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천=뉴스핌] 양상현 기자 = 10일 경기 포천시에서 심정지로 시민 2명이 잇달아 숨졌다. 지역만의 응급의료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 |
포천소방서 전경 [사진=양상현 기자] |
시에 따르면 이날 오후 12시17분께 내촌면 금강로의 한 주택에서 심정지로 A씨(남.64)가 숨졌다. 소방당국은 환자의 무호흡과 무맥박, 사후강직을 확인한 후 현장에서 경찰에 인계했다.
또 오후 3시2분께는 선단동의 한 빌라에서 심정지 환자가 발생해 B씨(남.59)가 숨졌다. 소방당국은 이 환자 역시 사후강직 등을 확인한 후 경찰에 인계했다.
이에 따라 지방정부 중심의 응급의료 정책 추진을 위해 소방 및 응급의료기관 등과 유기적인 협업체계 구축이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서울 면적보다 1.4배 넓고, 인구밀도가 낮은 지역 특수성을 반영한 포천시만의 응급의료 사업을 펼쳐 응급환자 발생부터 최종치료 제공까지 빈틈없는 응급의료 안전망 구축을 위한 ‘응급의료시행계획’을 수립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특히 대시민 응급처치 시행 능력 제고, 응급의료 추진기반 강화를 통한 응급의료 지역화 등이 필요하다는 의견이다. 그간 포천시민은 응급의료 상황에서는 인근 의정부시에 위치한 성모병원 등을 이용할 수밖에 없었다.
시민 A씨는 "응급환자 발생 시점부터 생명의 위험에서 회복되기까지 응급의료 제공자 간의 신속하고 유기적인 연계와 골든타임을 고려한 ‘지역 완결형’ 응급의료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시 관계자는 “포천시는 시민이 적절한 시간에 적절한 병원에 도착해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을 응급의료의 목표로 하고 있다”며 “응급의료의 목표가 달성될 수 있도록 지역사회의 많은 참여와 관심을 가져달라”고 당부했다.
yangsanghyu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