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중국 경제일반

속보

더보기

고조되는 중국 '식량안보' 위기...그 배경은 무엇?

기사입력 : 2020년08월14일 11:20

최종수정 : 2020년08월14일 14:17

코로나19·대홍수·미중 갈등 3대 요인

[서울=뉴스핌] 배상희 기자 = 최근 대대적인 음식 낭비 금지 캠페인을 펼치고 있는 중국 당국의 행보가 현재 중국이 직면한 식량 안보 위기를 시사하는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은 "음식 낭비 현상이 끔직하고 가슴 아프다"면서 "음식 낭비를 단호히 막아야 하며, 이에 관련법을 제정하라"고 지시했다. 이 같은 시 주석의 말 한마디에 중국 전역에서는 잔반(먹고 남은 음식) 줄이기 캠페인이 일고, 외식업계에서는 손님 수보다 1인분을 적게 주문하자는 의미의 'N-1' 운동이 등장했으며, 먹방(먹는 방송) 콘텐츠에 대한 집중 단속 바람까지 불고 있다.

이는 올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를 계기로 식량 수급 악화에 따른 불안이 전세계적으로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나온 행보라는 점에서 더욱 주목된다. 하지만, 중국 당국 관계자들은 현재 중국의 식량 공급량과 비축량이 매우 충분하다고 강조하며 식량수급에 대한 불안감을 잠재우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상하이 신화사 = 뉴스핌 특약] 중국 상하이 소재 한 식당에서는 '최대한 적게 담아 음식을 낭비하지 맙시다. 음식을 많이 남길 경우 추가 비용을 받습니다'라는 문구를 게시했다. 

BBC 뉴스 중문판에 따르면 중국의 식량안보 위기가 고조되고 있는 배경으로는 △코로나19 사태 △남부 대홍수 △미중 갈등의 세 가지를 꼽을 수 있다. 

우선, 코로나19 사태로 각국에서 농산물 수출을 제한하면서 식량 해외의존도가 높아지고 있는 중국 식량 공급망에 차질을 불러왔다는 설명이다.

올해 7월 해관(海關, 중국 세관에 해당)이 공개한 데이터에 따르면 상반기 중국의 밀 수입량은 335만 톤으로 전체 규모는 전년동기대비 배 가까이 늘었다. 다시 말해 중국 식량의 해외의존도가 높아졌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공산당 기관지인 추스(求是)는 지난 6월 기고한 글에서 "코로나19 사태가 중국 식량의 가공·물류·배송 등의 산업체인에 영향을 미쳤고, 다른 국가의 식량 수출 제한에 따른 영향으로 중국 국내 식량 안보 우려가 커지고 있으며, 이에 현재 중국은 다년간 나타나지 않았던 식량 안보의 압박과 시험에 놓여있다"고 밝힌 바 있다.

이와 함께 올해 6월부터 지속된 중국 남부 지방의 대홍수 사태로 중국 내 가을 농산물 생산량이 급감하게 된 것도 식량안보 위기 의식을 키우는 배경 중 하나로 평가된다.

남부 대홍수가 벼 생산량에 미친 영향과 관련한 데이터는 아직 공개되지 않았으나, 시장에서는 올해 가을 벼 수확량에 막대한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중국에서 가을에 수확하는 농작물은 한 해 전체 생산량의 4분의 3을 차지하는 만큼, 가을 수확량이 급감할 경우 한 해 전체 식량 수급에 차질을 불러올 수 있다.

앞서 국가홍수가뭄방지 총지휘부의 저우쉐원(周學文) 비서장은 "올해 홍수로 603만2600헥타르 규모의 농지가 피해를 입고 114만800 헥타르의 농지에서는 수확물이 전혀 없을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어 저우 비서장은 "재난 구제 조치, 농작물 재배 관리, 농업기술 활용 등에 나설 예정이며, 대홍수 사태가 중국 식량 안보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다만, 최근 공개된 물가 지표에 따르면 7월 식품 가격은 13.2% 상승했고, 그 중 돼지고기 가격은 전년동기대비 86% 가까이 올랐다.

올해 들어 코로나19 사태, 홍콩 국가보안법, 신장(新疆) 위구르족 인권문제, 화웨이와 틱톡 등을 통해 불거진 기술 전쟁, 영사관 폐쇄 등 전방위적인 대치 속에 신냉전으로 치닫고 있는 미중 갈등 국면 또한 식량안보 위기 의식을 키우는 요인이 되고 있다. 전시(戰時)에 대비한 식량과 물자 비축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는 설명이다.

