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뉴스핌 채널 추가
뉴스핌 채널 추가 안내
글로벌 특파원

속보

더보기

美 증시, '고유가·고금리·강달러' 삼중고에 무릎 꿇나

기사입력 : 2023년09월13일 13:34

최종수정 : 2023년09월13일 13:34

고유가로 인한 긴축 장기화 우려 속 증시 부담 커질 듯

[시드니=뉴스핌] 권지언 특파원 = 뉴욕증시가 다시 고개를 든 유가와 채권 금리, 달러 움직임에 짓눌려 올해 기록한 상승분을 반납할 수도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12일(현지시각) 마켓워치는 미 증시가 연방준비제도(연준)의 긴축 전망과 연결된 이 3개의 악재를 마주하고 있으며, 앞으로 낙폭을 키울 가능성이 크다고 경고했다.

오펙(OPEC·석유수출국기구) 로고 [사진=로이터 뉴스핌]

◆ 관건은 연준 긴축 마침표 시기

증시를 짓누르는 3개 주요 악재의 근간에는 연방준비제도(연준)의 긴축 기조가 예상보다 길어질 것이란 불안이 자리한다.

연초만 해도 금리 인하 기대가 짙었지만 생각보다 긴축 지속 기간이 길어지면서 달러화와 미국채 수익률 상승 흐름이 뚜렷해지고 있는 것. 여기에 산유국들의 재정 문제로 인해 유가도 당분간 강세를 유지할 것으로 보여 증시 압박은 계속되고 있다.

펙트셋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달 초부터 이날까지 미 달러화 가치를 보여주는 ICE 달러지수는 2.2% 올랐고, 미국채 10년물 수익률은 4.284%로 24bp가 올랐다. 같은 기간 서부텍사스산원유(WTI) 선물 가격 상승폭은 8% 가까이로 더 드라마틱했다.

반면 같은 기간 뉴욕증시 S&P500지수는 2% 하락했다. 그나마 엔비디아와 애플 등 기술주로 구성된 나스닥지수는 인공지능(AI) 관련 기대감 덕분에 하락은 면한 상태다.

모트자산운용 창립자 마이클 크래머는 "여름 증시 랠리가 고유가와 고금리, 강달러에 무릎을 꿇고 있다"고 지적했다.

사우디아라비아와 러시아 등 산유국들의 감산 연장 조치로 고유가 흐름이 지속될 조짐을 보이면서 연준 목표치 부근으로 내려올 것으로 기대되던 물가도 위로 빠르게 방향을 틀었다.

월가 전문가들은 산유국들이 주도하는 감산 움직임이 유가를 당분간은 위로 밀어 올릴 것으로 판단 중인데, 고유가가 길어진다면 연준이 최우선 과제로 삼고 있는 인플레 파이팅에도 차질이 생겨 긴축 종료 시점이 달라질 수 있다.

美 근원 CPI 상승세 추이 [사진=미노동부/트레이딩이코노믹스 재인용]

◆ 금리 동결, 지나친 확신 말아야

현재까지 서베이를 통해 드러난 월가 전문가들의 의견은 연준이 연말까지 금리를 동결하고 내년에는 금리를 인하할 것이란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하지만 고유가 등으로 인해 인플레이션 둔화 흐름에 차질이 생길 경우 추가 긴축 불안은 언제든 고개를 들 수 있다는 지적이다.

로이터통신이 지난 7일부터 12일까지 97명의 이코노미스트를 대상으로 실시한 서베이에서 94명(95% 이상)은 다음 주 연준이 금리를 동결할 것으로 봤다. 연내 최소 한 차례 금리 인상을 점친 전문가는 17명으로 20% 정도였다.

한편 연방준비제도(연준)의 금리 결정 참고 자료로 쓰이는 전미은행가협회(ABA) 경제자문위원회 분석 보고서에서 월가 전문가들은 금리 인상 사이클이 종료됐으며 내년에는 1%포인트 정도 금리가 인하될 것으로 판단했다.

