올해가 처음이다.
◆ 외국인 수 200만명 최초 상회…총인구 증가에 영향
29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인구주택총조사결과'(등록센서스)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1일 기준 국내 총인구는 5180만6000명으로 집계됐다. 전년 대비 3만1000명(0.1%) 증가한 수준이다.
![]() |
2024년 인구주택총조사[자료=통계청] 2025.07.29 sheep@newspim.com |
총인구는 지난 2021년부터 2년 연속 감소했으나 2023년부터 다시 증가하고 있다. 통계청은 고용허가제 규모 확대, 유학생 증가 등으로 인한 외국인 증가폭이 내국인 자연감소분을 상쇄한다고 봤다.
내국인은 4976만3000명(96.1%)으로 전년 대비 7만7000명(-0.2%) 감소했다. 내국인은 2021년 이후 매년 감소하고 있다.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과 중부권 인구는 증가했으나 영남권과 호남권 인구는 감소세다.
가구 수 추이를 보면 3인 이하 가구가 증가하면서 전체 가구 수 증가를 이끌었다. 특히 1인가구는 지난해 처음 800만가구를 넘어선 805만가구로 확인됐다.
일반가구는 총가구의 96.9%(2229만가구)로 전년 대비 22만가구(1.0%) 증가했다. 외국인 및 집단가구는 70만가구(3.1%)로 전년 대비 5만가구(7.3%) 증가했다.
![]() |
2024년 인구주택총조사[자료=통계청] 2025.07.29 sheep@newspim.com |
지난해 외국인은 204만3000명(3.9%)으로 전년 대비 10만8000명(5.6%) 증가했다. 지난해 11월 1일 기준 국내 3개월 이상 거주한 외국인은 처음으로 200만명을 넘어섰다. 외국인 수 추이를 보면 2020년부터 2년 연속 감소했으나 2022년 이후 증가세로 전환했다.
다문화가구는 43만9000가구로 전년 대비 2만4000가구(5.7%) 증가했다. 2016년 이후 매년 지속 증가세다. 시도별로는 경기와 서울이 각각 31.1%, 17.8%로 높았고, 세종은 0.5%로 가장 낮았다.
김서영 통계청 인구총조사과 과장은 "등록센서스상 인구가 2021년, 2022년 연속 감소했고 2023년과 2024년 연속 증가했다"며 배경에 대해 "외국인이 지난해와 올해 많이 증가했다. 지난해 고용허가제 확대와 지역특화비자 시행이 외국인 노동인력과 유학생 증가에 기여하면서 총인구 증가에도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 고령인구 1000만명 시대…'고령자 있는 가구' 전체 가구의 3분의 1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지난해 처음으로 1000만명을 넘어섰다. 인구수는 1012만2000명으로 전년 대비 51만3000명(5.3%)이 증가해 전체 인구의 19.5%를 차지했다.
15세부터 64세까지 생산연령인구는 3626만3000명(70%), 0세부터 14세까지 유소년인구는 542만1000명(10.5%)으로 나타났다. 각각 전년 대비 28만3000명(-0.8%), 19만9000명(-3.5%) 줄었다.
![]() |
2024년 인구주택총조사[자료=통계청] 2025.07.29 sheep@newspim.com |
생산연령인구 100명당 부양해야 할 유소년인구는 14.9로 전년 대비 0.4 감소한 반면, 노년부양비는 27.9로 1.6 증가했다. 노령화지수는 186.7로 2019년(122.3) 대비 64.4 증가했다.
성별 인구수는 여성 2587만5000명, 남성 2593만1000명으로 나타났다. 남성이 여성보다 5만6000명 더 많아 여성 100명당 남성 수를 의미하는 성비는 100.2로 확인됐다.
연령대별로는 50대가 871만3000명(16.8%)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40대 780만9000명 (15.1%), 60대 779만1000명(15.0%) 순이었다.
65세 이상 고령자만 있는 가구는 400만7000가구(18.0%)로, 전년 대비 26만3000가구(7.0%) 증가했다. 고령자가 포함된 가구는 713만7000가구로 전체 일반가구의 3분의 1가량(32.0%)을 차지했다. 고령자 1인가구는 228만9000가구로 전체 가구의 10.3% 수준이었다.
![]() |
2024년 인구주택총조사[자료=통계청] 2025.07.29 sheep@newspim.com |
229개 시군구 중 65세 이상 인구가 15세 미만 인구보다 많은 시군구는 216곳(94.3%)로 전년 211곳(92.1%)에 비해 5곳이 늘었다.
노령화지수가 가장 높은 시군구는 대구 군위군(1188.7), 경북 의성군(976.3), 경남 합천군(879.2) 순으로 5년 연속 이어졌다. 낮은 시군구는 세종시(63.3), 경기 화성시(68.1), 부산 강서구(76.9), 울산 북구(77.4) 등이었다. 전년 대비 노령화지수가 감소한 시군구는 대구 중구, 부산 연제구, 대구 서구, 경기 과천시로 확인됐다.
◆ 반지하·옥탑 가구 대부분 수도권 거주…주택 노후기간 30년 이상이 다수
반지하 거주 가구는 39만8000가구(1.8%), 옥탑 거주 가구는 3만6000가구(0.2%)로 나타났다. 각각 전체 가구의 1.8%, 0.2% 수준이다.
반지하 및 옥탑 거주 가구 대다수는 서울과 경기, 인천 등 수도권에 살았다. 수도권의 반지하 및 옥탑 가구는 각각 38만8000가구(97.5%), 3만3000가구(89.8%)였다.
![]() |
2024년 인구주택총조사[자료=통계청] 2025.07.29 sheep@newspim.com |
반지하 및 옥탑 주택은 모두 60% 이상이 노후기간 30년 이상 주택이었다. 이어 노후기간 20~30년 된 주택이 30%에 육박해 대다수 반지하 및 옥탑 주택은 크게 노후된 것으로 확인됐다. 이들 주택은 주로 서울에 위치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주택 가운데 노후기간 20년 이상 주택은 1091만 호로 전체 주택의 54.9%에 해당했다. 30년 이상 주택은 557만 호로 전체 주택의 28.0%를 차지했다.
등록센서스에서 반지하 및 옥탑 거처 전수통계를 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sheep@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