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중국 나우앤퓨처

전통 연예 스타 저리 가, 인터넷시대 대중들의 새로운 우상 왕훙

기사입력 : 2018년01월04일 16:14

최종수정 : 2018년01월05일 15:41

팔로워 5억명 육박, 경제 사회 영향력 급팽창
지식공유, 쇼핑, 웹툰, 게임 등에서 맹활약

[편집자] 이 기사는 12월 26일 오후 3시31분 프리미엄 뉴스서비스'ANDA'에 먼저 출고됐습니다. 몽골어로 의형제를 뜻하는 'ANDA'는 국내 기업의 글로벌 성장과 도약, 독자 여러분의 성공적인 자산관리 동반자가 되겠다는 뉴스핌의 약속입니다.

[뉴스핌=홍성현 기자] 왕훙(網紅 인터넷스타)이 스크린상의 전통 연예스타를 무색케할 정도로 경제 사회 각분야에서 눈부신 활약을 하면서 중국 대중들의 우상으로 떠올랐다.

이들이 전달하는 콘텐츠는 일상 생활 전 분야로 확산되고 있고, 플랫폼과 비즈니스 모델도 해가 갈수록 다양해지고 있다. 2017년 기준 중국 왕훙이 거느린 팔로워수는 총 4억7000만명, 왕훙 산업 규모는 811억위안(약 13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업계는 추산하고 있다. 

왕훙은 오피니언 리더(Key Opinion Leader, KOL)로서 사회적 영향력은 물론 마케팅과 소비분야 파워집단으로서 막강한 힘을 발휘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양질의 콘텐츠에 돈을 지불하는 ‘정신 소비’가 향후 왕훙 경제의 주류가 될 것이며, 팔로워(팬덤)의 파급력과 콘텐츠 경쟁력을 결합하는 방식으로 발전해나갈 것이라고 관측한다.

<사진=반반(辦辦)>

◆ 소통 공유하는 소비문화, 4억7000만 팔로워 양산

2013년을 기점으로 생겨나기 시작한 왕훙은 초창기 개인 위주로 활동했으나, 이후 기업 마케팅부서 및 광고회사가 이들의 인기와 파급력에 주목하면서 점차 조직화하고 산업사슬을 형성하며 발전해나가기 시작했다. 2017년 기준, 811억위안(약 13조3000억원)에 달하는 왕훙 산업 규모는 내년(2018년) 1016억위안(약 16조7000억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 소셜 기반 뉴미디어앱 반반(辦辦)에 따르면, 올해 10만명 이상의 팔로워를 보유한 왕훙은 지난 2016년에 비해 57.3% 증가했다. 왕훙들이 보유한 총 팔로워수 역시 지속적으로 늘어나 1년 전보다 20.6% 증가한 4억7000만명을 기록했다.

2017년 왕훙 시장에서는 인터넷 생방송(直播 즈보) 외에 쇼트클립앱이 인기를 누리며 사용자가 급증했다. 일례로 2017년 3월 쇼트클립 조회수는 1년 전 같은 기간에 비해 3배 넘게 불어났다. 왕훙이 운영하는 이른바 왕훙 온라인 쇼핑몰도 팬덤 영향력을 등에 업고 매출을 늘리며 중국 전자상거래 총거래액 증가에 일조했다. 왕훙 산업 전체에서 쇼트클립과 왕훙 쇼핑몰(전자상거래)이 차지하는 비중은 무려 86.4%에 달한다.

중국 소비 주력군으로 급부상 중인 90허우∙00허우(10~20대)가 사회적 공감대, 감성, 일상생활 등을 반영한 문화적 소비를 선호함에 따라, 함께 소통하고 콘텐츠를 공유하는 왕훙의 영향력이 점점 더 넓은 범위까지 확산하고 있다. 이들은 1인 미디어이자 오피니언 리더로서 사회적 트렌드와 여론을 주도한다.

<그래픽=홍종현 미술기자>

◆ 양질의 콘텐츠, 정신소비가 왕훙 시장 지배

뛰어난 비주얼(외모)로 많은 팔로워를 유입시키는 것이 초창기 왕훙이 되는 전형적인 방식이었다면, 앞으로는 콘텐츠 경쟁력을 바탕으로 한 ‘정신 소비’가 왕훙 경제의 핵심이 될 것이라고 업계는 전망한다.

