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OSCE 신기술 안보 컨퍼런스' 비엔나에서 개최
신기술에 의한 초국경적 안보 위협 대응 방안 논의
신기술 군사적 활용에 대한 국제규범 필요성 공감
AI 활용 '정보조작 고도화' 에 "대응 체계 마련해야"
[서울=뉴스핌] 유신모 외교전문기자 = 외교부는 26일(현지 시각) 오스트리아 비엔나에서 유럽안보협력기구(OSCE)와 '제3차 한-OSCE 신기술 안보 컨퍼런스'를 공동 개최하고 아시아와 유럽 지역의 신기술 발전이 평화·안보에 미치는 영향과 향후 국제협력 증진 방안을 심도 있게 논의했다고 27일 밝혔다.
조구래 외교부 외교전략정보본부장은 개회식 영상 축사에서 "오늘날 유럽과 인도·태평양 지역 간 안보 연계성이 심화되는 가운데 지역 간 협력을 통한 신뢰 구축이 신기술 안보 위협에 대한 효과적 대응을 위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 |
조구래 외교부 외교전략정보본부장이 26일(현지 시각) 오스트리아 비엔나에서 열린 '제3차 한-OSCE 신기술 안보 컨퍼런스' 개회식에서 영상 축사를 하고 있다. [사진=외교부] 2025.05.27 |
조 본부장은 이어 올해 OSCE 설립 협정(헬싱키 최종의정서) 채택 50주년을 맞아 OSCE가 한국 등 주요 파트너들과 신기술 분야 국제협력 논의를 지속해온 점을 평가하고 OSCE와 지속적으로 협력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2017년부터 OSCE와 공동으로 초국경적 안보 위협 대응을 논의하기 위한 회의를 개최해왔다. 이번 컨퍼런스에는 유럽과 아시아의 신기술 안보 관련 정부 및 민간 전문가 150여 명이 온·오프라인으로 참석했다.
외교부는 "OSCE 설립협정 채택 50주년을 맞는 올해 개최된 금번 컨퍼런스는 신기술 안보를 위한 유럽과 아시아 지역간의 협력 증진은 물론, 진화하는 신기술 위협에 대한 국제적 논의 과정에서 우리나라의 주도적 역할과 위상을 재확인하는 계기가 됐다"고 평가했다.
이날 '신기술 발전에 따른 군사안보 분야의 기회와 도전 요인'이라는 주제로 진행된 1세션에서는 신기술의 군사적 활용과 이에 따른 투명성과 책임성 확보방안이 중점적으로 논의됐다. 참석자들은 신기술의 군사적 활용을 위한 국제 규범 확립이 필요하다는 데에 공감했다.
패널 토론에서는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정보 조작의 고도화 경향에 대해 우려를 표시하고 디지털 회복력 강화 및 국가 간 신뢰 구축 등 대응 체계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어진 2세션에서는 핵심 기반시설을 겨냥한 복합 안보 위협 등 신기술이 야기하는 다양한 안보 도전 등에 대해 논의했다. 윤종권 외교부 국제안보국장은 화상으로 진행된 2세션 기조연설에서 핵심 기반시설에 대한 물리적·사이버 위협이 증가하고 있음을 지적하고, 이에 대응하기 위한 회복력 확보 및 국제협력 증진 필요성을 강조했다.
opento@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