과거 마오쩌둥(毛澤東·1893∼1976) 전 국가주석은 중국에 발생한 대가뭄 사태로 식량 수급이 어려워진 상태에서 소련과의 관계까지 악화되자 "전쟁 대비, 기근 대비, 인민을 위해(備戰, 備荒, 為人民)", "굴을 깊이 파고, 도처에 식량을 비축하며, 패권을 부르짖지 않는다(深挖洞,廣積糧,不稱霸)"라는 구호를 앞세워 중국과 소련 간의 전쟁에 대비한 식량 비축의 중요성을 강조한 바 있다.

후싱더우(胡星鬥) 경제학자는 "바이러스 사태, 홍수, 여러 지역에서 출몰한 메뚜기 떼 등에 의해 중국의 하반기 식량 생산은 불확실성에 직면해 있다"면서 "시진핑 주석이 음식 낭비를 금지하고 나선 것은 현재 중국이 식량 안보 위기에 직면해 있음을 말해준다"고 평했다. 

pxx17@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尹 지지율 2.3%p↓, 38.1%…"與 총선참패 '용산 책임론' 영향" [서울=뉴스핌] 박성준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의 지지율이 소폭 하락해 30%대 후반을 기록했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18일 발표됐다. 종합뉴스통신 뉴스핌 의뢰로 여론조사 전문업체 미디어리서치가 지난 15~16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1명에게 물은 결과 윤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대한 긍정평가는 38.1%로 집계됐다. 부정평가는 59.3%로 나타났다. '잘 모름'에 답한 비율은 2.5%다. 긍정평가와 부정평가 간 격차는 21.2%포인트(p)다. 긍정평가는 지난 조사 대비 2.3%p 하락했고, 부정평가는 1.6%p 상승했다. 연령별로 보면 40대에서 긍·부정 평가 격차가 극명하게 드러났다. 만 18세~29세에서 '잘함'은 36.0% '잘 못함' 61.0%였고, 30대에서는 '잘함' 30.0% '잘 못함' 65.5%였다. 40대는 '잘함' 23.9% '잘 못함' 74.2%, 50대는 '잘함' 38.1% '잘 못함' 59.8%로 집계됐다. 60대는 '잘함' 51.6% '잘 못함' 45.9%였고, 70대 이상에서는 60대와 같이 '잘함'이 50.4%로 '잘 못함'(48.2%)보다 높게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서울 '잘함' 38.5%, '잘 못함'은 60.1%로 집계됐다. 경기·인천 '잘함' 31.4% '잘 못함' 65.2%, 대전·충청·세종 '잘함' 32.7% '잘 못함' 63.4%, 부산·울산·경남 '잘함' 47.1% '잘 못함' 50.6%로 나타났다. 대구·경북은 '잘함' 58.5% '잘 못함' 38.0%, 전남·광주·전북 '잘함' 31.8% '잘 못함' 68.2%로 나타났다. 강원·제주는 '잘함' 37.1% '잘 못함' 60.5%로 집계됐다. 성별로도 남녀 모두 부정평가가 우세했다. 남성은 '잘함' 34.7% '잘 못함' 63.4%, 여성은 '잘함' 41.6% '잘 못함' 55.3%였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윤 대통령 지지율 하락 배경에 대해 "108석에 그친 국민의힘의 총선 참패가 '윤 대통령의 일방적·독선적인 국정 운영 스타일로 일관한 탓이 크다'라는 '용산 책임론'이 대두되며 지지율이 하락했다"고 평가했다. 이준한 인천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도 "선거 결과에 대해 실망한 여론이 반영됐을 것"이라며 "최근 국무회의 발언 등을 국민들이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것도 아니고 경제 상황도 나아지고 있지 않아 추후 지지율은 더 낮아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성·연령·지역별 인구비례 할당 추출 방식으로 추출된 표본을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무선(100%) ARS 전화조사 방식으로 실시했으며 응답률은 3.9%,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p다. 통계보정은 2024년 1월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통계를 기준으로 성별 연령별 지역별 가중 값을 부여(셀가중)했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parksj@newspim.com 2024-04-18 06:00
