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산업 전기·전자

속보

더보기

정체된 스마트폰 시장, 부품업계도 흐림

기사입력 : 2018년07월03일 18:02

최종수정 : 2018년07월03일 18:02

2Q '갤럭시S9' 판매부진에 '아이폰X' 재고조정 영향 겹쳐
LG이노텍 2Q '158억원' 손실…LGD 적자폭 '1755억원'까지 증가

[서울=뉴스핌] 양태훈 기자 = 국내 전자부품 업계가 스마트폰 시장의 정체로 인해 올해 2분기 수익성이 전분기보다 크게 떨어질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의 '갤럭시S9'이 판매가 예상보다 많지 않고, 애플이 차세대 아이폰 출시를 앞두고 '아이폰X'의 재고조정에 돌입한 탓이다.

3일 전자부품 업계에 따르면 삼성디스플레이와 LG이노텍 등 국내 부품 업체들은 상반기 전 세계 스마트폰 시장의 성장둔화로 인해 전분기 대비 영업이익이 감소할 전망이다.

삼성디스플레이의 경우, 플렉서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갤럭시S9의 판매부진과 함께 대형 액정표시장치(LCD) 시장의 가격하락까지 더해 2분기 수익이 크게 감소할 것으로 예측된다. 영업이익은 전분기 대비 90.58% 가량 줄어든 390억원으로 예상되며, 특히 LCD는 연내 흑자전환이 어려울 전망이다.

황민성 삼성증권 연구원은 "LCD의 가격 하락 속에 갤럭시S9의 판매부진과 아이폰X의 재고고정 영향을 동시에 받은 탓으로 LCD는 2분기 적자로 전환, OLED의 손익을 상쇄한 것으로 보인다"며 "(아이폰X와 갤럭시S9에 탑재되는) 플렉서블 OLED 가동률이 2분기에 추가 하락, 하반기는 최소 50% 이상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 리지드 OLED 가동률은 1분기 60% 중반에서 2분기 80% 중반, 하반기에도 2분기 이상의 가동률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왼쪽부터 삼성 '갤럭시 S9', LG 'G7 씽큐(ThinQ)', 애플 '아이폰8' [사진=각사]

LG디스플레이 역시 2분기 적자폭이 전분기 983억원에서 1755억원까지 늘어날 전망이다. LG전자의 상반기 전략 폰 'G7 씽큐(ThinQ)'에 LCD 디스플레이를 공급했지만, G7 싱큐의 판매량이 많지 않다. 플렉서블 OLED 공급은 수율 문제로 공급처를 확보하지 못해 공장의 고정비용이 느는 상황이다.

김동원 KB증권 연구원은 "글로벌 TV 업체의 보수적인 TV 패널 구매전략과 중국의 10.5세대 LCD 신규라인 가동 영향으로 1년간 지속된 TV 패널가격 하락폭이 확대됐다"며 "중소형 OLED 신규라인(E6)은 초기 수율 부진에 따른 낮은 생산성, 감가상각비 증가 등에 따라 고정비가 증가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LG이노텍은 아이폰X의 재고조정 영향에 따른 카메라 모듈 및 3차원(3D) 센싱 모듈 판매 감소와 더불어 G7 씽큐(카메라 모듈 공급)의 판매부진 영향으로, 2분기 158억원의 적자를 기록할 것으로 예측된다.

어규진 이베스트증권 연구원은 "하반기 북미 주요 거래선(애플)의 신규 스마트폰 출시 전 기존 제품의 재고조정에 따른 비수기 구간으로 동사의 카메라 모듈 및 3D 센싱 모듈, RFPCB 등의 고부가가치 부품 판매가 감소할 것으로 판단된다"며 "적자전환이 불가피하다"고 예측했다.

flame@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특검 "尹, 구속연장 없이 기소도 검토" [의왕=뉴스핌] 김학선 기자 = 윤석열 전 대통령이 재구속된 이후 조은석 특별검사팀의 출석 요구에 잇달아 불응한 가운데 15일 윤 전 대통령이 수감된 경기도 의왕시 서울구치소 앞의 모습. 특검은 이날 윤 전 대통령에 대해 구속기간 연장 없이 바로 기소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2025.07.15 yooksa@newspim.com   2025-07-15 14:38
사진
'반구천의 암각화' 세계유산 등재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선사시대의 생활문화를 엿볼 수 있는 바위그림인 '반구천의 암각화'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됐다. 제47차 세계유산위원회는 12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리는 회의에서 한국 정부가 신청한 '반구천의 암각화'를 세계유산 목록에 등재하기로 최종 결정했다. 2010년 세계유산 잠정 목록에 등재된 후 15년 만의 결실이다. 이로써 대한민국은 총 17건(문화유산 15건·자연유산 2건)의 유네스코 세계유산을 보유하게 됐다.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반구천의 암각화' [사진=국가유산청] 2025.07.12 alice09@newspim.com '반구천의 암각화'는 국보로 지정된 울산 '울주 천전리 명문과 암각화'와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를 포함하는 유산이다.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에는 작살 맞은 고래, 새끼를 배거나 데리고 다니는 고래 등이 생동감 있게 표현돼 선사시대 사람들의 생활상화 생태계를 엿볼 수 있다. 국가유산청은 지난 2010년 '반구천의 암각화'가 세계유산 잠정 목록에 등재된 후 지난해 1월 세계유산 등재 신청서를 유네스코에 제출했다. 이후 서류 및 현장실사 등 심사를 거쳤다. 세계유산위원회는 '반구천의 암각화'에 대해 "탁월한 관찰력을 바탕으로 그려진 사실적인 그림과 독특한 구도는 한반도에 살았던 사람들의 예술성을 보여주고, 다양한 고래와 고래잡이의 주요 단계를 담은 희소한 주제를 선사인들의 창의성으로 풀어낸 걸작"이라고 평했다. 이어 "선사시대부터 약 6000년에 걸쳐 지속된 암각화의 전통을 증명하는 독보적인 증거이면서 한반도 동남부 연안 지역 사람들의 문화 발전을 집약해 보여준다"고 덧붙였다.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사진=국가유산청] 2025.07.12 alice09@newspim.com 세계유산위원회는 등재 결정과 함께 사연댐 공사의 진척 사항을 보고할 것과 더불어 반구천 세계 암각화센터의 효과적 운영을 보장하고, 관리 체계에서 지역 공동체와 줌니들의 역할을 공식화하고, 유산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모든 주요 개발 계획에 대해 알릴 것을 권고했다. 국가유산청 관계자는 "이번 '반구천의 암각화'의 세계유산 등재는 국가유산청과 외교부, 주유네스코대한민국대표부, 해당 지자체가 모두 힘을 합쳐 이뤄낸 값진 결과"라며 "이번 등재롤 계기로 '반구천의 암각화'가 가진 세계유산으로서의 가치를 충실히 보존하는 한편, 지역주민과의 긴밀한 협력을 이어가는 적극행정으로 지역사회와의 상생을 위한 정책적 노력을 지속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최응천 국가유산청장은 "'반구천의 암각화'가 세상에 알려진 지 50여 년이 지났지만, 세계유산 등재까지는 쉽지 않은 긴 여정이었다"며 "앞으로도 국가유산청은 '반구천의 암각화'를 인류 공동의 유산으로서 가치를 지키고 잘 보존·활용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alice09@newspim.com 2025-07-12 18:02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