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2분기 서울 오피스 총거래액 5조원 이상
대형 자산 거래 활발… 공실률은 권역별로 엇갈려
[서울=뉴스핌] 정영희 기자 = 올 상반기 거래가 예정돼 있던 다수의 서울 오피스 매물이 잇따라 손바뀜하며 거래규모가 10조원을 넘어섰다.
![]() |
2025년 2분기 서울 오피스 매매시장 인포그래픽 [자료=젠스타메이트] |
28일 상업용 부동산 기업 '젠스타메이트'에 따르면 올 상반기 서울 오피스 거래규모는 총 10조1536억원으로 지난해 연간 거래규모의 약 76%에 달했다. 2분기 단일 거래규모 기준으로는 전 분기 대비 5572억원(12%) 증가한 5조3554억원이다. 데이터 집계를 시작한 2000년 이후 두 번째로 큰 규모다.
GBD(강남 권역) 거래액은 2조4854억원으로 분기 기준 역대 최대 거래규모를 달성했다. 강남N타워는 가상자산 거래소 빗썸이 3.3㎡당 4400만원(총 6805억원)에 사옥 목적으로 매입했다. SI타워는 이지스자산운용이 KB자산운용으로부터 8971억원에 인수했다. 3.3㎡당 가격은 4480만원이다.
CBD(도심 권역) 거래규모 또한 2조4102억원으로 강남권역과 비슷한 수준이다. KDB생명타워, CJ제일제당센터, 수송스퀘어, 크레센도 등 코어 자산 거래가 집중되며 전체 거래규모의 90% 이상이 3만3000㎡ 이상의 대형 자산에서 발생했다.
다만 올해 서울 오피스 거래규모는 약 16조~17조원 선에 머무를 전망이다. 김규진 젠스타메이트 리서치센터장은 "2분기 매수 용도에서 '사옥 목적' 비율이 40%를 넘긴 경우가 거의 없는 점을 감안할 때 전략적 투자자(SI)의 움직임이 두드러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며 "NC타워1, 충무로 남산N타워 등 다수의 매물이 하반기 중 거래 종결을 앞두고 있지만 시장에는 여전히 많은 대형 매물들이 있어 하반기 거래규모는 상반기 대비 다소 축소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상반기 서울 오피스 임대시장 전체 공실률은 6.8%로 전 분기 대비 0.5%p(포인트) 상승했다. 권역별로는 상반된 흐름이 나타났다. YBD(여의도 권역)은 2.2%로 전 권역 중 가장 낮았으나 CBD는 INNO88타워, 케이트윈타워 등 신축 건물이 공급되며 전 분기 대비 0.9%p 상승한 5.1%를 기록했다. GBD는 센터필드 이스트, 아이콘삼성 등 초대형 오피스의 공실이 해소되며 공실률이 3.9%로 전 분기와 비슷한 수치를 유지했다.
임대료는 전 권역에서 소폭 상승했다. 2분기 기준 CBD 평균 3.3㎡당 임대료는 11만3000원, GBD는 11만2700원으로 전 분기 대비 각각 1.1%, 1.2% 상승했다. CBD에서는 시그니쳐타워, 크리스탈스퀘어 등 초·중대형 오피스에서 임대료가 올랐다. GBD에서는 포스코센터, 코레이트타워 등 프라임급 자산이 권역 평균을 끌어올렸다. YBD는 대형 오피스 임대료 상승 영향으로 보증금과 임대료 모두 전 분기와 유사했다.
chulsoofrien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