사진
이재명, 범진보 대권주자 적합도 '압도적 1위' 질주 [서울=뉴스핌] 홍석희 기자 = 22대 총선에서 더불어민주당의 압승을 이끈 이재명 대표가 범진보 진영 차기 대권주자 적합도에서 압도적 1위를 질주했다. 여의도에 입성한 조국 조국혁신당 대표가 2위, 김동연 경기지사가 3위, 김부겸 전 총리가 4위로 뒤를 이었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 의뢰로 여론조사 전문기관 미디어리서치가 지난 15~16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1명에게 범진보 진영 인물 중 차기 대권주자로 누가 가장 적합한지 물어본 결과 이 대표 35.4%, 조 대표 9.1%, 김 지사 8.5%, 김 전 총리 6.5%로 나타났다. 뒤이어 김경수 전 경남지사가 1.8%, 임종석 전 대통령 비서실장이 1.6%로 집계됐다. 기타 인물은 16.7%, 적합 후보 없음 15.1%, 잘 모르겠음 5.2%였다. 이 대표는 전체 연령대에서 1위를 차지했다. 다만 60대 이상에선 다소 차이가 좁혀졌다. 만18세~29세에서 이 대표 35.4%, 조 대표 12.1%, 김 지사 10.1%, 김 전 총리 5.8%였다. 30대에선 이 대표 38.7%, 김 지사 6.5%, 김 전 총리 6.2%, 조 대표 5%순이었다. 40대의 경우 이 대표 50.6%, 조 대표 12.6%, 김 지사 5.9%, 김 전 총리 5.1%로 격차가 더욱 벌어졌다. 50대에선 이 대표 41.1%, 조 대표 10.2%, 김 지사 8%, 김 전 총리 5.6%였다. 60대에선 이 대표 23.9%, 김 지사 10.4%, 조 대표 7.8%, 김 전 총리 6.4%순이었다. 70대 이상의 경우 이 대표 19.5%, 김 지사 10.8%, 김 전 총리 10.5%, 조 대표 6%로 나타났다. 이 대표는 전체 지역에서도 1위를 차지했다. 수도권 및 호남에서 격차를 벌렸고 영남에선 차이가 다소 좁아졌다. 서울에서 이 대표 32.9%, 조 대표 9.2%, 김 지사 8.2%, 김 전 총리 4.4%였다. 경기·인천에선 이 대표 43.8%, 김 지사 9.9%, 조 대표 7%, 김 전 총리 4.8%순이었다. 광주·전남·전북의 경우 이 대표 42.9%, 조 대표 9.2%, 김 전 총리 11.5%, 김 지사 6.8%였다. 대구·경북에선 이 대표 21%, 김 전 총리 11.6%, 조 대표 10.3%, 김 지사 8.8%로 나타났다. 부산·울산·경남은 이 대표 27.1%, 조 대표 9.9%, 김 전 총리 7.2%, 김 지사 5.6%였다. 대전·충청·세종에선 이 대표 32.3%, 조 대표 13.5%, 김 지사 10.9%, 김 전 총리 4.4%였다. 강원·제주에선 이 대표 36.2%, 조 대표 8.4%, 김 지사 7.8%, 김 전 총리 7.3%로 집계됐다. 지지 정당별로 살펴보면 민주당 지지층에선 이 대표 74.6%, 조 대표 5.7%, 김 지사 4.5%, 김 전 총리 1.7%로 이 대표가 압도적 지지를 받았다. 반면 국민의힘 지지층에선 김 지사 12.4%, 김 전 총리 9.5%, 이 대표 8.5%, 조 대표 3.4% 순이었다. 조국혁신당 지지층의 경우 이 대표 45.9%, 조 대표 38.5%, 김 지사 4.7%, 김 전 총리 2.2%였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이 대표는 '과반 의석 달성'과 함께 원내 1당을 지키며 대권주자 위상이 더욱 강화했다"며 "조 대표는 비례대표 12석을 얻으며 단숨에 경쟁력 있는 차기 대선후보 반열에 올랐다"고 분석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성별·연령대별·지역별 인구비례할당 후 무작위로 추출된 표본을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무선(100%) 자동응답조사(ARS) 방식으로 실시됐다. 응답률은 3.9%고 표본 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p다. 통계보정은 2024년 1월 말 행정안전부 발표 주민등록 인구통계 기준 성, 연령, 지역별 셀가중값을 부여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여론조사결과 등록현황을 참고하면 된다. hong90@newspim.com 2024-04-18 06: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