장기적으로 볼 때, 경쟁력 있는 콘텐츠를 지속 공급해줘야 이탈을 막고 팔로워를 지속적으로 늘릴 수 있다. 따라서 왕훙이 어느 정도 인기를 얻은 후에는 팔로워 맞춤형의 전문적인 콘텐츠를 공략하게 된다는 설명이다.

2017년 이후 중국 왕훙 시장에서는 콘텐츠 및 플랫폼 종류가 확대되는 추세다. 과거 문화∙엔터테인먼트 위주였던 콘텐츠는 △연예 △지식 공유 △뉴스 정보 △웹소설∙웹툰 △게임(e스포츠) 해설에 이르기까지 범위가 확장됐다. 플랫폼도 △인터넷 생방송앱 △쇼트클립앱 △SNS(웨이보, 위챗) △지식공유앱 등 다양하다.

왕훙은 대중이 소비할 만한 콘텐츠를 생산해 팔로워를 늘리고, 팔로워들은 가치 있고 독특한 킬러 콘텐츠를 얻기 위해 선뜻 지갑을 연다. 왕훙과 팔로워의 이러한 상호 작용 속, 콘텐츠와 소통이 중심이 된 왕훙 경제가 형성된다는 분석이다.

일반적으로 왕훙은 자신이 이용하는 플랫폼(앱, 사이트)에서 제품 판매, 광고, 사이버 머니 등으로 수익을 거둔다. 특출난 외모나 끼를 가진 왕훙은 연예계에 데뷔하는 사례도 적지 않으며, 직접 창업을 하는 경우도 있다.

한편, 기업들은 왕훙을 마케팅에 적극 활용한다. 왕훙의 일거수일투족은 실시간으로 수많은 팔로워들 및 팔로워의 지인들까지 전달되는 등 KOL(오피니언 리더)로서의 사회적 영향력이 강하기 때문이다.

특히 쇼트클립 시장이 부상하면서 유명 브랜드와 쇼트클립 왕훙 간의 협업이 늘고 있다. 일례로 글로벌 명품 브랜드 마이클 코어스(MICHAEL KORS)는 쇼트클립앱 틱톡(抖音 더우인)과 영상 촬영 이벤트를 진행했다. 팔로워 400만명을 거느린 왕훙이 제품을 착용하고 도시 거리를 배경으로 찍은 영상을 시범으로 공개하자, 4만명이 넘는 팔로워들이 자신의 ‘패션쇼 영상’을 공유하며 적극적으로 동참했고 자연스럽게 브랜드 마케팅으로 이어졌다.

2017년 신소매 열풍 속 왕훙경제는 새로운 기회를 맞이하고 있다. 오프라인 매장 고객 유치를 위해 왕훙에게 러브콜을 보내는 브랜드들이 많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개성 있는 스타일로 유명한 왕훙 쭤안샤오(左岸瀟)는 루이비통(Louis Vuitton), 디올(Dior), 샤넬(Chanel) 등 명품 브랜드 패션쇼 등 각종 패션 행사에 초청받는다. 이들 명품 브랜드들은 패션 KOL(오피니언 리더)인 쭤안샤오를 ‘살아있는 광고판’으로 활용하고 있다.

왕훙 문화를 테마로 조성한 왕훙 마을(網紅小鎮)도 새로운 사업모델로 주목된다. 2017년 9월 중국 최초 왕훙 마을인 다마라 빌리지(DAMARA VILLAGE) 예술 마을이 탄생했다.

현지 매체에 따르면 우한(武漢)시 소재 왕훙마을은 총면적이 146ha에 달하며 100여명의 중국 국내외 왕훙들이 입주해 업무 공간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마을 내 자리잡은 체험관의 경우 인터넷생방송 실험실, 팔로워 접견실, 체험식 디자인 공방, 게임 체험관 등 체험 위주의 공간으로 꾸며 여행객들을 끌어 모을 전망이다.

중국 인터넷생방송 산업연구원(中國直播產業研究院院長) 창웨신(強月新)원장은 “왕훙 마을은 인터넷 생방송, 디지털 음원, 패션트렌드 등을 결합한 공간으로, 향후 지역사회를 대표하는 브랜드이자 문화적 명소로 자리매김 할 것”이라고 관측했다.