위원회는 올 4분기 실효연방기금금리(Effective Federal Fund Rate) 전망치를 5.38%로 제시해 오는 11월과 12월에도 금리가 동결될 것으로 봤으며, 내년 4분기 전망치는 4.37%로 제시해 앞으로 1년 사이 금리가 1%p 내려올 것으로 예상했다.

다만 노무라 소속 찰리 맥엘리곳은 이날 마켓워치와 공유한 고객 노트에서 9월 마지막 2주와 10월 초까지 증시와 같은 위험 자산 시장 변동성이 특히 고조될 수 있다면서 주의를 당부했다.

13일 발표될 미국의 8월 소비자물가지수(CPI)도 일단 반등은 예상되나 월가 전망치를 크게 웃도는 수치가 나온다면 큰 시장 충격이 초래될 수 있다.

아카디안 자산운용의 포트폴리오 매니저 클리프턴 힐은 여전히 높은 수준의 인플레이션 때문에 연준이 11월 금리 결정에 앞서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고, 이 경우 달러 가치는 5% 더 오를 수 있다고 예측해 증시에도 먹구름이 드리울 수 있음을 시사했다.

kwonjiun@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비트코인 터졌다…'FOMO' 자금 유입 속 42K 돌파 임박 [시드니=뉴스핌] 권지언 특파원 = 가격 상승 탄력이 붙기 시작한 비트코인이 4만2000달러 부근까지 치솟았다.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한국시간으로 5일 오전 8시 26분께 비트코인 가격은 24시간 전보다 4.47% 뛴 4만1864.61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시총 2위 이더리움은 같은 시각 2.11% 상승한 2233.93달러를 지나고 있다. 비트코인 가격 1년 추이 [사진=코인데스크 차트] 2023.12.05 kwonjiun@newspim.com 지난주까지만 해도 3만8000달러 저항선 돌파에 어려움을 겪던 비트코인은 비둘기(완화 선호)적으로 해석된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연준) 의장의 발언 이후 4만달러까지 수직상승한 뒤 간밤 랠리 속도를 키우며 4만2000달러 부근까지 치솟았다. 동일한 파월 호재에 뉴욕증시가 하루 상승한 뒤 다시 숨 고르기에 들어간 것과는 대조적인 모습. 증시와 달리 코인시장을 탄탄히 떠받치는 요인 중 하나는 바로 비트코인 현물 상장지수펀드(ETF) 승인 기대감이다. 내년 초로 예상되는 현물 ETF 승인과 내년 4월 예정된 비트코인 반감기를 앞두고 기관 등 투자자금이 봇물을 이룰 것이란 전망이 가격을 계속 밀어 올리고 있다. 이러한 낙관론 속에 비트코인 가격은 올해 들어 150% 넘게 뛰었고, 비트코인 상승 분위기와 맞물려 시총 2위 코인인 이더리움은 가격이 80% 넘게 올랐다. 비트코인 가격 랠리는 코인 관련 기업들의 주가도 들썩이게 만드는 중이다. 대표적으로 뉴욕증시에 상장된 암호화폐 거래소 기업 코인베이스 주가는 연초와 비교해 네 배 이상 뛰었고, 미국 암호화폐 채굴업체 마라톤 디지털 주가는 연초 이후 3배 넘게 상승했다. 코인데스크는 뚜렷해진 코인시장 상승 분위기 속에 '나만 소외될 수 없다(FOMO)'는 '패닉 매수' 자금이 유입되면서 가격 상승 속도를 키우고 있다고 설명했다. 코인 시장을 향하는 투자자들의 발걸음이 빨라지면서 코인 시장 전체 시가총액은 1조5000억달러를 돌파, 2022년 5월 이후 최대 수준으로 불어났다. 코인셰어즈가 공개한 최근 자금 이동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주 코인 시장은 1억7200만달러의 자금 순유입을 기록했으며, 이로써 10주 연속 자금 유입이 나타났다. 다만 애널리스트들 일부는 낙관론에 기댄 최근 가격 상승이 지나치게 가파르다면서 단기 리스크들을 유념할 것을 권고했다. 갤럭시의 리서치 대표 알렉스 손은 비트코인 주소의 85% 정도가 수익 상태여서 추가적인 가격 상승이 나타났을 때 차익 매물이 출회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kwonjiun@newspim.com 2023-12-05 08:34
