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주도·맞춤형 지원 강화로 지역 혁신성장 허브화
[세종=뉴스핌] 임은석 기자 = 지리적으로 인접한 혁신도시, 산업단지 등 지역의 혁신거점들을 연계해 지역 신성장거점을 육성하는 국가혁신클러스터사업 2단계 본격화된다. 기업수요와 시도별 자율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국비 1306억원, 지방비 506억원 등 총 1812억원이 연구개발(R&D)과 비R&D에 투입될 예정이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성윤모)는 2021년도 국가혁신클러스터육성사업 시행계획을 마련하고 14개 시·도별 2단계(2021~2022년) 사업에 본격 착수하였다.
국가혁신클러스터사업은 지리적으로 인접한 지역의 혁신거점들을 연계해 지역 신성장거점을 육성하는 균형발전사업의 핵심과제다. 지역별로 대규모 투자가 필요한 기술개발을 지원하고 클러스터내 기업 유치, 네트워크 구축·운영, 글로벌 연계 등 사업화 촉진을 위한 기업지원 등을 추진하고 있다.
![]() |
국가혁신클러스터육성사업 사업단계별 지원 규모 [자료=산업통상자원부] 2021.03.02 fedor01@newspim.com |
2단계에서는 1단계 사업성과를 확산하고 3단계 사업를 준비하기 위해 기업수요와 시도별 자율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국비 1306억원, 지방비 506억원 등 총 1812억원 투입할 예정이다.
R&D 사업비는 1단계 대비 14.5%가 늘어난 1134억원(14개 시·도당 81억원)을 지원한다. 지원 분야도 대규모 지정과제 이외에 지역기업의 의견반영이 강화된 소규모 수요맞춤형 과제도 추가로 지원하게 된다.
비R&D 사업은 투자 유치, 글로벌협력, 사업화지원 등 공통적으로 지원하는 프로그램 이외에 지역 여건과 수요를 반영한 시·도별 자율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기업지원 성과를 제고해 나갈 방침이다.
산업부는 2단계 사업추진과 병행해 2023년 착수를 목표로 국가혁신클러스터육성사업 고도화를 위한 3단계 사업을 준비 중이다.
이를 위해 지난해 10월부터 1단계 사업의 효과분석을 위한 연구용역을 추진 중이다. 3단계 사업의 구체적인 계획은 연구용역 결과와 반영해 작성될 전망이다.
현단계 사업에서는 지구지정 기준, 예산 등이 모든 시·도에 일률적으로 적용됐지만 3단계 사업에서는 클러스터 고도화와 운영역량 제고를 위해 지역여건을 감안해 지원체계를 차별화 할 계획이다.
김현철 산업부 지역경제정책관은 "혁신도시 지원 등으로 주춤했던 수도권 집중 현상이 최근 다시 심화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국가혁신클러스터육성과 같은 공간기반 지원정책을 통해 지역혁신거점들을 연계‧집적화 해 국가 균형발전의 중심축으로 자리매김 할 수 있도록 지원 하겠다"고 밝혔다.
fedor01@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