중국 최초 왕훙마을 우한 다마라 빌리지 전경 <사진=바이두>

 

[뉴스핌 Newspim] 홍성현 기자 (hyun22@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재계 총수들, '트럼프 Jr' 만남 총출동 [서울=뉴스핌] 서영욱 남라다 김아영 조민교 기자 = 30일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장남 도널드 트럼프 주니어를 만나려는 재계 인사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 미국 내 사업 현안을 전달하고 정책적 협력을 요청하기 위한 행보다. 트럼프 주니어와 재계 인사들의 면담은 트럼프 주니어가 묵고 있는 서울 강남구 조선팰리스 호텔의 한 구역에서 열렸다. 트럼프 주니어를 초청한 정용진 신세계그룹 회장의 집무실이 있는 건물이다. 건물 주변에 많은 취재진이 대기 중이지만, 철저한 보안으로 인해 오고 가는 재계 인사들을 마주치기 어려운 상황이다. 30일 오전 트럼프 주니어가 묵고 있는 서울 강남구의 한 호텔 인근 커피 매장에서 포착된 김동선 부사장(왼쪽)과 김동원 사장 [사진=독자 제공] 이날 오전 한화그룹의 김동관 부회장, 김동원 한화생명 사장, 김동선 한화갤러리아 부사장 3형제가 트럼프 주니어를 만난 재계 인사 중 가장 먼저 언론에 포착됐다. 한화솔루션은 미국 조지아주에 태양광 모듈 일관 생산단지 '솔라 허브' 프로젝트를 조성 중이다. 연간 8.4GW 규모의 이 시설은 약 130만 가구가 사용할 수 있는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 현지 생산 비중을 70%까지 높여 미국의 자국 우선 조달 정책에 대응하고 관세 부담도 줄이겠다는 구상이다. 한화그룹은 방산·조선 사업에서도 미국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최근 호주의 방산 조선업체 오스탈 지분을 확보하며 미국 시장 공략에 나선 상황이다. 오스탈은 앨라배마와 샌디에이고에 조선소를 보유하고 있으며, 미 해군 소형 수상함 시장에서 점유율 1위를 기록 중이다. 롯데그룹도 트럼프 주니어와의 접촉에 나섰다. 신동빈 회장과 인도네시아 출장에 나섰던 장남 신유열 롯데지주 미래성장실장 부사장은 이날 오전 귀국해 트럼프 주니어를 만났다. 롯데는 미국 뉴욕 시러큐스에 보유한 바이오 공장을 중심으로 CDMO(위탁개발생산) 사업을 본격화하고 있다. 최근에는 아시아 바이오기업과 항체약물접합체(ADC) 신약 임상 물질 생산 계약을 체결했으며, 이 공장에서 첫 양산이 이뤄질 예정이다. 미국 내 관세 정책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선제적 설비 확충과 고객사 확보에 나선 롯데는, 신 부사장을 통해 트럼프 주니어와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한 것으로 보인다. [서울=뉴스핌] 최지환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장남 트럼프 주니어가 29일 오후 서울 강서구 김포국제공항에 도착해 탑승기에서 내리고 있다. 2025.04.29 choipix16@newspim.com 이재현 CJ그룹 회장도 이날 트럼프 주니어와 비공개 개별 면담을 가졌다. CJ제일제당은 미국 중서부 사우스다코타주 수폴스에 북미 최대 규모의 아시안 식품 신공장을 짓고 있다. 총 7000억 원이 투입되는 이 공장은 2027년 완공을 목표로 하며, 미국 시장 내 K푸드 수출 거점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이 회장은 미국 내 식품 수출 시 애로사항과 관세 이슈를 전달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외 이해진 네이버 의장, 허용수 GS에너지 사장 등도 트럼프 주니어와 만난 것으로 알려졌다. 네이버는 이날 "인공지능(AI)과 테크, 글로벌 진출에 대한 의견을 나누고 상호 협력에 대한 긍정적인 이야기 나눴다"고 설명했다.   이날 오후에도 트럼프 주니어를 만나려는 재계 인사들의 발길이 이어질 전망이다. 이번 트럼프 주니어의 방한은 정용진 회장의 초청으로 이뤄졌다. 트럼프 미 행정부와의 소통 채널을 만들어달라는 재계 요청에 따른 것으로 알려졌다. 전날 김포비즈니스항공센터를 통해 입국한 트럼프 주니어는 곧장 정 회장 자택으로 이동해 만찬을 가진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 주니어는 재계 면담이 끝나는 대로 이날 밤 출국할 예정이다. syu@newspim.com 2025-04-30 14:24
사진
