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김현구 기자 = 회삿돈 2200억원 상당을 횡령·배임한 혐의로 기소된 최신원(72) 전 SK네트웍스 회장에 대한 대법원 판단이 15일 나온다.
대법원 3부(주심 오석준 대법관)는 이날 오전 11시15분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횡령) 등 혐의로 기소된 최 전 회장에 대한 상고심 선고기일을 진행한다.
![]() |
최신원 전 SK네트웍스 회장. [사진=뉴스핌 DB] |
최 전 회장은 개인 골프장 사업 추진, 가족 및 친인척에 대한 허위 급여 지급, 개인 유증 대금 납부, 부실 계열사에 대한 자금지원 등 명목으로 자신이 운영하던 SK텔레시스 등 6개 계열사에서 총 2235억원의 회삿돈을 횡령하고 회사에 손해를 끼친 혐의를 받는다.
아울러 그는 2012년 10월 SK텔레시스가 신주인수권부사채(BW)를 발행하는 과정에서 자신도 개인 자금으로 유상증자 대금을 납입한 것처럼 신성장동력 펀드를 속여 275억 원 상당의 BW를 인수하게 한 혐의도 있다.
1심은 최 전 회장에 대한 7가지 공소사실 중 ▲개인 골프장 사업 추진 관련 155억원 배임 ▲개인 유상증자 대금 납부 관련 280억원 횡령 ▲가족 및 친인척에 대한 허위 급여 지급 등 150억원 횡령 ▲외국환거래법 위반 및 금융실명법 위반 등 총 580억원 상당의 횡령 및 배임 혐의를 유죄로 인정하고 그에게 징역 2년 6개월을 선고했다.
다만 재판부는 최 전 회장의 사회적 지위와 그가 재판에서 보인 태도 등에 비춰 도주 염려가 없어 보이고, 재판 과정에서 문제됐던 증거인멸 우려도 거의 해소됐다며 법정구속까지는 하지 않았다.
2심에선 최 전 회장의 횡령·배임액이 약 560억원으로 줄었다. 하지만 재판부는 "증거인멸 또는 도망의 우려가 있다"며 최 전 회장을 구속했다.
재판부는 "SK그룹 내 최장자로 그 역할을 수행하려는 목적이 일부 인정된다 해도 이는 분명 사적이익의 추구에 해당하고 기업이나 사회 전체의 이익이 고려된 경영 판단의 여지는 매우 적다"며 "위법행위에 대한 엄중한 처벌이 필요하다"고 판시했다.
아울러 재판부는 최 전 회장이 SK텔레시스의 부도 위기를 막기 위해 2011~2015년 세 차례에 걸쳐 SKC에게 936억원 상당의 유상증자에 참여하도록 했다는 배임 부분과 관련해서는 1심과 마찬가지로 무죄로 판단했다.
hyun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