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재원인 절반 이상이 '부주의'
복통환자 가장 많고 구토·교통사고·요통 뒤이어
市, 설 연휴 대비 특별경계근무 돌입
[서울=뉴스핌] 박진범 기자 = 최근 3년간 설 연휴 기간 중 서울에서 발생한 화재가 총 293건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 가운데 절반 이상이 부주의가 원인이었다.
![]() |
[사진=게티이미지뱅크] |
31일 서울시에 따르면 2016년 161건, 2017년 62건, 지난해 70건의 화재가 설 연휴 기간 중 발생했다.
화재원인은 부주의가 172건(58.7%)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전기적 요인(66건·22.5%), 기계적 요인(18건·6.1%), 방화(9건·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구조 활동은 총 3282건으로 조사됐다. △잠금장치 개방 475건(14.5%) △안전조치 425건(12.9%) △동물포획 333건(10.1%) △승강기 안전사고 175건(5.3%) △자연재난 150건(4.6%) △인명 갇힘 100건(3%) △위치추적 98건(2.9%) △자살추정 92건(2.8%) △수난 58건(1.8%) △기타1071(32.6%) 등 순이다.
구급활동 유형별 환자이송 인원은 총 1만491명이었다. 이 중 복통 환자가 1481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교통사고 630명 △호흡곤란 513명 △요통 492명 △두통 467명 △의식장애 429명 △심정지 248명 △기타 4888명 순이었다.
서울시 소방재난본부는 설 연휴가 시작되는 2월 1일 오후 6시부터 2월 7일 오전 9시까지 ‘설 연휴 대비 특별경계근무’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시는 연휴 기간 119구급대 150개대, 119 생활안전구조대 141개대를 투입할 방침이다. 설 명절 연휴기간 24시간 비상 대기한다.
특히 산악사고, 도시고속화 도로 정체 중 사고에 대비해 서울소방항공대 소속 소방헬기 3대도 긴급 상황에 대비할 예정이다.
이재열 서울시 소방재난본부장은 “설 연휴 기간 중에도 화재, 구조, 구급 등 출동태세 확립으로 시민 모두가 안전하고 편안한 설 명절을 보낼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하겠다”고 말했다.
beom@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