'김문수·한동훈' 최종 승자는 누구 [서울=뉴스핌] 박서영 김가희기자 = 국민의힘 대통령선거 결선 진출자에 김문수·한동훈 후보가 이름을 올렸다. 반탄(탄핵반대)파 김 후보와 찬탄(탄핵찬성)파 한 후보가 2파전을 겨루게 된 가운데 최종 1인 자리를 놓고 치열한 공방이 펼쳐질 것으로 보인다. 국민의힘 대선 후보 경선 선거관리위원회는 29일 오후 3차 경선에 진출할 후보자 2명을 발표했다. 안철수·홍준표 후보는 탈락했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29일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당사에서 열린 제21대 대통령 후보자 국민의힘 3차 경선 진출자 발표 행사에서 3차 경선에 진출한 김문수(가나다순) 후보와 한동훈 후보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2025.04.29 pangbin@newspim.com 황우여 국민의힘 선거관리위원장은 경선 결과를 발표하며 "과반 득표자가 없어 3차 경선으로 이어지게 됐다"며 "우리 당과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해 깊이 고민하시고 이번 투표에 참여해주신 존경하는 당원 여러분께 진심으로 감사하다"고 말했다. 2강 후보에 진입한 김 후보는 "한 후보와 같이 마지막 경선을 하게 된 것을 매우 감사하게 생각한다. 미래가 창창한 대한민국을 위해 한 후보께서 많은 역할 해주시길 기대한다"고 인사를 전했다. 한 후보는 "어려운 대선 상황에서 김 후보와 제가 생각은 조금 다르지만 2인 3각의 마음으로 하나의 후보로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와 맞서야 한다"며 "남은 경선 과정에서 김 후보를 경쟁자가 아닌 동반자로 생각하고 함께 이재명과 싸워 이기는 한 팀이 되겠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앞서 홍 후보는 경선 결과 발표 직전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을 입당시켜, 3차 경선에 진출하는 2명의 후보와 '원샷 국민 경선'을 진행하자고 제안했다. 이에 대해 김 후보는 "그 부분은 조금 더 논의를 해봐야 한다"고 말을 아꼈다. 그는 경선 결과 발표 직후 기자들과 만나 "한 대행도 아직 출마선언을 하지 않았다. 지금 제가 답을 드리는 것 자체가 너무 앞서가는 것이고 당에서도 생각이 있을 것이기 때문에 차차 논의될 것으로 본다"고 즉답을 피했다. 한 후보는 한 대행을 포함한 '원샷 경선'이 공정성에 어긋난다고 강조했다. 그는 "나머지 (탈락한) 6명은 치열한 과정을 통해 여기까지 왔기 때문에 갑자기 (한 대행이) 들어와서 여기서 경선한다는 것은 현실적이지 않다"며 "우리는 전통이 있고 룰이 있는 정당"이라고 반대 의사를 내비쳤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29일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당사에서 열린 제21대 대통령 후보자 국민의힘 3차 경선 진출자 발표 행사에서 진출에 실패한 안철수 후보가 소감을 밝히고 있다. 2025.04.29 pangbin@newspim.com 한편 이날 결선 문턱을 넘지 못한 안 후보는 "누가 최종 후보가 되든 이재명을 막고 정권교체 이루는 데 제 힘을 바치겠다. 우리 당의 승리가 국민 승리고 역사의 승리"라고 소회를 전했다. 홍 후보는 이날 결선 탈락을 끝으로 정계 은퇴를 선언했다. 홍 후보는 "정치인생을 오늘로서 졸업하게 되어 감사하다. 이제 시민으로, 자연인으로 돌아가서 좀 편하게 살도록 하겠다. 이번 대선에서 제 역할은 여기까지"라고 했다. 앞서 지난 27∼28일 진행된 국민의힘 2차 경선은 당원투표 50%, 국민 여론조사 50%의 룰이 적용됐다. 당원 투표엔 76만5773명 중 39만4명(50.93%)이 참여했고 국민 여론조사는 5개 기관에서 6000명(역선택 방지 적용)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후보들의 순위와 득표율은 공개되지 않았다. 따라서 결선에 진출한 김 후보와 한 후보 중 누가 앞섰는지 알 수 없다. 이날 3차 경선에 진출한 김문수·한동훈 후보 2명은 오는 30일 양자 토론회를 진행한다. 국민의힘 선관위는 다음달 1∼2일 양일 동안 선거인단 투표(50%)·국민 여론조사(50%)를 거친 후 같은달 3일 전당대회에서 최종 1명을 선출할 계획이다. seo00@newspim.com 2025-04-29 15:44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