사진
'요소수 대란' 또 재연되나...홈플러스 등 일부 온라인 품절 사태 [서울=뉴스핌] 신수용 기자 = 중국 세관의 요소 수출 제한으로 또 다시 국내 요소수 수급 차질 우려가 높아지면서 일부 온라인 사이트에선 품절 현상이 빚어지고 있다. 현재 판매 중지 상태인 요소수. [사진=유룩스] 5일 오전 대표적인 요소수 판매사인 롯데정밀화학의 '유록스' 홈페이지엔 '이 상품은 현재 구매하실 수 없는 상품'이라는 공지가 떴다. 재입고시 구매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유록스'는 개인당 1개로 구입을 제한했지만 품절 사태가 다시 벌어졌다. 앞서 9월에도 품절 사태가 빚어졌다.  롯데정밀화학, 금성이앤씨 회사의 국내 차량용 요소수 시장 점유율은 50%가 넘는다. 금성이앤씨는 도매로 요소수를 취급한다.  쿠팡 등 다른 온라인 사이트는 유룩스 공식 홈페이지보다 비싼 가격으로 판매되고 있는 실정이다.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판매 중인 홈플러스 등은 품절 상태다. 롯데정밀화학 관자는 "주문이 밀리면 자동으로 멈추는 시스템"이라며 "내년 3월까지 재고 물량이 충분하다"고 입장을 밝혔다. 이어 중국 규제 지속 시 방안에 대해선 '중동 쪽 수입물량이 중국 수입 물량을 대체가능하다"며 "전체 판매량에서 온라인 판매량은 1% 밖에 되지 않아 도매상 통한 공급에는 문제가 없다"고 말했다. 앞서 정부는 9월 초 중국 최대 화학비료 수출입 업체인 중눙그룹홀딩스가 중국 내 비료 공급과 가격 안정을 이유로 "요소 수출량을 적극적으로 줄이겠다""고 발표하고 외신 보도를 통해 국내에서 '제2의 요소수 대란' 우려가 불거졌을 때도 "문제없다"며 여론 진화에 나선 바 있다. [서울=뉴스핌] 정일구 기자 = 중국 세관이 한국으로의 요소 수출 통관을 돌연 보류하면서 '요소수 대란' 재발 우려가 나오는 가운데 5일 오후 서울 서초구 만남의광장 주유소에 요소수가 진열되어 있다. 2023.12.05 mironj19@newspim.com 정부는 또 다시 진화에 나섰다. 산업통상자원부·국무조정실·기획재정부·외교부·환경부 등은 전날 정부-업계 합동 요소 공급망 대응 회의를 열어 "정부와 업계가 함께 차량용 요소 수급 안정화를 위해 신속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달 말 중국 관세청인 해관총서가 롯데정밀화학, 금성이앤씨 등 국내 차량용 요소수 제조업체들의 중국산 요소 수입을 중단한 데 따른 것이다.  2년전 '요소수 대란'에도 불구하고 중국산 요소 수입 의존도가 여전히 높은 점은 정책적 과오라는 평가도 있다. 관세청에 따르면 중국산 비중은 2021년 '요소수 대란' 이후 수입 다변화로 72%까지 낮췄지만 가격 경쟁력 등을 이후로 90%대까지 다시 복귀한 상황이다. 다만 정부는 추가 비축분(3개월 분)을 확보하고 있는 만큼 과거와 같은 공급 대란을 우려할 상황은 아니라는 입장이다. aaa22@newspim.com 2023-12-05 09: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